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핀글로벌이 2025년 정기 임원 인사를 실시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인사를 통해 한대영 영업2본부 전무가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한대영 신임 부사장은 IT 인프라 및 클라우드 업계에서 20년 이상 경력을 쌓아오며 비즈니스 확장과 시장 개척에 기여해온 인물이다. 베스핀글로벌 합류 이전에는 에스넷그룹 굿어스와 굿어스데이터에서 DBMS 및 클라우드 부문의 성장을 주도하며 업계 내 입지를 강화했다. 한 부사장은 2017년 베스핀글로벌 입사 이후 ▲SMB(중소기업) ▲스타트업 ▲게임 ▲유통(리테일)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고객 기반을 확대하며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써왔다. 또한 사업부장 및 본부장 등을 역임하며 조직 운영과 시장 전략 수립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베스핀글로벌은 “이번 인사를 통해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시장 내 영향력을 확장하는 동시에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다지는 데 집중할 계획”이라며 “한대영 부사장은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 및 파트너사와의 협력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산업별 특화 전략을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에스넷그룹이 2025년 조직개편을 단행하며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한 새로운 경영 체제를 구축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은 단순한 구조 변화에 그치지 않고 직원과 주주 모두에게 명확하고 강력한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데 방점을 두고 있다. 에스넷그룹은 가치 경영을 통해 직원들에게는 성장과 혁신의 기회를, 주주들에게는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투자 가치를 제공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젊은 리더십을 전면에 내세워 빠르고 도전적인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했다. 이번 개편으로 40대~50대 초반의 젊은 임원진을 본부장과 사업부장으로 발탁해 신속하고 과감한 의사결정이 가능토록 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보수적이고 경직된 조직문화에서 벗어나,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경영 환경을 조성했다. 또한 에스넷그룹은 ‘AI 인프라·서비스 통합 사업자’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AI 1세대 전문가인 박효대 회장이 약 3년 만에 경영 일선으로 복귀해 직접 그룹의 AI 중심 경영 체제를 진두지휘한다. 박 회장은 지난 8년간 AI 기술에 꾸준히 투자하고 개발을 주도해 온 만큼, 이를 그룹의 성장 핵심 동력으로 삼아 기업 가치를 한층 더 높이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한 각자 대표로 사업총괄을 맡게
에스넷그룹이 에스넷의 기술센터인 S2F센터에서 '2024 에스넷 클라우드 로드맵 미디어데이' 행사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에스넷그룹이 AI 플랫폼 선두기업으로서 나아가기 위해 지금까지 다져온 클라우드 사업 현황과 경쟁력을 공유하는 자리다. 에스넷그룹은 기존 가상화 기술력을 기반으로 대규모 프라이빗 클라우드 사업과 더불어 네이버클라우드, 아마존웹서비스(AWS), 삼성클라우드 플랫폼(SCP) 등 국내외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의 퍼블릭 클라우드 사업 그리고 엔비디아와 파트너십을 통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을 펼친다. 이를 위해 ▲기술개발센터인 'S2F센터' ▲고객체험프로그램인 'S2F CED(S2F Customer Experience Day)' ▲클라우드 가시성 확보를 위한 에스넷의 노하우 등의 경쟁력으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할 수 있는 차별화된 역량을 내세웠다. S2F센터는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술 개발 및 제안과 기술 체험부터 도입에 이르기까지 최상의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는 플랫폼이자 공간이다. 또한 고객의 클라우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클라우드 as a 서비스 ▲클라우드 운영 서비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제 서비스 등
에스넷그룹이 그룹 간 시너지 및 내실강화를 위한 2024년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2일 밝혔다. 에스넷그룹은 이번 조직개편으로 제품개발 전략과 마케팅 전략 연계로 고객사 및 벤더사와 비즈니스 가치 창출, 미래전략실 기능 보강을 통한 그룹 미래 동향 확보, 리소스관리 조직 일원화로 리스크 예방 및 내실경영 강화 등 그룹 간 시너지 극대화에 방점을 찍는다는 방침이다. 각 계열사는 사업 운영의 내실을 다지는 한편 고객 중심 서비스를 통해 각사 경쟁력을 극대화하고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직으로 재배치했다. 에스넷 부문은 지속성장 경영 기반 조성을 위해 CVO(Chief Investment Officer, 최고 투자 책임자)를 신설했다. CVO는 회사 성장을 위한 M&A(인수∙합병)와 관계사 간 시너지 극대화를 위한 투자전략 수립·실행을 담당한다. 또한 클라우드 시장 확대를 위해 컨설팅 역량 중심으로 기술 센터를 재편했다. 특히 기존의 경쟁력있는 인프라 사업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생태계로 연계·확장할 계획이다. 인성정보 부문은 IT 매니지드 서비스인 'AZit(아지트)' 사업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관련 사업부를 신설했다. 또한 전사 조직을 4개 본부 12개 사업
에스넷그룹은 비전선포식 1주년을 맞이해 자에스넷그룹 기술개발센터 'S2F센터'에서 그룹 임직원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중심 사업을 점검하고, 이를 토대로 각 사별 중점 육성 사업을 활성화 한다고 4일 밝혔다. 지난해 비전선포식을 통해 에스넷그룹은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 맞춰 '에스넷3.0' 비전을 제시하고, 종합ICT 서비스 플랫폼 기업으로 변신을 선언한데 이어 그룹사 시너지 창출을 위해 CI를 통합 한 바 있다. 올해는 비전선포 1주년을 맞이해 2022년 대비 클라우드 성장이 약 2배에 이르는 등 클라우드 관련 성과를 재조명하고, 미래 IT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각 사 중점 육성 사업을 활성화하겠다고 선언했다. 박효대 에스넷그룹 회장은 "핵심벤더 장비 및 솔루션을 S2F센터에 테스트베드로 구축하며 관련 사업에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에스넷시스템은 프라이빗 클라우드, 굿어스데이터는 네이버 클라우드 MSP, 인성정보는 공공클라우드 등에 좋은 성과를 가질 수 있었다"며 "지속적으로 클라우드를 사업을 확대하고 각 사 사업조정 및 중점 육성 사업을 활성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일 에스넷그룹은 역량 강화를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하기도 했다. 종합 클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