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트룩스가 미국 법인을 통해 선보인 AI 에이전트 서비스 ‘구버(GooVa)’가 출시 3개월 만에 글로벌 이용자 100만 명을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AI 검색, 자동 브리핑, 리포트 생성 등 차별화된 기능을 앞세운 구버는 개인 투자자, 연구자, 기업 관계자 등 다양한 사용자층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구버의 주요 기능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사용자가 질문하면 최적화된 답변과 함께 출처를 제공하는 ‘에스크 구버’, 관심 주제에 관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요약하는 ‘브리핑 에이전트’, 단 3분 만에 완성되는 ‘AI 리포트’, 그리고 AI 보이스를 기반으로 한 ‘팟캐스트’ 서비스가 그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단순 정보 검색을 넘어 맞춤형 정보 소비와 콘텐츠 생산을 동시에 지원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했다. 특히 구버는 세계 최고 수준의 추론 모델을 기반으로 한 딥 리서치와 심층 리포트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 복잡한 데이터 분석이나 심층적인 인사이트가 필요한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연구자와 개인 투자자, 벤처캐피털 투자심사역에게도 주목받고 있다. 솔트룩스는 기업 고객을 위한 온프레미스 버전 ‘구버 엔터프라이즈’도 선보였다.
코난테크놀로지가 개발한 고성능 검색증강생성(RAG) 솔루션 ‘코난 RAG-X’가 지난달 GS인증 1등급을 획득하며 시장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GS인증 1등급은 국가 표준에 따라 공인 시험기관의 엄격한 품질 검증을 통과한 소프트웨어에 부여되는 최고 등급으로, 인증 제품은 조달청 우선 구매 대상으로 지정된다. 이번 성과로 코난테크놀로지는 공공 및 국방 분야 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낼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코난 RAG-X’는 코난테크놀로지가 지난 2월 자체 개발해 선보인 RAG 솔루션으로, 다년간의 검색 기술 노하우와 정밀한 벡터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한다. 특정 소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아내고, 이를 생성형 AI와 결합해 신뢰성 있는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기업 내부 문서, 기존 레거시 시스템, 실시간 외부 웹사이트, 공공기관 자료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연동할 수 있어 웹 기반 검색에 한정된 다른 솔루션과 차별화된다. 이 솔루션은 내부 민감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외부 최신 정보와 결합해 답변을 생성하기 때문에 보안성과 최신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산업 현장에 적합하다. 생성형 AI 도입이 확산되면서 기업들은 최신 정보 반영
워카토(Workato)가 9월 11일 오후 2시 ‘AI 오케스트레이션으로 기업의 미래를 오케스트레이션 하다’를 주제로 웨비나를 진행한다. 이번 웨비나는 최근 부상하는 AI 오케스트레이션(AI Orchestration)의 전략적 가치와 실제 적용 사례를 심도 있게 다룬다. 단순 자동화를 넘어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AI 에이전트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기업 신경계’ 운영 모델을 소개할 예정이다. AI와 에이전트 협업은 필수 과제로 부상했지만 단순한 도입만으로는 성과를 보장할 수 없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AI 오케스트레이션을 설계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현장 사례와 아키텍처 설계 포인트를 통해 제시한다. 특히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AI 에이전트를 통합해 기업의 신경계처럼 작동하는 워카토의 전략적 접근법이 공개될 예정이다. 디지털 전환과 AI 기반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가 신청은 B2B 테크전문채널 토크아이티 홈페이지(https://talkit.tv/main/events/3579)에서 사전 등록을 통해 가능하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마이크로소프트가 전 세계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자사 AI·클라우드·보안 솔루션을 활용한 구체적인 성과 사례를 공개했다. 이번 발표는 ‘AI 퍼스트(AI-first)’ 전략을 중심으로 기업들이 비즈니스 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기술이 어떤 변화를 이끌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IDC가 발표한 ‘2025 CEO 우선순위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CEO의 66%는 생성형 AI를 통해 운영 효율성 제고와 고객 만족도 개선 등에서 실제 성과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또 기업이 AI에 1달러를 지출할 때 평균 4.9달러의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직원 경험 강화, 고객 경험 혁신, 비즈니스 프로세스 재설계, 혁신 가속화라는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기업 변화를 지원하고 있다. 현재 포춘 500대 기업의 85% 이상이 마이크로소프트 AI 솔루션을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를 보면, 메르세데스 벤츠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과 팀즈, 인튠을 차량 운영체제에 통합해 자동차를 ‘이동형 오피스’로 전환했다. 운전자는 음성 명령으로 이메일 요약, 일정 확인, 화상회의 참여가 가능하며, 보안 환경이 보장된 업무용 계정을
오라클과 구글 클라우드가 생성형 AI 분야에서 협력을 한 단계 더 확대한다. 양사는 구글의 최신 AI 모델인 ‘제미나이(Gemini) 2.5’를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 생성형 AI 서비스에서 제공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오라클 고객은 멀티모달 이해, 고급 코딩과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 향상과 프로세스 자동화, 연구 및 지식 검색 등 다양한 활용 사례에서 AI 에이전트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오라클은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구글 클라우드의 ‘버텍스 AI(Vertex AI)’와 통합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제미나이 전체 모델 제품군을 OCI 생성형 AI 서비스에서 제공할 계획이다. 여기에는 비디오, 이미지, 음성, 음악 생성 모델과 의료 산업 특화 모델인 MedLM도 포함된다. 또한 오라클 퓨전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Fusion Cloud Applications)에서도 버텍스 AI 기반 제미나이 모델을 옵션으로 제공해 금융, 인사, 공급망, 영업, 서비스, 마케팅 등 핵심 업무 영역에 AI 기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오라클 고객은 기존 보유한 오라클 유니버설 크레딧(Oracle Universal Credits)을 활용해 제미나이
델 테크놀로지스가 AI 데이터 플랫폼을 대폭 강화하며 엔비디아, 엘라스틱과의 협력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AI 가속화를 본격화한다. 이번 업데이트는 데이터 수집부터 변환, 추론까지 AI 수명주기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정형 데이터 활용도를 확대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델 AI 데이터 플랫폼(Dell AI Data Platform)’을 통해 방대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 변환, 검색해 생성형 AI에 적합한 고품질 데이터 인텔리전스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워크로드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데이터 준비와 통합, 엔드투엔드 성능을 갖춘 인프라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델은 플랫폼의 자동화된 데이터 준비 기능과 전용 스토리지, 데이터 엔진을 결합해 AI 운영 전환 속도를 단축시킨다. 특히 델은 엔비디아 AI 데이터 플랫폼과의 레퍼런스 설계를 기반으로 스토리지, 컴퓨팅, 네트워킹, AI 소프트웨어를 통합한 GPU 가속형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새롭게 추가된 ‘비정형 데이터 엔진’은 대규모 비정형 데이터셋에 실시간 보안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추론과 지능형 검색을 지원한다. 이 엔진은 벡터 검색 분야 선도 기업인 엘라스
AI 반도체 기업 퓨리오사AI가 시리즈 C 브릿지 라운드에서 17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 1조 원을 달성했다. 이번 투자에는 산업은행, 기업은행, 카카오인베스트먼트 등 기존 투자자뿐 아니라 케이스톤파트너스, 피아이파트너즈, 대성창업투자 등 사모펀드(PE)까지 참여해 시장 신뢰를 입증했다. 특히 기술 리스크가 큰 초기 기업에는 보수적인 PE가 총 400억 원 규모로 투자에 참여한 점은 퓨리오사AI가 성장 단계(Growth Stage) 기업으로 전환됐다는 평가를 뒷받침했다. 이번 투자는 pre-money 기준 8300억 원의 기업가치를 기반으로 총 40여 개 기관이 참여한 대규모 라운드로 구성됐다. 퓨리오사AI는 이번 자금을 자사의 2세대 AI 반도체 ‘레니게이드(RNGD)’ 양산과 3세대 제품 초기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레니게이드는 최근 LG AI연구원이 개발한 대규모 언어모델 EXAONE에 채택돼 기존 GPU 대비 2.25배 높은 전력당 성능을 입증하며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는 기술력과 비전에 대한 자본시장의 신뢰를 보여준 결과"라며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매출 확대를
AI 플랫폼 구축 비용 절감, 기존 IT 자산의 투자 보호 등 공동 추진 다올티에스가 EDB(EnterpriseDB)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차세대 AI 및 분석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본격 나섰다. 이번 협약은 오픈소스 기술 기반의 AI 경쟁력 강화와 데이터 인프라 고도화를 위한 파트너십으로, 기업의 데이터 전환을 가속화할 수 있는 실질적 해법으로 주목된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AI 플랫폼 구축 비용 절감, 기존 IT 자산의 투자 보호, 그리고 데이터 기반 혁신을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다올티에스가 보유한 AI 플랫폼 구축 경험과 EDB의 데이터 레이크하우스 기술을 결합해, 대규모 기업 고객에게 최적화된 고성능 데이터 환경을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EDB는 오픈소스 PostgreSQL을 기업 환경에 맞게 확장한 Postgres AI 플랫폼을 제공하며, 데이터 현대화와 고속 분석,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한다. 이 중에서도 'WarehousePG'는 분산 병렬 처리와 벡터 검색 기능을 갖춘 데이터 레이크하우스로, 대규모 분석과 AI 워크로드에 특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다올티에스는 델 테크놀로지스의 국내 공식 총판사로, AI 서버
실시간 운영 가시성과 연결 확장성 강화...조직 내 AI 전략 실행의 실효성 높여 세일즈포스가 AI 에이전트 플랫폼 ‘에이전트포스(Agentforce)’의 차세대 버전 ‘에이전트포스 3’를 발표하며, 디지털 워크포스 구현을 위한 기술적 완성도를 높였다. 실시간 운영 가시성과 연결 확장성을 강화한 이번 업그레이드는 조직 내 AI 전략 실행의 실효성을 높이고,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버전의 핵심 기능은 ‘커맨드 센터(Command Center)’다. 실시간 모니터링 기반으로 운영되는 커맨드 센터는 대화 유형, 오류율, 응답 속도 등 AI 에이전트 성능을 주요 지표로 시각화해 관리자에게 실시간 제어와 운영 상태에 대한 명확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로써 기업은 AI 에이전트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신속히 대응하고,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해진다. 기술 아키텍처도 눈에 띄게 진화했다. 새롭게 도입된 ‘아틀라스 아키텍처(Atlas Architecture)’는 응답 속도를 50% 이상 향상시켰으며, 실시간 스트리밍 기반의 데이터 수집과 출처 인용 기능을 통해 응답의 신뢰도를 높였다. 다국어 지원도 확대돼 현재 프랑스어, 독일
OCI의 AI 인프라 활용해 ‘그록 3’의 추론 및 학습 성능 극대화 추진 xAI가 오라클과 전략적 협업을 체결하고, 자사의 멀티모달 AI 모델 ‘그록(Grok)’을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를 통해 기업 시장에 본격적으로 제공한다고 20일 발표했다. 이번 협업으로 xAI는 OCI의 생성형 AI 서비스를 기반으로 콘텐츠 제작, 연구, 비즈니스 프로세스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록 모델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차세대 모델인 ‘그록 3’의 추론과 학습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갖춘 OCI의 AI 인프라가 적극 활용된다. xAI 공동 설립자인 지미 바는 “그록 3은 AI 기능의 새로운 도약을 보여줬으며, 오라클의 데이터 플랫폼은 이를 기업 현장에 빠르게 적용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번 협업은 엔터프라이즈급 AI의 정의를 다시 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xAI는 2023년 설립 이후, 인간의 사고 능력 확장을 목표로 한 첨단 AI 기술을 연구·개발해왔다. 최신 모델인 그록 3은 강화 학습 기반의 추론 기능을 통해 수학, 코딩, 범용 이해 영역에서 고성능을 기록했으며, 기업 시장에
양사 기술 협력으로 맞춤형 인사이트 제공 및 대화형 AI 정확성과 활용도 높여 투플랫폼과 콕스웨이브가 대화형 AI 기술 고도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 5월 31일 체결됐으며, 양사는 협업을 통해 AICC부터 기업 내부 챗봇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최적화된 대화형 AI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투플랫폼은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두고 한국과 인도를 주요 거점으로 운영 중인 글로벌 AI 스타트업이다. 독자 개발한 다국어 특화 AI 모델 ‘수트라(SUTRA)’를 기반으로 음성 인식, 비주얼 분석, 지식 증류 등 다양한 AI 기술을 개발해 왔으며, 특히 아시아태평양(APAC) 지역에서 기업 고객을 중심으로 입지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콕스웨이브는 생성형 AI 기반의 서비스 개선을 위한 AI 제품 분석 플랫폼 ‘얼라인(Align)’을 중심으로 대화형 AI의 구축과 운영, 성능 분석 및 개선까지 포괄하는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클로드 개발사 앤트로픽과의 '코리아 빌더 서밋' 공동 주최, PwC 인도, BTQ 등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산업군의 AI 전환을 이끌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실제 데이터가 부족한 산업군에서도 정밀한 도메인 특화 모델 신속하게 만들어 투플랫폼이 기업 환경에 최적화한 지식 증류 프레임워크 ‘수트라 D3(SUTRA D3)’를 공개했다. 이번 프레임워크는 제한된 데이터와 적은 비용으로 도메인 특화 모델을 쉽고 빠르게 구축 및 배포하도록 설계됐다. 지식 증류(Knowledge Distillation)는 최근 AI 업계에서 주목받는 기술로, 대형 언어모델(LLM)을 실제 업무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비용 문제와 확장성 한계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파인튜닝 방식은 막대한 데이터와 비용, 그리고 긴 학습 시간이 필요했지만, 지식 증류는 대형 모델의 결과를 모방해 소형 모델을 학습시키는 방식으로 경량화와 비용 절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투플랫폼은 이러한 시장 흐름에 발맞춰 수트라 D3를 선보이며, AI 전환(AI Transformation, AX) 시대 기업들의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수트라 D3는 지식 증류(Distillation), 도메인 특화(Domain), 데이터 중심 학습(Data)이라는 세 가지 핵심 요소를 기반으로 설계됐다. 특히, 대형 모델이 생성한 합성 데이터를 활용해 실제 데이터
AI 특화 하드웨어 중심의 엔드 투 엔드 구성…확장성과 오픈성 모두 갖춰 인텔과 델이 손잡고 엔터프라이즈 AI 시장을 겨냥한 새로운 통합 플랫폼을 공개했다. 델 테크놀로지스의 최신 AI 인프라 포트폴리오인 ‘델 AI 팩토리(Dell AI Factory)’에 인텔의 Gaudi 3 AI 가속기를 탑재한 ‘인텔 기반 델 AI 플랫폼(Dell AI Platform with Intel)’이 새롭게 합류한 것이다. 이 플랫폼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부터 엣지 추론까지 다양한 AI 워크로드에 최적화돼 있으며, 검증된 하드웨어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기업의 AI 도입과 확장을 가속화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델의 신뢰할 수 있는 인프라 전문성과 인텔의 AI 하드웨어 역량이 결합된 이번 플랫폼은 유연성과 확장성, 그리고 비용 효율성까지 고루 갖춘 것이 특징이다. 특히 Llama 3 80B 모델 추론 성능 기준으로 경쟁 제품인 엔비디아 H100 대비 70% 이상 우수한 가격대 성능비를 기록한 인텔 Gaudi 3가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인텔 기반 델 AI 플랫폼은 5세대 인텔 제온 프로세서와 Gaudi 3 가속기를 탑재한 파워엣지 XE9680 서버를 중심으로
런웨이 핵심 기능을 실시간 데모 및 응용 애플리케이션 공개 마키나락스가 오는 5월 14일부터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AI 엑스포 코리아 2025’에 참가한다. 이번 전시는 마키나락스가 AI 엑스포에 처음으로 부스를 열고 자사 플랫폼 ‘런웨이(MakinaRocks Runway)’를 공개하는 자리로 주목받고 있다. 마키나락스는 전시 기간 동안 부스를 통해 런웨이의 핵심 기능을 실시간 데모 형태로 선보이며, 산업 현장에서 AI 도입을 고려 중인 기업에 직접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기업 내부 데이터를 간편하게 연결해 맞춤형 챗봇을 개발하거나, LLM 기반 웹 대시보드를 빠르게 구축하는 응용 애플리케이션도 함께 공개된다. 이번 참가를 기념해 마키나락스는 중소 조직에서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런웨이 라이트(Runway Lite)’ 버전과 AI 서버 어플라이언스 형태의 다양한 오퍼링도 함께 선보이며, 산업계 AI 활용의 문턱을 낮추는 데 방점을 뒀다. 마키나락스 윤성호 대표는 “런웨이는 기업이 AI를 가장 가볍게 시작해 가장 빠르게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AI 플랫폼”이라며 “이번 전시를 통해 고객들이 런웨이에서 어떻게 핵심 업무에 AI를
전시회서 치타, 가젤, 세렝게티 등 세 가지 핵심 솔루션 소개 예정 에이프리카가 오는 5월 14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AI EXPO SEOUL 2025’에 참가해 폐쇄망 환경에서도 구축 가능한 Private AI Agent 솔루션을 공개한다. 에이프리카는 이번 전시를 통해 산업 맞춤형 RAG 프레임워크와 운영 자동화 체계를 결합한 프라이빗 AI 통합 플랫폼을 선보인다. 'Build Your Own Private AI Agent'라는 슬로건 아래, 외부 네트워크가 차단된 기업 환경에서도 신속하게 자체 AI 에이전트를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에이프리카는 이번 전시에서 치타(Cheetah), 가젤(Gazelle), 세렝게티(Serengeti) 등 세 가지 핵심 솔루션을 소개한다. 치타는 데이터 수집부터 모델 개발, 배포, 인프라 운영까지 AI 개발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MLOps·LLMOps 통합 플랫폼이다. 다양한 컴퓨팅 환경에서 안정성과 확장성을 보장하며, 기업이 원하는 형태의 AI 워크로드를 빠르게 구축하고 운영하도록 지원한다. 가젤 RAG는 건설, 금융, 공공 등 산업별 요구에 맞춘 에이전틱 RAG 프레임워크다. 프라이빗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