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현대자동차·기아가 두산퓨얼셀과 함께 새로운 방식으로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운영하여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보완하고 수소 경제 활성화에 앞장선다. 현대자동차·기아는 14일 울산테크노파크 수소연료전지 실증화 센터에서 현대자동차 오재혁 상무, ㈜두산퓨얼셀 박수철 전무, 울산테크노파크 우항수 단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마이크로그리드용 수소연료전지 분산발전 시스템 준공식’을 개최하고 시범 운전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앞서 3사는 2019년 10월 변동부하 대응이 가능한 수소연료전지 분산발전 시스템 구축 및 실증을 위한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올해 3월 해당 설비의 구축과 인허가 절차를 완료하고 금일 준공식을 기점으로 구축한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시범운전을 시작하며 협약의 내용을 완성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실증은 현대자동차·기아의 500kW급 고분자전해질(PEMFC) 연료전지와 두산퓨얼셀의 440kW급 인산형(PAFC) 연료전지가 함께 적용되어 서로 다른 방식의 연료전지 시스템을 조합해 운영한다는 특징을 가지며, 울산테크노파크가 해당 설비의 운영과 지원을 담당할 예정이다. 현대자동차·기아와 두산퓨얼셀은 이번 실증에서 연료전지 발전
[첨단 헬로티] 울산지역 제조혁신을 선도하는 역할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 울산테크노파크는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가 추진한 '2019년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사업'을 수행해 2019년 울산지역 77개사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울산지역에 구축된 77개사는 시범공장(1개사), 신규 구축(58개사), 고도화(17개사), 일괄지원(1개사) 등으로 구성된다. 산업별로는 기계금속(14개사), 자동차부품(32개사), 화학(13개사), 전기/철강(3개사), 기타(15개사) 등이며, 지원 규모별 분포는 5000만원 이하(17개사), 8000만원 이하(27개사), 1억원 이하(33개사)로 나타났다. 울산광역시는 지역 내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2019년에 시비 9억원의 예산을 활용해 46개사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구축비용 중 10%를 추가로 지원해 중소기업 민간부담금의 부담을 경감해주었다. 한편, 울산TP는 울산제조혁신 협의회, 스마트공장 수요기업발굴단,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기술교류회, 제조혁신실무협의회, 스마트마이스터, 수요-공급기업 매칭데이, 스마트제조혁신 국제세미나 등을 통해 울산지역 제조혁신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울산TP
[첨단 헬로티] 애로기술 해소 간담회, 기업지원 상담 부스, 기술·정책 포럼 등 열려 울산지역 15개 R&D 혁신기관들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처음으로 힘을 합쳐 한자리에 모였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성일, 이하 생기원)은 한국화학연구원, 울산테크노파크 등 울산 내 주요 R&D 혁신기관들과 함께 5일 동천컨벤션에서 ‘2019 울산 이노테크 페어(Ulsan Inno-Tech Fair)’를 개최했다. ‘중소·중견기업과 함께하는 산업현장 기술혁신’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기관별 성과를 공유하고 연구자와 기업 간 만남을 통해 지역 주력산업의 기술 고도화를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행사는 크게 1부 성과 전시 및 기업지원 상담 부스 관람, 2부 개막식 및 기업지원 유공자 표창, 3부 기술·정책 포럼, 4부 생산현장혁신 애로기술 해소 간담회로 구성됐다. 공동주관을 맡은 생기원은 1부 행사에서 과학기술 체험관과 함께 뿌리산업 분야의 지원사업을 소개하는 국가뿌리산업진흥센터 부스, 화학물질의 등록·평가·관리에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