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10월 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주거 환경 개선과 지역 활력 제고를 위한 빈 건축물 정비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빈 건축물 특별법 연내 발의를 통한 관리 대상 확대 및 적극적 철거 추진, 그리고 빈 건축물 관리업 신설 및 허브를 통한 매입, 개발로 정비와 활용을 지원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늘어나는 빈 건축물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쇠퇴 및 지방 소멸 가속화를 막기 위한 선제적인 조치로 해석된다.2024년 기준으로 전국 빈집은 13.4만 호, 주택을 제외한 빈 건축물은 최대 6.1만 동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빈 건축물은 주변 지역의 공동화를 유발하며 지역 쇠퇴를 가속하고, 특히 인구 감소 지역에서는 빈 건축물 증가가 악순환을 심화시켜 지방 소멸의 우려를 높이고 있다. 그간 빈 건축물 관련 규정이 여러 법령에 산재해 있고, 쇠퇴 지역에 산발적으로 위치하여 자발적인 정비가 어렵다는 점, 그리고 복합적인 활용 방안이 부재하다는 점 등이 해소의 한계로 지적됐다.이에 국토교통부는 예방 및 관리 기반 구축, 활용도 낮은 빈 건축물의 적극적 철거, 활용도 높은 빈 건축물의 정비, 활용 활성화
“2025 민관 상생 투자 협약 사업” 5개 지역 최종 선정 의료·예술·관광 등 지역 특화 산업 육성을 통해 인구 감소 위기 대응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2025년도 민관 상생 투자 협약 사업의 공모 결과, 부산 서구, 충남 논산, 전북 임실, 전남 완도, 경북 영덕 등 총 5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민간·정부·지자체가 협력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방 소멸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다.민관 상생 투자 협약 사업은 정부 주도의 일방적 정책에서 벗어나, 민간이 창의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역 상생 사업을 주도하고, 정부와 지자체가 기반 시설 등을 지원하는 협력형 지역 활성화 모델이다. 2024년 처음 도입된 이후 올해로 두 번째 시행이다.이번 공모는 비수도권 인구 감소 지역 85개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3월부터 신청을 받아, 총 21개 지자체가 참여했으며, 광역자치단체의 1차 평가를 거쳐 8건이 국토부에 제출되었다. 국토부는 현장 확인 및 최종 평가를 통해 다음의 5개 사업을 선정했다. 2025 민관 상생 투자 협약 사업 선정 결과 부산 서구는 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등과 협력하여 의료·헬스케어 스타트업 인큐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