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최대 6천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한다. LG화학은 17일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3천억원 규모의 회사채 수요 예측을 한 결과 총 1조6,750억원의 자금이 몰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당초 계획보다 회사채를 2배로 증액해 발행할 계획이다. 신고금액 1,500억원인 3년물에는 1조2,650억원의 투자 수요가 접수됐다. 1천억원 규모의 5년물에는 3,100억원, 500억원 규모의 7년물에는 1천억원이 각각 들어왔다. LG화학은 이번 채권 발행으로 확보한 자금을 만기 회사채 상환에 전액 사용할 계획이다. 확정 금리는 오는 23일 최종 결정된다. 신고 금액 기준 금리는 LG화학과 동일 신용등급(AA+) 회사채 평균 금리인 등급민평금리 대비 약 0.06%∼0.19%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LG화학은 "AA+의 우량한 신용등급을 바탕으로 불확실한 금융 환경에서도 친환경소재, 전지소재, 글로벌 신약 등 3대 신성장동력 육성을 위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英 브랜드 파이낸스, 화학기업 평가…LG화학 평가액 작년보다 5.3%↑ LG화학의 브랜드 가치가 5조9천억여원에 달해 글로벌 화학 기업 가운데 3위를 차지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의 글로벌 브랜드 평가 전문 컨설팅업체 '브랜드 파이낸스'가 최근 발표한 '2023년 화학 기업 랭킹 25'에서 LG화학의 브랜드 가치는 45억2,600만달러로 평가됐다. LG화학의 브랜드 가치는 지난해(42억9,700만달러)보다 5.3% 증가했다. 이로써 LG화학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글로벌 3위를 지켰다. LG화학의 브랜드 가치는 2018년 24억2,100만달러(5위), 2019년 33억3,800만달러(4위), 2020년 35억달러(4위), 2021년 36억200만달러(4위), 2022년 42억9,700만달러(3위)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또 글로벌 상위 25개 화학 기업 중 국내 기업으로는 LG화학이 유일했다. 독일 바스프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위 자리를 지켰다. 바스프의 브랜드 가치는 지난해(83억4,800만달러)보다 소폭 증가한 83억6천만달러로 평가됐다. 사우디아라비아 사빅(SABIC)의 브랜드 가치는 작년(46억7천만달러)보다 1%가량 늘어난 47억7,1
차세대 양극재 소재 기술 공동 연구…"세계 시장 선도할 원천기술 확보" LG화학이 한양대학교와 손잡고 전지소재 우수 인재를 지원·육성하고 미래 기술 공동 개발에 나선다. LG화학은 지난 11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 신본관에서 한양대와 전지소재 산학협력과 우수인재 육성을 위한 업무제휴 협약서(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력으로 LG화학과 한양대는 산학협력센터를 설립해 장학생을 선발하고, 차세대 기술의 선제적 확보를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한양대는 전지 산업에 기여한 다수의 연구 경험과 노하우, 우수한 인적 자원을 가지고 있어 전지 소재 기술력을 갖춘 LG화학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LG화학은 오는 2025년까지 매년 10여명 규모의 한양대 산학장학생단을 선정한다. 배터리공학과뿐만 아니라 전지소재 관련 학과인 에너지공학과, 화학공학과, 신소재공학부, 유기나노공학과 소속 인재도 대상에 포함된다. 장학생으로 선발된 우수 인재에는 등록금과 논문 제작비 등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매월 별도 지원금을 전달해 우수 인재가 생활비 부담을 덜고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울 방침이다. 학위를 취득한 장학생은 LG화학 채용 기준상 결격사유가 없는 한
3대 신사업 동력은 전지 소재, 친환경 소재, 글로벌 신약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LG화학이 친환경 소재, 전지 소재, 글로벌 신약 등 3대 신사업을 본격적으로 키워 2030년에 매출 60조 원을 달성한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양대 주력 사업인 석유화학과 배터리에 쏠린 사업 포트폴리오를 친환경 고부가 중심으로 대전환하겠다는 것으로, 호실적과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 상장으로 개선된 재무 건전성을 바탕으로 신성장 사업을 빠르게 키우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LG화학 최고경영자(CEO) 신학철 부회장은 8일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된 투자자 설명회에서 이러한 내용의 '블루오션 시프트' 전략을 발표했다. 신 부회장은 2030년에 배터리 자회사 LG엔솔을 제외한 직접 사업으로만 매출 60조 원을 달성하고, 이중 절반인 30조 원을 3대 신사업에서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3대 신사업 중 핵심 분야는 양극재, 분리막 등 전지 소재다. LG화학은 전지 소재 사업 매출을 지난해 기준 1조7000억 원 수준에서 올해 2조8000억 원, 2026년 8조4000억 원을 거쳐 2030년 21조 원까지 12배 이상으로 성장시키고, 영업이익률이 두 자릿수인 고수익 사업으로 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LG화학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탄소중립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반 원천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공동 연구개발에 나선다. LG화학과 UNIST는 지난 29일 탄소중립, 바이오매스와 전지소재 및 인공지능(AI) 분야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양측은 앞으로 이산화탄소를 탄화수소 등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촉매 기술 개발과 미생물을 활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등을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또 배터리 용량 증가를 위한 양극 활물질 개발, 가공·분석 자동화와 실험 설계 최적화 등 자율주행 실험실 구축 등의 분야에서도 함께 연구를 추진한다. LG화학은 2025년까지 10조원을 들여 친환경 소재, 전지 소재, 바이오 등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UNIST는 첨단 신소재, 바이오, 차세대 에너지 등을 중점연구 분야로 하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사업인 인공지능대학원, 전 세계 대학 중 최대 규모의 이차전지 연구센터를 보유 중이며 2022년에는 탄소중립융합원을 개원해 탄소중립 관련 교육과 연구도 진행한다. LG화학 최고기술책임자(CTO) 유지영 부사장은 "L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