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퍼스키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게이밍 관련 사이버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카스퍼스키 Digital Footprint Intelligence(DFI)팀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에서 1100만 개의 게임 계정 자격 증명이 유출됐으며 이 중 570만 개는 스팀(Steam) 계정이었다. 또한 에픽게임즈 스토어, 배틀넷, 유비소프트 커넥트, GOG, EA 앱 등 주요 글로벌 게임 플랫폼과 관련된 계정 620만 개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로 인해 유출됐다. DFI팀은 유출된 스팀 인증 정보를 분석한 결과 태국에서 약 16만3천 건, 필리핀에서 9만3천 건, 베트남에서 약 8만8천 건이 유출돼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중국, 스리랑카, 싱가포르는 각각 약 1만9천 건, 1만1천 건, 4천 건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아태지역은 약 18억 명의 플레이어를 보유하며 글로벌 게임 트렌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카스퍼스키는 이 지역의 빠른 디지털 도입과 높은 모바일 보급률, 젊은 인구층 수요로 인해 게임 계정 탈취형 사이버 위협이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포스틸러는 크랙 게임, 치트 소프트웨어, 비공식 모드 파일로 위장해 계정
카스퍼스키가 인터폴과 협력해 국제 사이버 범죄 대응 작전인 ‘Operation Secure’에 참여했다. 이번 작전은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인포스틸러)를 활용한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됐다. 작전에는 26개국 법집행기관과 민간 파트너들이 참여했으며 사이버 범죄에 연루된 용의자 30명 이상이 체포되고 2만 개 이상의 악성 IP 주소 및 도메인이 폐쇄되는 성과를 거뒀다. 인포스틸러는 사용자로부터 금융 정보, 계정 인증 정보, 쿠키 등을 탈취해 로그 파일 형태로 다크웹에서 유통되는 악성코드다. Kaspersky Digital Footprint Intelligence 팀은 2023년부터 2024년 사이 약 2600만 대의 Windows 기기가 인포스틸러에 감염되었으며 14건 중 1건은 신용카드 정보 유출 사례였다고 밝혔다. 이번 작전은 악성 인프라의 서버 위치를 추적하고 네트워크를 매핑해 표적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수행됐다. 카스퍼스키는 인터폴과의 협력 과정에서 정보탈취형 악성코드의 C&C 서버 관련 데이터를 제공했다. 조사 대상에는 약 70종의 인포스틸러 변종과 2만 6000개의 관련 IP 및 도메인이 포함됐으며 40개
구글 클라우드가 ‘맨디언트 M-트렌드 2025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2024년 한 해 동안의 글로벌 사이버 위협 활동을 분석해 기업 보안 대응 전략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특히 금전적 동기를 가진 위협 그룹의 증가, 네트워크 에지 장비를 겨냥한 제로데이 공격, 자격 증명 탈취 시도 확산 등을 주요 이슈로 지목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탐지된 위협 그룹의 55%가 금전적 동기를 가진 집단이었다. 이는 2022년 48%, 2023년 52%에 이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간첩 목적의 위협 비중은 감소했지만, 러시아 및 중국과 연계된 사이버 첩보 조직의 공격 시도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로데이 취약점을 활용한 네트워크 에지 장비 침해가 두드러졌다. 초기 감염 경로로는 5년 연속 취약점 공격이 가장 흔했다. 2024년 조사에서 전체 공격의 33%가 취약점 공격으로 시작됐으며, 자격 증명 탈취가 16%로 2위를 차지했다. 이메일 피싱, 웹사이트 침해, 과거 침해 사례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 지역에서는 취약점 공격이 64%로 나타나 글로벌 평균보다 두 배가량 높았다. 조직이 침해 사실을 인지한
IBM이 2025 엑스포스 위협 인텔리전스 인덱스 보고서에서 2024년 한 해 동안 기업 대상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인포스틸러) 이메일이 전년 대비 84% 증가했다고 밝혔다. 랜섬웨어 공격은 감소한 반면, 자격 증명 탈취를 중심으로 한 ‘조용한’ 공격이 급증하는 새로운 트렌드가 확인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자들은 생성형 AI를 활용해 웹사이트를 제작하거나 딥페이크 기반 피싱 공격을 감행하는 등 공격 방식을 정교화했다. 2024년 기준 최소 하나 이상의 비즈니스에 AI를 도입한 기업 비율은 72%로, 전년 대비 55%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IBM 엑스포스는 AI를 노린 사이버 위협도 중장기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주요 기반시설 조직을 겨냥한 공격도 두드러졌다. IBM 엑스포스가 대응한 전체 사고의 70%가 주요 인프라 조직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이 중 25% 이상이 취약점 악용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크웹에서는 정교한 위협 그룹과 연결된 취약점 악용 코드가 활발히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인포스틸러를 통한 공격은 저비용·고효율 구조를 갖추고 있어 공격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급증하고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