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E리서치, 중국 전기차 시장 및 중국계 OEM 해외 진출 동향 발표 올해 1~4월 동안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 약 372.3만 대 중, 중국에서의 전기차 판매 대수는 212.6만 대로 57.1%의 점유율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테슬라와 폭스바겐, BMW 등 非중국계 OEM들의 비중은 2020년 27.4%에서 2023년 16.7%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비중이 줄어드는 것과는 별개로 중국에서의 글로벌 OEM들의 판매 대수는 2020년 36만대, 2021년 74만대, 2022년 111만대로 연평균 성장률 77%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중국계 OEM들이 중국시장에서의 판매 비중을 83.3%까지 끌어올리며 내수시장 형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글로벌로의 안정적인 도약을 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계 OEM들의 해외판매 비중은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9년 이후 7% 전후로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판매된 전기차 대수는 2019년부터 81%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해외 진출 속도가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특히 BYD의 Atto3, SAIC의 MG 브랜드, 지리자동차의 Lynk & Co 등 다수의 중국계 O
디에이테크놀로지가 유럽 배터리 제조사에 2차전지 조립공정 제조 장비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규모는 241억 원이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28일 공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계약 기간인 이달부터 2024년 12월까지 2차전지 조립공정 장비를 생산 납품하게 된다. 본 장비는 지난 10월 총 34억 규모의 초도 개발장비 수주를 확보한 바 있으며 이번 계약을 통해 양산화를 위한 대규모 장비 공급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과거 고객사의 유럽 공장에 배터리 제조 장비를 납품한 이력이 있으나 이번 수주는 디에이테크놀로지 단독 영업을 통한 첫 유럽 수출로 의미가 크다. 이번 공급 계약을 시작으로 유럽 시장 확대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지난달 118억원 규모의 레이저패터닝 장비를 미국 소재 2차전지 제조기업에서 수주했으며 이번달에는 126억원 원통형 배터리 설비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지난 23일에는 LG전자에 467억 규모 스태킹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연이어 공시를 통해 밝혔다. 디에이테크놀로지 관계자는 “주력 핵심 배터리 제조 장비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독자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유럽 수주 확보에 성공했다”며 “최근 대규모 수
[헬로티] 유럽 대륙은 폴크스바겐, 벤츠, 포르쉐 등 이름만으로도 묵직한 거대 글로벌 완성차 브랜드들이 즐비한 자동차 제조업의 성지다. 내연기관차 부분에서는 그랬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한발 늦은 전기차 시장 진입...그러나 그러나 유럽의 자동차 제조 강자들은 친환경에너지차라는 세계적 흐름에는 엉거주춤하면서 선뜻 변화에 나서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결국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받는 중국의 전기차 회사들과 자동차 업계의 신흥 강자 테슬라에 선수를 빼앗기면서 적어도 전기차 산업에서는 뒤처지는 모양새였다. 그런데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미국 경제 전문 미디어 마켓워치는 지난 1일 유럽이 지난해 중국을 제치고 전기차 최대 시장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독일의 시장 분석업체 마티아스 슈미트의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 주요 유럽 시장에서 신규 등록된 전기차 수가 133만 대로 중국의 작년 신규 전기차 등록 대수를 10만 대 가까이 넘어섰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해 전 세계 전기차 시장 지역 점유율에서 유럽이 43%를 기록했고, 2019년 59%였던 중국의 시장점유율은 41%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중국, 유럽, 미국의 전기차 판매 성장률 추이(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