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백종범 교수팀은 기계화학적 암모니아 생산 공정의 수율을 5.6배 높이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백 교수팀은 소량의 질화규소를 첨가해 암모니아 생산 수율을 이처럼 끌어올렸다. 분석 결과 질화규소는 철 촉매 표면에 고밀도 결함을 형성해 질소 기체를 원자 단위로 분리하고, 이를 수소화하는 반응을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화규소는 태양광 패널에서 회수한 실리콘 원료로 만들 수 있어 재생에너지 폐기물의 자원화 가능성도 높다. 국제에너지기구는 2050년까지 전 세계에서 4900만t 이상의 태양광 패널 폐기물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암모니아는 비료의 원료로 식량 생산에 중요한 물질이다. 최근에는 수소의 저장·운반체로도 주목받고 있어 수요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백종범 교수는 “이번 기술을 저온·저압에서도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어 국소 지역에서 직접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탈중앙화’에 기여할 수 있다”며 “태양광 폐기물까지 자원화할 수 있는 만큼, 암모니아 생산의 탈탄소화와 자원 순환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이런 연구 결과는
셰플러코리아는 지난 2일 폐실리콘 자원순환 기술을 활용한 첨단소재 질화규소의 국산화를 위해 첨단랩과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로써 양사는 폐실리콘을 재활용해 전기자동차(EV) 및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의 핵심소재인 질화규소(Si₃N₄) 베어링볼의 국산화에 함께 나서게 됐다. 최근 업계에서는 전기차(EV) 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내열성, 내마모성, 비자성을 가진 질화규소 볼의 수요 증가와 폐자원의 재활용 확대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이번 협약으로 자원순환을 통한 환경 보호와 함께 첨단소재의 국산화를 추진함으로써 국내 기술력 향상과 높은 수입 의존도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셰플러코리아는 이번 협약을 통해 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고 질화규소 베어링볼의 품질 검증과 인증을 지원한다. 첨단랩은 폐실리콘 자원순환 기술 개발 및 최적화를 담당하며 제조 공정 연구와 특허 관리에 나선다. 이를 통해 양사는 마케팅 및 판매 채널 확보를 위해 자체 네트워크를 활용한다. 기술 개발, 자원 및 정보 공유, 시장 개척 및 판로 확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공동 마케팅 및 세일즈 전략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