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농림수산부‧글로벌녹생성장연구소와 ‘탄소배출권’ 주제 컨퍼런스 개최 기후테크 스타트업 땡스카본(대표 김해원)이 캄보디아 농림수산부 및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와 함께 ‘탄소배출권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업 전환’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지난 24일, 캄보디아 프놈펜 하얏트 리젠시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는 벼농사 메탄 감축을 위한 논물관리기술(AWD)과 탄소배출권 연계 방안이 핵심 논의 주제로 다뤄졌다. 캄보디아 정부는 농업 부문의 기후회복력 강화를 위해 탄소배출권 도입을 적극 검토 중이다. 이번 행사에 참석한 캄보디아 농림수산부 차관보 키코잘은 “탄소배출권이 농민의 소득 증대와 지속가능한 농업 전환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GGGI 김소미 소장은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활용한 메탄저감 프로젝트가 캄보디아 벼농사의 환경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땡스카본은 이번 행사에서 캄보디아 바탐방 지역에서 시행한 AWD(간단관개) 기술의 성과를 공개했다. 이 기술은 논에 물을 일정 수위로 유지하는 대신 주기적으로 물을 빼는 방식으로 메탄 배출량을 30% 이상 감축하는 효과가 입증됐다. 캄보디아 농업총국 욘트리
직스테크놀로지가 지난 13일 캄보디아의 프놈펜 왕립대학교(Royal University of Phnom Penh, 이하 RUPP)와 MOU를 체결하고 한국산 CAD 소프트웨어인 직스캐드(ZYXCAD) 라이선스를 기증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는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의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서울시립대는 2021년부터 교육부 국제협력선도대학 육성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RUPP와 협력해 캄보디아 최초의 독립적인 도시계획학과인 지속가능도시계획및개발학과(Department of Sustainable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를 설립했다. 해당 학과는 ‘당신의 도시를 스마트하게, 당신의 미래를 더 스마트하게(Shape your city smart, Shape your future smarter)’라는 슬로건 아래 캄보디아의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직스캐드는 해당 학과의 교육과 연구에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직스테크놀로지는 이번 협약을 통해 RUPP에 향후 3년간 총 1500copy의 직스캐드 라이선스를 제공한다.
버티브(Vertiv)는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3일까지 캄보디아 씨엠립의 소피텔 앙코르 포키트라 리조트에서 개최된 버티브 아시아 채널 서밋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업계 리더, 채널 파트너, 유통기업, 정부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교육 프로그램은 물론 교류 기회, 문화 활동, 파트너 시상식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이 마련됐다. 올해 서밋의 주제는 ‘버티브 벨로시티(Vertiv Velocity)’로 인공지능(AI) 채택을 가속화하는 버티브의 전원 및 냉각 기술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버티브는 자사의 전략적 채널 로드맵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IT 전문가들이 점점 더 고밀도 핵심 디지털 장비에 대한 전원 공급 및 냉각 솔루션을 필요로 하는 시장에서 고객 중심의 혁신에 대한 버티브의 노력과 성과를 소개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목 받은 것은 AI와 고성능 컴퓨팅(HPC)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가속화에 대한 전략적 리소스를 버티브 웹사이트 상에서 제공하는 ‘버티브 AI 허브(Vertiv AI Hub)’ 론칭 이었다. 채널 파트너는 버티브의 광범위한 제품, 솔루션 및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24일 캠코양재타워에서 캄보디아 재무부, 법무부 등으로 구성된 캄보디아 대표단을 대상으로 캠코의 국유재산 관리 노하우 전수를 위한 연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수는 캄보디아 정부에서 공공부문 관리 효율화를 위한 정책 수립을 위해 국유재산 관리 전담기관인 캠코에 국유재산 관리 노하우 공유를 요청하면서 추진됐다. 이날 캠코는 ▲국유재산 정책 등 제도 ▲국유재산 관리·처분 방법 ▲국유재산 총조사 사례 ▲드론·인공지능(AI) 등 신기술 활용 재산관리등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했다. 또한 캠코는 연수 참가자들과 양국의 국유재산 관리제도 비교·분석과 정책 토론, 캄보디아 국유재산 관리 효율화를 위한 협력방안에 대한 논의로 연수의 실효성도 높였다고 전했다. 원호준 캠코 본부장은 "캠코는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기술을 국유재산 관리에 도입해 재산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며 "캠코의 국유재산 관리 경험과 노하우가 캄보디아 공공부문 관리 효율화 정책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캠코는 지난 2001년부터 중국·태국 등 16개국 41개 기관을 대상으로 총 51회에 걸쳐 부실채권 정리 및 국유재산 관리·개발 경험을 전수
부영그룹은 창업주 이중근 회장이 24일 캄보디아 훈센 총리로부터 캄보디아 왕국 최고 훈장인 국가 유공 훈장(Medal of National Merit)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이 이번에 수상하는 훈장은 캄보디아 정부가 주는 최상위 훈장으로 국가 발전의 공적을 가진 사람만이 받을 수 있다. 이 회장은 그동안 캄보디아의 국가 발전과 한‧캄보디아 간 우호 증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부영그룹은 캄보디아에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쳐온 대표적인 기업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교육용 디지털 피아노 3000여대와 전자칠판 4만 여개를 기증했으며, 초등학교 건립기금 약 750만 달러를 비롯해 태권도 센터 건립 및 발전기금 약 55만 달러를 지원했다. 최근에는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의 교통 여건 개선을 위해 시내버스 200대(883만 달러)를 기증했다. 이렇게 많은 버스를 기부하게 된 배경에는 부영그룹 창업주 이중근 회장의 결심이 있었다. 이 회장은 캄보디아 출장 중에 비가 오거나 30도가 넘는 혹서의 날씨에도 어린 학생들을 보호조치 없이 오토바이 앞뒤로 태워 나르는 부모들을 보면서 안전을 위해 버스 기증을 결심했다고 한다. 이중근 회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