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이차전지 수출이 최근 두 달 연속으로 증가해 전기차 시장의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여파로 부진했던 수출이 회복 추세에 접어들었을 가능성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국의 이차전지 수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1.2% 감소한 39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방 산업인 전기차 수요 정체가 길어지는 가운데 상반기 이차전지 수출은 한국의 15대 주력 수출 품목 가운데 하나인 철강(-10.2%)과 함께 부진했다. 하지만 월간 흐름을 보면 이차전지 수출은 최근 바닥을 찍고 반등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6월 이차전지 수출은 7억4000만 달러로 올해 들어 가장 많았다. 이차전지 수출은 지난 4월 6억1800만 달러로 단기 저점을 형성하고 나서 5월 6억4400만 달러, 6월 7억4000만 달러로 완만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이차전지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 5월 1.1%로 떨어졌지만, 6월에는 다시 1.3% 선에 올라섰다. 이차전지 업황이 좋을 때는 전체 한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2%에 달했다. 국내 주요 배터리사의 신제품 양산 및 수출 개시, 글로벌 완성차업체
작년 이차전지 수출액 98억여 달러…전년비 1.6%↓ 국내 배터리 산업 수출이 연간 '100억달러 고지'를 눈앞에 두고 주춤하는 모양새다. 전기차 수요 둔화와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의 유럽, 미국 등으로의 생산 거점 이전 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이차전지 수출액은 98억 3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1.6% 감소했다. 연간 이차전지 수출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지난 2015년 이후 8년 만이다. 한국의 이차전지 수출은 2017년 50억 달러를 처음 돌파한 뒤 빠르게 증가해 2022년 99억 8000만 달러를 기록, 100억 달러에 육박했다. 그렇지만 작년 수출 감소로 100억 달러 관문을 넘지 못하고 상승세가 꺾인 모습이다. 올해 들어 이차전지 수출 약화 속도가 더욱 빨라지는 추세다. 1월 이차전지 수출은 5억 90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26.2% 감소했다. 정부가 분류하는 15대 주력 수출품 중 반도체를 비롯한 13개 품목이 일제히 상승하며 전반적 수출 회복세가 뚜렷했지만, 무선통신 기기(-14.2%)와 더불어 이차전지만 수출이 감소했다. 이차전지 수출이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작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