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펙스다이나믹스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출격했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아펙스다이나믹스는 서보모터용 정밀 감속기, 랙 앤 피니언(Rack & Pinion), 정밀 커플링, 윤활 시스템 등 모션 제어 솔루션을 보유했다. 이번 전시장에는 다양한 제품 중 표준형 정밀 감속기 라인업 ‘AB/ABR 시리즈'가 참관객의 눈도장을 찍었다. 아펙스다이나
양헌기공이 최근 고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롤러 파라렐 시스템(Roller Parallel System, 이하 RPS)을 공개하며 산업 자동화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이번에 선보인 RP310은 기존 Pinion 기술에 혁신적인 RPS 설계를 결합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효율성과 다양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양헌기공의 분할 헤드가 장착된 RPS는 자동화된 생산 라인의 효율성과 기능을 한 단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설계됐다. 기존 로터리 테이블을 보완하는 이 혁신적인 Roller Parallel Cam(롤러 파라렐 캠) 메커니즘은 Toroidal 설계를 통해 성능의 새로운 차원을 제공한다. RP 시리즈는 기존 로터리 테이블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하나 있다. 회전 분할 판 대신 링 형상으로 제작되어 중앙 영역에서 더 큰 공간을 확보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케이블 통과가 필수적인 응용 분야에서 유리하며, 조립 스테이션, 픽 앤 플레이스 시스템 및 기타 장비를 메커니즘에 직접 통합할 수 있어 공간 사용을 최적화하고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인다. 양헌기공의 RPS 기반 로터리 인덱싱 시스템은 정밀 등급의 크로스롤러 베어링과 구동 메커니즘을 갖추
로보티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고정밀 소형 감속기와 로봇 전용 액츄에이터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다이나믹셀 드라이브 (DYD)는 내충격성이 뛰어난 고정밀 소형 감속기다. 사이클로이드 기반의 감속기인 다이나믹셀 드라이브 (DYD)는 로봇 전용 액츄에이터 다이나믹셀-P에 내장되어있는 감속기로 사용되어 왔다. 로보티즈는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정밀도와 신뢰성이 우수한 콤팩트형 다이나믹셀 드라이브 (DYD)를 출시했다. 다이나믹셀-P는 모터, 감속기, 제어기, 통신부가 일체화된 모듈형 구동 장치로서, 컴팩트한 사이즈로 제한된 공간에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로봇 관절을 쉽게 구성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로봇 전용 액츄에이터다. 로보
로봇 제조기업 민트로봇이 ‘2022 로보월드’에 참가해 최근 기술 내재화가 이루어져 자체적으로 구축 완성된 관절 로봇 3대 핵심 부품을 소개했다. 2022 로보월드는 10월 26일부터 29일까지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의 로봇 전시회로, 다양한 서비스 로봇과 제조로봇, 관련 부품 및 소프트웨어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민트로봇이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한 관절 로봇 3대 핵심 부품은 △모션 제어기, △서보 드라이브, △정밀 감속기로 100% 자체 개발, 판매하고 있는 제품이다. 특히, 서비스 로봇용 수지 감속기 ‘Elacloid Drive’는 서비스 로봇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가격과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지난해 개발됐으며, 올해 양산 공정을 개발, 검증을 완료했다. 이 제품은 현재 민트로봇에서 출시한 로봇 가전제품인 ‘SQUAREMINT’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전기 자동화, 발전기 등 다양한 요소에 활용되며 로봇만이 아닌 기계의 기본 요소 부품으로서 검증을 수행하고 있다. 민트로봇 강형석 대표는 “자체 개발, 검증이 완료된 관절 로봇 3대 핵심 부품은 고객의 로봇 자동화 도입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핵심 부품의 국산화를 선도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에스비비테크가 기술 특례 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서 A등급을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케이피에프의 자회사인 에스비비테크는 2022년 상반기 기업 공개(IPO)를 목표로 연말까지 상장 예비 심사를 청구할 계획이다. 에스비비테크는 10월 18일 기술성 평가를 맡은 나이스디앤비에서 A등급을 받았다. 기술 특례 상장은 당장 수익성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지만, 기술력이 우수한 기업을 외부 검증 기관이 심사해 통과할 경우 상장 기회를 부여하는 제도다. 심사 통과 기준은 거래소가 지정한 전문 평가 기관 가운데 두 곳에 평가를 신청, 평가 등급 가운데 높은 등급이 A 이상이고 낮은 등급이 BBB 이상을 받아야 한다. 올해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소부장 으뜸기업’으로 선정된 에스비비테크는 관련 상장 규정에 따라 1개의 전문 평가 기관에서 받은 A등급 평가 결과만으로도 통과가 되는 완화된 요건이 적용됐다. 에스비비테크는 베어링 전문 업체로 시작해 정밀 감속기 영업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정밀 감속기 제품은 높은 기술 진입 장벽으로 일본 HDS (Harmonic Drive Systems)가 전 세계 시장 점유율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10년대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