헬로티 김진희 기자 | 최근 전기차 보급 대수가 늘어나고 다양한 신모델들이 출시되면서 결함으로 인한 리콜 대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들이 직접 자동차 결함을 신고할 수 있는 유일한 정부 기관인 자동차리콜센터는 인력과 기능이 제한적인 탓에 사실상 '콜센터' 역할밖에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의원실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에 집계된 지난해 전기차(수소전기차 포함) 리콜 대수는 9만746대였다. 전기차 리콜 대수는 2016년 524대, 2017년 3천414대, 2018년 1만2천264대, 2019년 1만3천24대 등으로 계속 늘어났다. 지난해 리콜 대수는 2016년 대비로는 173배이며, 전년 대비로도 7배에 이른다. 자동차리콜센터에 접수된 전기차 결함 의심사례 신고 건수도 2016년 6건에서 지난해 292건으로 약 49배 증가했다. 현대차의 경우 결함 신고 건수는 2016년 1건, 2017년 3건, 2018년 6건, 2019년 19건에서 지난해 171건으로 크게 늘었다. 리콜 대수는 2016년 한 건도 없었지만 2017년에는 아이오닉 일렉트릭 차량의 동력발생 장치 등의 결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현대차의 코나 전기차(EV)에서 또다시 화재가 발생해 국토교통부가 원인 조사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자동차 업계와 국토부 등에 따르면 이달 18일 충남 보령의 한 펜션에 주차해 둔 코나 EV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 발생 당시 해당 차량은 충전 중인 상태는 아니었으며, 리콜 대상 차량도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화재와 관련해 자동차안전연구원은 현재 진행 중인 코나 EV 결함 조사와 연계해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불이 난 자동차의 배터리 등 훼손이 심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밝히는 데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현대차는 앞서 2017년 1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생산된 코나 EV(7만5천680대), 아이오닉 EV(5천716대), 일렉시티 버스(305대) 등 전세계 총 8만1천701대에 대해 리콜하기로 했다. 이들 3개 차종에 사용된 배터리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 중국 난징공장에서 초기(2017.9∼2019.7)에 생산된 고전압 배터리 중 일부에서 셀 제조 불량에 따른 내부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