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관리 플랫폼 ‘해줌R’ 전기요금 인상분 반영해 간편하게 전력 사용량 및 전기요금 관리 해줌이 전력 관리 플랫폼 ‘해줌R’을 사용하면 다수 매장에 흩어져 있는 전력 사용량을 한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 위기, 탄소중립이 이슈가 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잇따라 RE100을 선언하고 있다. RE100은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캠페인이다. 기업에서 RE100을 달성하려면, 사용하고 있는 전체 전력을 파악하는 일이 먼저 수행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전기요금 고지서나 한전 홈페이지를 통해 전기 사용량을 수기로 관리하고 있는데, 사업장이 많은 기업의 경우 관리가 안 되는 지점도 더러 있어 전체 전력 사용량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해줌은 이러한 애로 사항을 해결하고자 흩어져 있는 사업장의 전력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인 해줌R을 개발했다. 해줌R은 한전으로 전송된 사업장별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받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정부에서 전기요금 인상을 고지하면 인상 일자에 맞춰 요금이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기업에서 지출되는 전기요금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전국 10
[헬로티]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황의석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 기반 시간-주파수 마스크 방식의 비접촉식 세부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기반 시간-주파수 마스크 방식의 비접촉식 세부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술의 개략도(출처 : 지스트) 비접촉식 세부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술은 스마트 미터에서 측정되는 전력 총량으로부터 특징적인 하위 부하들의 전력 사용량을 추정하는 비접촉식 형태의 전력 식별 및 분리 기술이다. 스마트 그리드에서 전력 수요 반응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기술 분야에 활용 가능하다. 연구팀은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s, DNN) 인공지능 모델을 기반으로 시간-주파수 마스크를 추정하는 접근 방법을 통해 하위 부하의 분해 정확도를 높였고, 중소형 빌딩에서 전력 수요 반응 등에 활용도가 높은 유연한 전력 부하의 식별 및 분리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기존의 비접촉식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기술은 주로 시간 도메인에서 부하 분해를 수행하는데 이는 하위 부하들이 서로 유사한 패턴을 보이거나 복잡한 소비 형태를 갖는 경우, 전력 총량에서 각각의 목표 부분 부하 패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