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은 올해 ‘AI 교육’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데 이어 내년에도 이러한 흐름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 침체 우려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AI가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으면서, 2026년 기업교육 전략 전반에서 AI 관련 투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기업교육 전문기업 휴넷은 국내 371개 사 인사·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6 기업교육 전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2025년 기업들이 가장 많이 투자한 교육 분야(복수 응답)는 ‘AI 교육’(33.7%)이 1위를 기록했다. 이어 개인 직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 직무 교육’(32.1%), 기본 업무 스킬을 다지는 ‘공통 역량 교육’(31.8%)이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이 밖에 ‘신규 입사자 온보딩’(27.5%), ‘승진자·직급별 교육’(22.4%), ‘핵심 인재 교육’(19.4%), ‘리더·임원 교육’(18.6%) 순으로 응답이 집계됐다. 2026년 기업교육 예산 계획에서는 ‘동결’(44.5%) 응답이 가장 많았고, ‘0~10% 증가’(19.9%)와 ‘10% 이상 증가’(15.9%)가 뒤를 이었다. 전체 응답 중 예산 동결 또는 증
[헬로티]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스마트공장 구축 중소기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스마트제조기업 일자리패키지 지원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과 구직자를 4월 2일부터 모집한다고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 중기부는 ‘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보급·확산과 함께 지난해 발표한 ‘인공지능·데이터 기반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과 ‘스마트 제조혁신 실행 전략’을 중점 추진 중이다. ‘스마트제조기업 일자리패키지지원사업’은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구인중소기업과 구직 희망자를 대상으로 일자리 연계와 현장 수요 맞춤 교육을 통해 스마트제조 전문인력으로 양성해 구인·구직난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신설된 사업이다.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에 따른 디지털 전환에 힘입어 스마트제조 기술 분야 인력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은 생산공정의 최적화를 지속해야 하는데 이를 위한 제조기술개선과 운영관리가 가능한 현장인력을 양성하고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란 제조 중소기업의 현장 애로와 인력 수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