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스(BAICE)는 약 4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인공지능(AI) 기반 공공 조달 검색 엔진 ‘G2B 파인더(G2B Finder)’를 최근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베이스에 따르면 G2B 파인더는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의 비효율과 불공정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플랫폼으로, AI를 활용해 공공 조달 시장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한민국 공공 조달 시장은 매년 200조 원이 넘는 예산이 집행되는 거대 시장이다. 국민의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가 필수적이다. 베이스는 이러한 과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G2B 파인더를 개발했으며, 그 핵심 기능은 AI 이미지 검색이다. 사용자가 제품 사진 한 장을 업로드하면 AI가 나라장터에 등록된 수많은 상품 중 유사한 제품을 단 몇 초 만에 찾아주는 방식이다. 또한 수많은 상품 중 중복되거나 유사한 품목을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제품별 가격, 카탈로그, 납품 사례 등 관련 정보도 함께 제공돼 공공기관 담당자가 최적의 선택을 빠르고 신뢰성 있게 내릴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G2B 파인더는 외관상 유사한 제품을 시각적으로 묶어 나열 및 추천함으로써 구매자가 제품 품질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은 수요 및 투자 기반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2022년 구매조건부신제품 개발사업 자유공모 2차 과제를 모집 공고한다고 밝혔다.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은 2002년도부터 중소기업 R&D를 지원한 대표 사업으로, 중소기업-수요처(투자기업) 간의 R&D를 통한 상생협력 활동을 촉진하여 가치(공급)사슬의 경쟁력 확보 및 자립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수요처 및 투자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의사를 밝히고 기술개발을 제안한 과제에 대해 해당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한다. 본 사업은 중소기업이 자체 아이디어와 개발기술을 수요처에 제안하여 ‘구매동의서’ 또는 ‘구매계약서’를 받아 과제를 신청하는 구매연계형과 중소기업이 투자기업에 과제를 제안하여 ‘투자 동의서’를 받아 과제를 신청하는 공동투자형으로 구분된다. 특히, 공동투자형은 투자기업과 중소기업이 신시장 개척 및 새로운 사업 진출을 위한 도전적 R&D과제를 함께 추진할 수 있도록 구매 계약을 면제하고 지원 규모도 최대 3년에 24억 원까지 지원한다. 이번 2차 사업 공고는 구매연계형 과제 총 241개 과제에 대하여 296억 원, 공동투자형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