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최근 2050 탄소중립, ESG경영 확산 등으로 국내 주요 제조사들이 기존 주력사업을 넘어 친환경 신사업 추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 사업을 넘어 새롭게 친환경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은 10개 중 4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들은 친환경 신사업 활성화를 위해 세제·금융지원이 가장 시급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국내 매출액 상위 5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제조기업의 친환경 신사업 추진실태와 과제’를 조사한 결과, 친환경 신사업 추진과정에서 필요한 정책과제로 ‘세제 금융 지원’(42.0%)’을 가장 많이 꼽았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이어 ‘법 제도 합리화’(38.7%), ‘정부 R&D 확대’(17.7%), ‘인력양성’(1.6%)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제조기업에게 ‘기존 사업을 넘어 새롭게 친환경 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는지’ 물었더니, 응답 기업의 37.7%는 친환경 신사업을 ‘추진중’(20.7%) 또는 ‘추진계획이 있다’(17.0%)고 답했다. ‘추진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62.3%였다. 친환경 신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로 ‘2050 탄소중립, 탈(脫)플라스틱 등 국내외 환경
[첨단 헬로티] 5월 2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한 전동기 산업 정책 세미나’가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더불어민주당 이훈 국회의원(산업통산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주최하고, 한국전기산업진흥회, 전동기협의회가 주관했다. 한국전기연구원 강도현 박사는 ‘전동기 고효율화에 의한 발전설비 절감 및 신산업 창출’이란 발제로 세미나의 문을 열었다. 강 박사는 “초고효율 전동기 산업은 의무로 시행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중국 등 해외 국가보다 앞서 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며 “핸드폰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하면서 삼성과 애플이 시장을 선점할 수 있었다. 전동기 시장도 지금 독일 SIEMENS ABB 등이 장악하고 있지만, 한국에게도 기회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에너지 전환과 전동기산업 역할에 대해 발표한 에너지경제연구원 이성인 박사는 “정부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30년 20% 확대할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효율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난 53년 동안 전동기 기술발전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