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엘에듀테인먼트와 한국교육평가진흥원이 해외 학습관리시스템(LMS) 교육 콘텐츠 수출 및 확산을 위합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디지털 교육 기반 구축, 해외 교육 콘텐츠 수출 확대, 실무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한다. 구체적으로 양 기관은 e-learning 및 LMS 콘텐츠 수출을 통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 신규 콘텐츠 및 시스템 개발 관련 기술 및 지식 정보 교류, LMS 시스템 관련 기술 지원, 해외 거주민 대상 온라인 교육 콘텐츠 송출 및 확산, 국가별 실무 인재 양성 및 관련 지식 함양을 위해 협력한다. LMS는 '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약자다. 인터넷을 통해 교육과정 설계, 구현, 관리하는 온라인 교육 지원 플랫폼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비대면 학습으로 전환하며 LMS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됐으며, 학습자들은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교육받을 수 있다. 특히 LMS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은 지역적 제약을 극복해 국제적인 교육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지엘에듀테인먼트 이준원 대표는 " SW/IT개발, 4차 산업 기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한국교육평가진흥
소상공인 7만명 대상 온라인 진출 지원 정부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내년 창업지원사업에 3조6,607억원을 투입한다고 중소벤처기업부가 29일 통합공고를 통해 밝혔다. 내년 창업지원사업에는 103개 기관 426개 사업이 포함돼 올해보다 지원사업 수는 48개 늘었다. 예산은 올해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중앙부처의 경우 중기부 예산이 3조3천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이어 고용노동부(589억원), 문화체육관광부(516억원) 등 순이었다. 광역지자체는 서울시가 396억원으로 가장 많고 경기(252억원), 전남(114억원) 순이다. 중기부는 또 이날 소상공인 7만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진출 역량 강화와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지원하는 내용의 '2023년 소상공인 온라인 판로지원사업'도 통합공고했다. 예산 944억원이 투입되는 해당 사업에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역량 제고를 위한 이러닝 교육과정 운영과 대학의 실습 중심 전문교육 과정을 확대하는 내용이 담겼다. 온라인 쇼핑몰에 소상공인 전용 기획전을 개설해 홍보 활동을 전개하고 TV홈쇼핑 입점을 희망하는 소상공인을 위해서는 입점비 또는 영상제작비 등을 지원한다. 정기결제 등을 통한 소상공인의 안정적 수익 창출을 위해 민간 제휴몰
[헬로티] (출처 : 라온피플) AI 전문기업 라온피플이 AI 미디어 솔루션 ‘라온쌤존(LAON SSEMZONE)’을 출시하고, AI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밝혔다. AI 머신비전 기반의 미디어 솔루션 ‘라온쌤존’은 데이터 학습 및 고도화를 통한 딥러닝 기반의 AI 얼굴인식과 사물인식 기술, 그리고 추적 촬영이 가능한 모션 트래킹(tracking) 기술이 접목된 알고리즘이 특징이다. 라온피플에 따르면, 1인 강의 및 개인방송에 최적화된 카메라와 딥러닝 알고리즘으로 강의자 및 동작, 칠판 필기 등 움직임과 주요 상황을 분석해 추적 촬영이 가능하고, AI가 자동으로 줌인과 아웃포커스를 제공함으로써 강의자 혼자서도 실제 수업과 같은 생생한 현장 영상을 촬영하고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으로 학생들의 성적과 진도, 출석 등을 관리해주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시스템, ZOOM을 포함한 다양한 온라인 소프트웨어와 연동이 가능하며, 삼각대와 케이블 등 간단한 구성품과 함께 AI 딥러닝 머신, 카메라, 소프트웨어가 포터블 형태로 제공돼 시간과 장소 구분없이 누
[첨단 헬로티] ▲ 애덤 밀러 코너스톤 온디맨드 창업자 겸 CEO 클라우드 기반의 러닝, 인재 관리 및 인재 경험 소프트웨어 분야 글로벌 기업 코너스톤 온디맨드(CSOD)는 12일, 광화문 포시즌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삼성전자를 국내 첫 고객으로 발표하면서 한국시장의 진출을 알렸다. 국내 진출을 위해 방한한 애덤 밀러(Adam Miller) 코너스톤 창립자 겸 CEO는 ‘파워 오브 포텐셜(The Power of Potential)’이란 주제의 키노트 발표에서 글로벌 기업 및 국내 기업이 인재교육과 인재 경험을 통한 기업 경쟁력 확보 방안을 발표했다. 애덤 밀러 CEO는 “현재 모든 산업군에서의 디지털화로 새로운 기술 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변화된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직업군이 지속적으로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 경쟁력확보 및 유지를 위해 직군에 맞는 인력을 선택하고, 기존 인력의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인재를 개발하고 잘 유지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코너스톤은 다른 경쟁사들과 차별화를 두고 있는 점은 사람, 즉 인재 개발에만 창업이래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한국형 첨단 시범교실 [그림=교육부] [헬로티] “첨단교실에서 인터넷 검색은 물론 최신 장비를 활용할 수 있어 벌써부터 수업시간이 기다려져요!” 우리나라 정부가 라오스 중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ICT시범수업에 참석한 학생인 펫삭핫의 환호다. 교육부는 라오스 비엔티엔에 위치한 비엔티엔 중등학교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시범교실’을 구축하고 25일에 개소식을 가졌다. 개소식은 한국 교육부 교육안전정보국장, 라오스 교육체육부 차관, 주 라오스 한국대사, 학교장을 비롯한 학생·교원 등 8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라오스 첨단교실에는 현지 수요조사 결과를 토대로 모둠별 협력학습 등 다양한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도록 라오스 환경에 적합한 교육정보 기자재 및 솔루션이 제공됐다. 또한, 현지 교원의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수업설계 역량 제고를 위해 연수교재를 개발하고, 정보화능력 함양 기본연수를 실시했다. 내년에는 첨단교실의 이러닝 활용 교육의 실제적 적용을 위해 심화연수를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자체 현지 전달연수도 지원할 계획이다. 공병영 교육안전정보국장은 개소식에서 “첨단교실 지
한국델켐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에서 ‘PowerMILL을 활용한 가공’ 연구과정이 연 24회 개설되어 PowerMILL E-learning 콘텐츠가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고 밝혔다. 기계공학 전공자, 기계가공 및 기계설계 분야 업무 종사자, CAM 분야와 금형 분야 관심자 등 PowerMILL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무료로 강의를 수강할 수 있다. PowerMILL E-learning 콘텐츠는 고용부의 위탁을 받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이 주관하여 NCS 기반 주요 능력 단위에 대하여 분야별 수요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PowerMILL을 활용한 가공’에서는 PowerMILL의 사용법과 활용 방법을 학습하여 복잡한 형상이나 금형가공에 필수 요소인 3차원 가공 프로그램을 PowerMILL로 생성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교육을 이수하게 되면 재료와 형상에 따른 공구 선택 및 절삭 조건을 선정할 수 있고 모델의 형상에 따라 공정별로 가공 방법을 선택하여 CAM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작성된 CAM 프로그램을 NC 데이터로 변환 수정하고 NC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이 화제다. 이 대학의 온라인평생교육원은 고용노동부가 지원하는 일학습병행제 및 평생능력개발 훈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평생능력개발 수요에 필요한 기술/공학 분야’ 중심의 이러닝 콘텐츠 개발 및 교육 운영을 수행하는 이러닝 학습 전문인재 양성기관으로 지난해 10월 문을 열었다. 임경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장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 최근 들어 국가가 지원하는 재직자 원격훈련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민간 기업의 이러닝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원격훈련 분야는 현재 사무관리, 금융, 경영 등 서비스업으로 편중되어 있고, 기계, 전기/전자, 정보통신 등의 기술교육 분야의 원격훈련은 부족한 실정이다. 재직자와 구직자 대상 직업훈련 지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한기대)의 온라인평생교육원은 민간에서 개발이 어려운 기술 및 공학 중심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중소기업 재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능력개발 지원 역할을 담당하며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한기대 온라인평생교육원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콘텐츠는 기계, 전기전자, 메카트로닉스, 디자인, HRD 등 약 120여 종의 콘텐츠로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