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첨단 폴리머 기업 이구스 GmbH가 ESD 특성을 지닌 iglidur I8-ESD를 활용해 새로운 SLS 파우더를 출시했다. ▲신제품 iglidur I8-ESD는 검정색 소재로 SLS 가공 시 후속 도장 작업이 필요 없다. 이 소재는 검정색 파우더 형태로, 프린팅 직후 별도의 도장 작업이 필요 없어 비용 절감과 배송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 분말 소재를 적층 가공하는 3D프린팅 SLS 제조 방식의 특징은 자유로운 설계와 빠른 제작 속도에 있다. 또한, 파우더 분말을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고, 인쇄된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기에 플라스틱 폐기물이 줄어드는 추가적 장점도 있다. 신제품 I8-ESD 파우더는 이구스가 기존 보유하고 있던 l3와 l6에 이은 세 번째 SLS 파우더로, 전자 및 반도체 생산 라인 적용에 특히 알맞다. 탐 크라우제(Tom Krause) 이구스 적층 가공 사업부 책임자는 “iglidur I8은 3x107 Ω x cm의 ESD 특성을 가지면서도 강력한 내구성을 지닌 소재”라며 자사 테스트랩에서 수행된 테스트 결과를 추가로 공개했다. 피봇팅(각도 운동) 테스트와 직동 마모 테스트 결과, iglidur I8의 내마모
[첨단 헬로티] 메탈 3D프린터 출력물의 가장 효과적인 비파괴검사법 공개 3D프린팅솔루션을 공급하는 자이브솔루션즈와 니콘이 공동으로 6월 20일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가든파이브 Tool동 10층 대회의실에서 '제1회 차세대 금속적층 심화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PBF(Powder Bed Fusion), DED(Directed Energy Deposition) 등 금속 3D프린팅 방식은 기본적으로 열을 수반하며, 열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면 이로 인한 내부 pore·void·crack 발생 확률이 매우 높다. ▲자이브솔루션즈와 니콘이 공동으로 6월 20일 서울시 송파구에 위치한 가든파이브 Tool동 10층 대회의실에서 '제1회 차세대 금속적층 심화기술 세미나'를 개최한다. 국내에서는 아직 이러한 결함을 확인하기 위한 효과적인 검사공정이 보편화 되지 않았으나, 독일, 일본 등 제조 선진국과 글로벌 기업들에서는 이미 수 년 전부터 이러한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자이브솔루션즈와 니콘은 국내·외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아 자유롭게 질의응답 할 수 있는 세션을 마련해 국내 금속 적층가공 3D프린터 유저들이 가지고 있
[첨단 헬로티] 복합재료 전문가 네트워크 JEC 그룹이 12개 복합재료 혁신기업에 시상하는 ‘JEC 혁신상’ 시상식을 JEC ASIA 국제 복합재료 전시회가 열리는 11월 15일 코엑스에서 개최한다. 이번 JEC 혁신상은 항공 우주 (구조 및 툴링), 자동차, 상용차, 이-모빌리티, 해양, 철도, 스포츠 및 레저, 인프라 및 토목, 산업용 장비, 지속 가능성, 적층가공 분야 등 지난해보다 2배 이상의 참가자가 참여해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특히 효율성, 지속 가능성, 라이프 사이클 분석 면에서 복합재료가 새로운 과제에 대해 어떻게 해답을 제공하는지 집중 조명한다. 한편, 올해 2회째를 맞은 JEC ASIA 2018 서울 전시회는 전년보다 3배 이상의 규모로 개최되며 CHOMARAT, ARKEMA, M Torres, SAERTEX, Solvay, CGTECH, 효성, Toray group, 한화첨단소재, 한국카본, 코오롱 등 세계 복합소재 주요 기업과 한국탄소융합기술원(KCTECH), DYETEC 연구원,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한양대, 카이스트, 서울대, UNIST 등의 주요 복합소재 연구센터들이 출품
[첨단 헬로티] 지난 10월 24일, 3D 프린팅 및 적층 제조 솔루션의 글로벌 선도 기업인 스트라타시스는 서울 르 메르디앙 호텔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3D 프린팅 및 적층 제조 컨퍼런스 ‘스트라타시스 3D프린팅 포럼 2018’을 개최했다. 스트라타시스 3D 프린팅 포럼은 600여명의 국내외 3D 프린팅 전문가와 다양한 산업의 디자이너, 엔지니어를 포함한 마켓 리더가 참여하여 3D 프린팅 동향 및 경험과 의견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포럼에서는 국내 대표 기업의 3D 프린팅 실무자 및 전문가들이 참여해 3D 프린팅의 최신 기술 동향과 다양한 3D 프린팅 활용 사례를 공유했다.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아이디어 가속화’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포럼은 국내외 3D 프린팅 인사이트와 사용자 경험을 공유하는 다양한 세션들로 구성하여 ▲응용 적층 가공 기술의 미래, ▲ 스트라타시스의 미래 제품 개발과 제품 로드맵, ▲석기 시대부터 인공 지능 시대까지의 재료, ▲스트라타시스 메탈 솔루션: 공정 가속화를 위한 메탈 적층 제조, ▲자동차 산업에서의 3D 프린팅 활용 사례 등의 최신 3D 프린팅 산업 관련
[첨단 헬로티] “3D 프린터는 맞춤형에 대한 충분한 니즈가 있다. 다만 다양한 산업 전반에서 그 활용 사례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씨이피테크 임수창 대표는 3D 프린터가 폭넓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최대한 많이 사용해보고 적용할 수 있는 레퍼런스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3D 프린팅 솔루션 전문업체 씨이피테크는 지난 20년간 3D 프린터, 적층가공, 3D 스캐너 등의 축적된 기술적 노하우로 3D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 회사는 미국 3D시스템즈사의 3D 프린터와 3D 스캐너, 소프트웨어를 국내에 공급하는 총판이기도 하다. ▲ 씨이피테크 임수창 대표 임수창 대표는 단순히 장비 소개나 영업이 아닌 장비가 가지고 있는 기술에 대한 영업을 중점적으로 해나가는 한편, 현재의 3D 프린팅 용역 서비스에 머물지 않고 완제품을 만들기 위한 금형 설계까지 다 할 수 있는 인력이나 서비스를 갖춰나갈 계획이라고 말한다. 국내 3D 프린팅 시장 이슈와 씨이피테크의 영업 전략을 임수창 대표에게 들어봤다. Q. 산업계가 3D 프린트에 주목하고 있다. 현재 국내 활용도는 어떠한가. A. 우리나라는 3D 프린터의 80~90%가 단순히 목업(시
[첨단 헬로티] “3D 프린터의 효용성을 알기 위해서는 되도록 많이 출력해보고 검증해보는 다양한 경험이 중요하다.” 3D시스템즈코리아 백소령 본부장은 우리가 주저하는 사이 외국 기업들은 3D 효용성에 대한 많은 사례들을 발표하면서 기업 내에 신규 조직을 꾸리고 양산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작업 담당자들이 새로운 설계를 구상하고 어떻게 파트를 통합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함께 다양한 출력 경험을 해봐야 한다는 것. 따라서 3D시스템즈코리아 역시 3D 프린팅에 대한 인식의 지평을 열기 위해 솔루션 기반의 전문 컨설팅을 저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1983년, 3D 프린팅의 발명자인 Charles (“Chuck”) Hull의 번뜩이는 영감을 바탕으로 태어난 3D시스템즈는 고객의 비즈니스, 설계 또는 엔지니어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제조 워크플로와 전문가를 연결하여 영감과 혁신 사이의 간극을 잇는 것에 중점을 둔 글로벌 3D 솔루션 회사로 성장했다. 지금은 주문형 제조 서비스를 포함하여 고급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재료와 전 세계에서 전문가로 구성된 팀을 운영하며 제조 혁
적층가공은 최근까지 엄청난 잠재력을 입증해 왔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연간 성장률은 30% 이상이며, 금속부품 분야에서는 훨씬 더 높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적층가공 산업은 2020년까지 20~50%가 증가하고, 관련 시장도 2배에서 4배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DMG MORI는 파우더 노즐을 이용한 레이저 증착 용접 기술로 적층가공 분야에서 이미 4년 동안 성공적으로 사업을 운영했으며, 최근 독일 보르헨의 REALIZER GmbH에서 다수의 지분을 인수해 파우더 베드 기술을 포함함으로써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DMG MORI의 Advanced Technologies 담당자 Patrick Diederich와의 인터뷰를 통해 DMG MORI가 현재 금속부품의 적층가공 기술에 있어 풀 서비스 공급업체로 자리매김한 현황에 대해 이야기 나눠 보았다. ▲ Patrick Diederich, Managing Director of SAUER GmbH and REALIZER GmbH Q. 적층가공은 큰 가능성을 가진 새로운 기술입니다. 이 기술의 잠재력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 미래지향적이고 경쟁이 치열한 산업 분야는 항상 혁신적이고, 비용 대비 효율적인 생산
[첨단 헬로티] “3D 프린터야말로 제조업 혁명이 가능한 기술이다.” 스트라타시스 AP 총괄 오머 크리거 사장은 3D 프린팅 기술이 가져올 파급효과를 이렇게 한마디로 정의했다. 산업 자동화 환경에서 3D 프린터가 적용될 수 있는 영역들은 로봇 팔, 판형 기계 가이드 및 결합체 공구 등 매우 다양한 영역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업 시장에서 3D 프린터 도입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들이 남아 있다. 오머 크리거 사장은 자동화 환경에서 3D 프린터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문제없는 제조 환경을 위해 강하고 높은 내구성의 부품을 요구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고기능의 소재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스트라타시스 3D 프린터는 전 세계 수많은 기업 고객들을 통해 검증된 FDM 및 폴리젯 기술과 이들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는 광범위한 재료를 통해 다양한 영역에서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3D 프린팅 관련 이슈와 전망을 오머 크리거 사장에게 들어봤다. ▲ 스트라타시스 AP 총괄 오머 크리거 사장 Q. 제조업계가 3D 프린터에 주목하는 이유는 어디에 있다고 보는가. A. 3D 프린터 기술이야말로 제조업 혁명
[첨단 헬로티] 스트라타시스는 황혜영 신임 한국 지사장을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앞으로 황혜영 신임 지사장은 한국 내 스트라타시스 비즈니스 활동의 전반을 총괄한다. 황혜영 신임 한국 지사장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부문에서 마케팅, 영업, 사업개발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 온 18년 경력의 IT 업계 베테랑으로, 지난 2015년 스트라타시스 코리아에 메이커봇 한국 총괄 매니저로 입사한 뒤 성공적으로 비즈니스를 이끌어 왔다. 스트라타시스 코리아 이전에는 세계적인 3D 솔루션 기업 다쏘시스템에서 솔리드웍스 브랜드 확장을 위한 다양한 직무를 수행했으며, 탁월한 업무 능력을 인정받아 싱가포르 지사에서 다년간 근무한 경험도 보유하고 있다. 오머 크리거 스트라타시스 아시아태평양 대표는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역동적인 시장이다. 황혜영 신임 한국 지사장은 이와 같은 시장 환경에서 한국 고객들의 관점, 요구사항, 고민, 한계점 등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라고 설명하며, “황혜영 신임 지사장의 업계 전문성, 오랜 경험, 심도 깊은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3D 프린팅을 통한 혁신을 가속화하
[첨단 헬로티] 오는 9월 18일부터 23일까지 열리는 EMO 2017에서 DMG MORI는 Hall 2, 북쪽 입구 쪽에 부스를 마련할 예정이다. 10,000m² 규모의 DMG MORI 부스에서는 약 80개의 고성능 머신들이 혁신적이고 필수적인 기술 솔루션을 시연한다. 하노버에서 열리는 EMO에서 DMG MORI의 메인 토픽은 DMG MORI로부터 구현되는 ‘디지털화의 길’로, 전 세계적인 고객을 대상으로 미래의 ‘디지털 공장’을 향한 길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화의 성공 기반으로는 APP 기반 CELOS® 제어 및 운영 시스템, DMG MORI 기술 사이클 및 디지털 프로덕션의 최대 효율성을 위한 맞춤형 소프트웨어 솔루션이 있다. 또한 새로운 VERTICO 디자인으로 다양한 자동화 솔루션을 시연할 것이며, 머신 중 절반 정도를 자동화 시스템으로 전시한다. 완전히 디지털화된 프로세스 체인을 통해 DMG MORI는 적층가공 분야의 미래 기술을 EMO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파우더 노즐을 이용한 레이저 증착 용접과 파우더 베드의 선택적 레이저 용해는 DMG MORI가 한 지붕 아래에서 금
[첨단 헬로티] 한국델켐은 오토데스크사의 적층가공을 위한 전문 소프트웨어 ‘NETFABB(넷펩)’ 공급을 본격화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한국델켐은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한국델켐의 해외 지사가 있는 중국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에서 NETFABB 판매를 본격화하며 시장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 NETFABB은 적층가공 및 3D 프린팅 작업 공정을 간소화하고, 빠르고 간편하게 3D 모델을 생성할 수 있는 적층가공 전문 소프트웨어이다. 다양한 CAD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모델링 작업을 하며, 적층가공을 위해 파일을 준비하고 모델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 적합하다. 생산 환경 개선을 목표로 비용 절감, 효율성 증대 및 부품 성능 향상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 경량화 및 냉각 효율 극대화를 기반으로 제품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현재 적층가공 기법을 고려하고 있다면 NETFABB이 가장 효율적인 솔루션이 될 수 있다. NETFABB을 사용하면 CAD에서 인쇄로 빠른 실행이 가능하다. 모든 주요 CAD 모델을 가져와서 편집이 바로 가능한 STL 파일로 변환시켜 파일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여러 파일을 신속하게 평가하기 위해 파일을 일괄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