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오는 2027년까지 생산성 혁신 선도 중소기업 3000개를 육성한다. 중기부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올해 제3차 중소기업정책심의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중소기업 전(全)주기 생산성 혁신방안' 등 3개 안건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우선 가치사슬 전(全) 주기 혁신기업을 상대로 '생산성 혁신 원패스(POP)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중소기업이 공정, 제품·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경영 등 4대 분야 혁신 활동에 대한 종합계획을 수립해 신청하면 정부 승인을 거쳐 정책 수단을 일괄 패키지로 지원하는 것이다. 설비자금, 연구·개발(R&D), 인력, 마케팅 등 관련 사업의 우선 배정을 통해 승인기업에 최대 130억 원을 지원한다. 또 종합계획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특례 3종 세트도 적용한다. 외국 인력 장기 확보가 필요한 경우 체류 기간 상한을 달리 규정하거나 합병·주식교환·영업양도 등 인수·합병(M&A) 추진 시 벤처기업에 준해 특례 조치를 적용한다. 아울러 기업, 대학 등 민간 전문기관과 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해 종합계획을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생산성 혁신 플랫폼을 구축해 생산성 관련 데이터를 분
중소벤처기업부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중소기업정책심의회에서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편 방향: 혁신성장·민간협업 촉진 중심으로' 방안을 마련해 확정했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이번 방안에서 '민간이 끌고 정부가 밀어주는 혁신성장 지향 중소벤처기업 지원 체계 확립'이라는 목표 아래 5대 정책방향을 설정했다. 민간과 함께 잠재적인 혁신기업을 적극 발굴하고 우수 혁신기업에 정책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하며 지원 기업에 대한 성장마일스톤(단계별 목표) 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이다. 또 민간을 활용한 공공서비스 제공 확대로 정책 품질을 개선하고 현장 수요 및 성과에 따라 지원 사업을 재편하는 내용도 담겼다. 중기부는 관련 부처와 협력해 올해부터 이번 개편방향을 중기부에서 다른 부처로, 대규모 사업에서 소규모 사업으로, 예산사업에서 제도로 개편이 용이한 분야부터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글로벌 강소기업 1000+ 프로젝트·글로벌 비즈니스센터(GBC) 구축 방안 논의 중소벤처기업부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올해 제1차 중소기업정책심의회를 열고 중소기업의 수출 활력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중기부는 글로벌 강소기업 1000+ 프로젝트와 전 세계 주요 교역거점별 글로벌 비즈니스센터(GBC) 구축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글로벌 강소기업 1000+ 프로젝트는 수출국 다변화 전략 등을 갖춘 유망 수출기업 1000여개사를 단계별(유망-성장-강소-강소+)로 선정해 수출바우처와 해외 마케팅, 시중은행·정책금융 금리 및 보증료 우대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GBC 개편전략은 그간 보육·입주 기능 중심의 독립실 형태로 운영하던 수출 지원 거점인 수출인큐베이터(BI)를 네트워킹·협업이 가능한 공유오피스 형태의 개방형 공간인 GBC로 개편하는 것이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중소기업 수출의 주무장관으로서 2027년까지 중소기업 직·간접 수출 비중 '50%+'와 '해외 진출 스타트업 5만개 달성'을 목표로 백방으로 뛰겠다"고 말했다. 중기부는 회의 후 수출 유관기관, 중소기업 협단체 대표, 연구기관, 수출 기업 등이 참여하는 '민·관·연 중소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