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이트는 PIX4D(픽스포디)의 CEO 앤드류 클레이미노브와 관계자들이 지난 28일 이에이트 본사를 방문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방문은 양사가 추진 중인 3D 이미지 매핑 소프트웨어 국산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술 협력 방안과 공동 개발 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 이에이트는 이번 만남을 계기로 실질적인 기술 교류와 함께 국산화 추진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산화 추진 제품으로는 PIX4D의 대표적인 3D 매핑 소프트웨어인 Pix4Dmatic과 Pix4Dmapper 및 클라우드 서비스제품 등이다. 이 제품들은 전 세계적으로 항공 사진을 기반으로 한 정밀 3D 매핑 작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Pix4Dmatic은 특히 대규모 드론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로, 수백에서 수천 장에 이르는 이미지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스마트시티, 인프라 관리, 재난 대응 등 대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한 전문 솔루션으로 평가받는다. Pix4Dmapper는 중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한 범용 소프트웨어로, 항공 및 지상 이미지로부터 2D 및 3D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측량, 건설, 농업,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이에이트는 글로벌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측위시스템) 솔루션 기업 엠리드(Emlid)의 최신 GNSS RTK(Real Time Kinematic) 수신기 ‘Emlid Reach RX’를 국내 최초로 공식 출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엠리드는 2014년 러시아에서 설립된 고정밀 GNSS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고가의 GNSS 장비에 비해 합리적인 가격과 뛰어난 정밀도, 높은 호환성으로 전 세계 110개국 이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우주 탐사, 드론 매핑, 스마트 농업, 건설 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 사용자까지 아우르는 GNSS 시장의 대중화를 주도해왔다. Emlid Reach RX는 250g의 초소형·초경량 GNSS RTK 수신기로, 복잡한 설정 없이 빠르게 현장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방수·방진 설계를 통해 내구성을 확보했으며 최대 16시간 연속 사용이 가능한 배터리를 탑재해 실내외 다양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또한 Static 기능도 내장되어 있어 장기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다양한 분야의 고정밀 측량작업에도 효율적이다. Static이란 한 지점
'AI 자율제조혁신 포럼'은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4) 부대행사로 진행됐습니다. 포럼은 '자율제조'를 통해 미래형 생산 환경 조성, 생산 효율성 극대화, 글로벌 제조 이슈 극복 등을 실현하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이번 세션은 포럼 내 디지털 퀄리티 트랙을 조명했습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이에이트가 지난 13일 열린 코엑스에서 열린 'AI자율제조혁신포럼'에서 제조 데이터 온톨로지 기반의 디지털 트윈 기술을 공개하며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차별화된 접근법을 제시했다. AI자율제조혁신포럼은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진행되는 국내 최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 전시회인 ‘오토메이션 월드(AW 2025)’의 부대 행사 중 하나다. 산업 AI를 비롯해 로봇 융합 기술,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SDF), 스마트 물류 등 제조 산업의 핵심 이슈를 다루는 6개의 세부 세션으로 구성되며, 제조 현장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디지털 트윈은 현실의 제조 공정을 가상 세계에 구현해 사전에 공정의 이상을 예측하거나 실시간으로 최적화를 수행하는 기술로 주목받지만, 제조 현장마다 서로 다른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의미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한계를 보였다. 이에 따라 최근 데이터를 단순히 수집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의 의미를 분석하고 지능적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온톨로지 기술이 떠오르고 있다. 온톨로지는 특정 분야에서 개념, 속성, 관계를 체계적으로 정의해 데이터를 '의미 있는 정보'로 전환하는 지식 표현 방식이다. 제조 환경에서 IoT 센서 기술은
이에이트(E8)는 국내 독점 총판을 맡고 있는 픽스포디(PIX4D)의 대표 소프트웨어 ‘픽스포디 맵퍼(PIX4Dmapper)’를 30% 할인된 가격으로 공급한다고 17일 밝혔다. 사진 측량 솔루션 픽스포디 맵퍼는 건설, 농업, 재난 복구, 도시 계획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생산성, 효율성,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고도화된 데이터 처리 기술로 정밀한 결과를 제공한다. 고도화된 데이터 처리 기술이 핵심 경쟁력으로 RGB, 열화상, 멀티스펙트럼 등 다양한 이미지를 지원하며 자동화된 워크플로를 통해 드론 비행부터 데이터 전송까지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최신 사진 측량 기술을 활용해 초정밀 디지털 맵과 3D 모델을 생성하며 레이클라우드 환경에서 품질 관리와 신뢰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거리, 면적, 부피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표준화된 파일 형식으로 빠르고 안전한 협업과 데이터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이트는 올해 공격적인 세일즈를 위한 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2024년 대비 다양한 분야의 리셀러사를 확보해 기존 3개사에서 8개사로 파트너 네트워크를 대폭 확장했다. 확보된 리셀러들은 인공지능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 ERP 및 MES와 같은 시스템 통합 기술, 자율 비행 드론,
이에이트가 자체개발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NDX PRO를 플랜트, 기계, 자동차 등 제조 분야에 특화한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15일 발표했다. 지난 CES 2025에서 엔비디아(NVIDIA)는 물리적 AI 시스템을 지원하는 차세대 AI 플랫폼 코스모스(Cosmos)를 발표하며 데이터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코스모스는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분석하는 플랫폼으로 자율주행, 로봇, 산업 IoT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며 AI 기반 디지털 전환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코스모스의 핵심은 물리적 디지털 전환에 있다. 코스모스는 실제 세계의 물리적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분석해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더 나은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이트의 EPC 특화 디지털 트윈 솔루션은 코스모스와 동일한 기술 철학을 바탕으로 제조 현장에서 물리적 객체의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변환 및 분석해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둔다. 코스모스와 같은 물리 AI 플랫폼 활용을 위해서는 물리적 객체의 디지털 트윈 구축이 선행되는데 여기에 이에이
이에이트가 네이버 클라우드와 이에이트 솔루션 판매 및 디지털 트윈 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파트너쉽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를 통해 이에이트는 자사의 시뮬레이션 기반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네이버가 서비스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하며, 네이버 그룹과의 협업 및 공동 사업화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비즈니스를 확장한다. 이에이트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 NDX PRO, 시뮬레이션 솔루션 NFLOW 및 PIX4D 솔루션을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공급한다. 네이버 클라우드와는 솔루션 판매와 더불어 네이버가 추진하는 다양한 B2B 및 B2G 디지털 트윈 프로젝트의 공동 마케팅 및 세일즈, 사업화 또한 함께 추진한다. 네이버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네옴(NEOM)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수주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공고한 파트너쉽을 구축하고 있는 네이버 클라우드와의 협업은 국내 디지털 트윈 시장의 생태계를 강화하고, 글로벌 디지털 트윈 기술 확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이에이트는 전했다. 김진현 이에이트 대표는 “이에이트와 네이버 클라우드의 파트너쉽은 네이버 클라우드의 신뢰성과
진우에이티에스와 MOU 체결...자율주행 디지털 트윈 얼라이언스 구축 이에이트가 자율주행 분야 IT 기업들과의 잇단 파트너쉽 체결을 통한 얼라이언스 구축으로 자율주행 디지털 트윈 분야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이트는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및 에스오에스랩과의 파트너쉽에 이어 C-ITS 전문 기업 진우에이티에스와 교통 디지털 트윈 및 C-ITS 솔루션 분야에서 상호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진우에이티에스는 국내 굴지의 사모펀드(PEF)인 케이스톤파트너스가 소유한 기업이다. 이에이트가 자율주행 분야 사업 역량을 지속 강화하는 이유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이 진행중인 세종 스마트시티에 적용될 자율주행 서비스 개발 본격화 및 사업법인이 설립된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사업 디지털 트윈 공급 계약 수주를 준비함과 더불어 각 지자체에서 자율주행 서비스 레벨 고도화를 위한 디지털 트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른 것이다. 진우에이티에스는 1990년에 설립된 교통 시스템 전문 기업으로 무인단속시스템, 스마트횡단보도, 교통량 검지시스템 등 딥러닝을 활용해 교통과 관련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종합관제센터(ATS), 철도신호제어시스템
이에이트가 BIM 전문 기업 연우테크놀러지와 MOU를 체결하고 디지털 트윈 기반 BIM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18일 밝혔다.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등 건설 분야에 디지털 트윈이 본격 적용되면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분야에서도 디지털 트윈을 접목할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다. BIM은 3D로 건축물의 설계, 시공 등에 필요한 정보를 모델링 하는 기술이나 BIM 데이터만을 활용해서 3D 디지털 트윈의 구현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실제 건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동 사항이 BIM에 업데이트가 되지 않음으로 인해 BIM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실제 건축물의 정보와 상이해 건축물 완공 후 BIM의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점이 지적되어 온 바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BIM에 디지털 트윈 개념을 접목ㅙ BIM에서 바로 3D 디지털 트윈 구현이 가능하고, 3D 디지털 트윈에 건축물의 실제 시공 정보를 업데이트해 건물 완공 후에도 BIM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이번 협업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 이에이트는 3D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세종, 부산 국가시범도시 스마트시티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에너지의 효율
이에이트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으로부터 자율주행을 위한 VLM(시각언어모델) 기반 다중 객체 추적 기술을 이전 받았다고 13일 밝혔다. VLM 기술은 컴퓨터 비전과 자연어 처리를 결합해 실시간으로 다중 객체를 탐지 및 추적하는 첨단 기술로,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정보와 영상을 융합하여 높은 정확도로 객체를 추적할 수 있다. 기존 객체 탐지 및 추적 기술은 사전 정의된 특정 객체를 중심으로 동작하는 한계가 있었으나, VLM 기반 기술은 사용자가 텍스트로 입력한 정보를 해석하여 원하는 객체를 동적으로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는 유연성이 특징이다. 최근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밀한 객체 탐지 및 추적 기술은 보안 감시, 교통, 안전, 제조,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현재 국내 연구기관 및 대학에서는 시각 언어 모델 연구 및 자율주행 및 보안 시스템 적용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의료, 보안, 제조업 분야에서도 상용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국내뿐만 Google Lens는 VLM을 활용해 이미지 속 사물 탐지 및 번역
이에이트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NFLOW’와 디지털 트윈 플랫폼 ‘NDX PRO’를 통해 실시간으로 시뮬레이션 결과를 가시화하는 기술을 고도화했다고 3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을 위한 데이터들은 3D, 속성정보, 인터페이스 등으로 그 형태와 용량이 점점 방대해지고 있어 가시화 품질이 보장되어야 하며 데이터를 직관적이고 효과적으로 가시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다. 이에이트는 NDX PRO를 통해 언리얼 엔진과 유니티 같은 고급 시각화 기술을 활용해 기존 시뮬레이션 결과물의 비주얼을 대폭 개선했다. 또 고품질 3D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AI와 클라우드 기술의 확산으로 데이터 센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안전한 운영을 위한 에너지 사용량, 열 흐름, 건축 구조와 같은 주요 요소에 대한 시뮬레이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데이터 센터 시뮬레이션의 핵심은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정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NDX PRO는 데이터 센터 내부의 건축 구조, 설비 배치, 장비 상태 등을 정밀하게 시각화 해 에너지 사용량 최적화, 열 흐름 분석, 구조적 안정성 평가 등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실시간으로 구현한다. 이를 통해 데이
이에이트가 전산유체역학(CFD)에 AI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전산유체역학(CFD)은 유체의 흐름과 관련된 문제를 수치적으로 해결하는 방법론으로 다양한 물리 현상들에 대한 가상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계산 규모가 증가할수록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 또한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어 재난재해 분야와 같은 실시간에 가까운 결과 도출이 필요한 분야에서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이에이트는 AI-CFD 딥러닝 모델을 개발해 기존 CFD보다 시뮬레이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켰다. 본 모델은 이에이트의 NLFOW에 Beta-VAE(Variational Auto Encoder) 기술을 적용시킨 차수감축모델이다. NFLOW를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를 산출해내고, 산출해낸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을 학습시켜 기존에는 30분 이상 걸리던 해석 결과를 실시간에 가깝게 도출할 수 있게 됐다. 재난재해 시뮬레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실시간성이다. 재난 상황에서는 긴급 상황을 즉각적으로 반영해 구조대원이나 응급 서비스가 최적의 경로를 찾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분석 능
이에이트가 아이브리지닷컴(I-BRIDGE.COM)과 NFLOW 및 PIX4D 솔루션 공급 협의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MOU 체결은 이에이트가 국내외 공급망 다각화 차원에서 파트너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전략의 일환으로 국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이트의 NFLOW는 전자, 화학, 토목,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체의 흐름을 예측해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하는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이다. NFLOW는 스마트시티, 스마트팩토리, 스마트빌딩과 같은 대규모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뿐만 아니라, 혈관 질환 실시간 예후·예측 AI 임상의사결정지원 시스템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PIX4D는 이미지 기반 자동 3D 매핑 관련 솔루션으로 스마트시티, 건설 등에서 수요가 높은 3D 모델링 자동화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디지털 트윈의 핵심 요소로 고객들에게 혁신적인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고 이에이트는 전했다. 아이브리지닷컴은 20년 이상의 하드웨어 제조 및 시스템 조달 경력을 바탕으로 주요 공급 업체와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체결해왔다. 이번 MOU를 통해 이에이트의 핵심 솔루션 공급을 논의
이에이트는 지난 10월 24일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에 참석해 ‘지하철 역사 내 복잡한 건축물의 사전 분석을 위한 엔플로우(NFLOW) 군중 시뮬레이션 활용’에 대해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이에이트는 입자기반 시뮬레이션 엔플로우를 통해 다중이용시설에서 군중 각 개인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군중 밀도가 낮을 때는 군중들이 규칙에 따라 행동하지만, 혼잡해질수록 군중이 유체와 같은 행동을 나타내 각 개인을 하나의 입자로 표현, 군중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이트는 엔플로우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하철역과 같은 복잡한 건축 공간에서 발생하는 고밀도 군중 이동 패턴을 분석했다. 지하철 개찰구 앞에서 군중이 집중되는 현상과 히트맵 분석 결과를 대조해 군중의 주요 이동 경로와 병목 현상이 일치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했고, 고밀도 군중 해석에 있어 신뢰할 만한 결과 검증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이에이트는 군중의 행동 패턴을 보다 정교하게 이해함으로써 다수의 인원이 높은 밀도로 집중되는 다중이용시설에서 발생 가능한 예기치 못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했다. 고밀도 군중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식별하고 이
이에이트는 IT PARK의 Khen Aleksey 부사장이 우즈베키스탄의 스마트시티 사업을 구체화하기 위해 이에이트 본사를 방문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6월 우즈베키스탄 디지털 기술부 장관이 이에이트를 방문했으며 9월에는 이에이트가 우즈베키스탄을 직접 방문해 현지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한 바 있다. Khen Aleksey 부사장은 스마트시티 세부 사업의 범위와 내용을 확정하고 직접적인 계약 체결을 위해 이번에 방문했다. 우즈베키스탄은 타슈켄트 신도시 개발을 위한 스마트시티 구축을 300만㎡(약 90만 평) 규모로 조성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의 예산은 약 15억 달러에 달한다. 이는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인 타슈켄트의 급격한 인구 유입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이에이트는 설명했다. 이에이트와 우즈벡 IT PARK가 함께 진행하는 우즈베키스탄 디지털 트윈 공급 프로젝트는 크게 3단계로 나누어 추진한다. 이번 미팅에서는 첫 번째 단계로 우즈베키스탄의 디지털 혁신과 기술 발전을 주도하는 정부 기관인 디지털 기술부(Ministry of Digital Technologies) 건물 1개 층에 대한 PoC(Proof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