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봇산업협회(이하 로봇협회)는 오는 8월 21일부터 25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2024 중국 베이징 로봇전시회(WRC 2024)’에 참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매년 8월 개최되는 WRC 2024는 중국인민공화국 국무원의 허가를 받아 베이징 인민정부, 중화인민공화국공업정보화부(MIIT), 중국과학기술협회(CAST)가 주최하고 중국전자학회(CIE)가 주관하는 행사다. 시진핑 주석, 리커창 총리, 류옌둥 부총리 등 중국 정부,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 지도자들의 지원을 받는 중요한 행사로 꼽힌다. WRC는 전시회, 컨퍼런스, 경진대회, 총 3개의 행사가 동시개최되는 로봇 통합행사다. 매년 전시회에서는 중국 글로벌 로봇기업의 신제품과 신기술이 소개되며, 컨퍼런스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로봇산업 전문가가 모두 연사로 참여해 최신 로봇기술 연구결과를 선보이는 자리로 알려져 있다. 로봇협회는 코트라와 함께 한국관을 구성 및 운영할 예정이다. 한국관은 A홀 A106에 위치하며 참가기업은 나라오토시스, 도구공간, 브릴스, 세인플렉스, 시그봇, 쎄텍, 에이딘로보틱스, 유엔디, 유일로보틱스, 코보시스 등 10개사다. 로봇협회 관계자는 “매년 협회에서 실시하는 로봇
한국로봇산업협회, 로봇 분야 한국관 운영...협동 로봇부터 AMR까지 “국내 로봇기업의 우수한 기술력 선보일 것” 독일 하노버에서 개최하는 산업 전시회 ‘2024 독일 하노버 산업 전시회(이하 하노버 메세 2024)’가 개막 100일을 앞두고 있다. 이에 한국로봇산업협회는 한국기계산업진흥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함께 한국관을 설치해 국내 로봇기업의 기술력을 전파할 방침이다. 하노버 메세는 기계·전기공학·디지털 산업·에너지 산업 등 업체가 참가하는 연례 산업 박람회다. 올해는 인공지능(AI), 탄소중립, 에너지 시스템, 인더스트리 4.0, 제조업-X, 수소 연료 전지 등 최근 산업 트렌드를 이끄는 영역을 다룬다. 한국로봇산업협회는 한국관 내 로봇 분야를 담당하는데, 자동화·모션·드라이브 등 품목이 출품되는 세션에 자리한다. 여기에 참가하는 기업은 나라코퍼레이션, 뉴로메카,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보티즈, 릴리커버, 쎄텍, 씬그립, 아고스비전, 에스비비테크, 에이딘로보틱스, 티라로보틱스 등 제조로봇, 서비스 로봇, 로봇 부품, 로봇 솔루션 기업 11사다. 한국로봇산업협회 관계자는 “하노버 메세는 각종 산업군의 바이어를 만날 수 있는 산업의 장”이라며 “이번 한국관
쎄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너트런너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쎄텍은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의 토르크 트랜스듀서, 로드셀, 너트런너, 인디게이터, 변위변환기와 디지털 인디게이터, 증폭기 등을 제조, 판매하는 종합계측기 메이커다. 쎄텍은 회전형 토르크 트랜스듀서 및 너트런너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자동차 및 부품 관련 메이커의 생산설비에 공급하고 있다. 또한 동남아시아, 인도, 이집트, 미국, 독일 등 전 세계에 수출하고 있다. 나사체결기 STNR TYPE의 너트러너는 소형 경량으로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구동 모터는 AC 서보를 채택해 브러시 교환이 필요 없다. SEQUENCE 제어가 용이하며, 토르크 효율을 향상시켜 ±0.5%대의 고정밀도를 실현했고,
쎄텍이 오는 4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2(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2, 이하 SF+AW 2022)’에 참가한다. 쎄텍은 이번 SF+AW 2022에서 토크트랜스듀서, 너트런너를 선보인다. 토르크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의 내부 비틀림을 신호처리해 직접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를이용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토르크를 측정, 제어하는 장치다. 나사체결기 STNR TYPE의NUTRUNNER는 소형경량으로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구동 MOTOR는 AC SERVO를 채택해 BRUSH 교환이 필요 없고, SEQUENCE 제어가 용이하다. 토르크효율을 향상시켜 ±0.5%대의 고정밀도를 실현했으며 일정한 토크로 볼트 및너트를 체결하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쎄텍은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을 방식의 토르크 트랜스듀서, 로드셀, 너트런너, 인디게이터, 변위변환기와 디지털 인디게이터, 증폭기 등을 제조, 판매하는 종합계측기 메이커다. 회전형 토르크 트랜스듀서 및 너트런너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자동차 및 부품 관련메이커의 생산설비에 다수 채택되어 좋은 호평을 받아 왔다. 동남아시아,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쎄텍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나사체결기, 토크센서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쎄텍의 STNR 타입 나사체결기(Nut Runner)는 소형경량으로 설치, 운전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구동 모터는 AC서보를 채택하여 브러쉬 교환이 필요 없고, 시퀀스 제어가 용이하며, 토르크효율을 향상시켜 ±0.5%대의 고정밀도를 실현하였으며 일정한 토크로 볼트 및너트를 체결하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토크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의 내부 비틀림을 신호처리하여 직접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토크를 측정·제어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쎄텍이 오는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열리는 2017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2017: KOMAF 2017)에서 너트 러너를 선보인다. 스트레인 게이지 방식의 토크 트랜스듀서, 로드셀, 너트 러너, 변위변환기와 디지털 인디케이터, 증폭기 등을 제조, 판매하는 종합 계측기 메이커 쎄텍은 STNR 타입의 너트 러너를 공급하고 있다. 이 제품은 소형 경량으로 설치, 운전,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구동 모터는 AC 서보를 채택해 브러시 교환이 필요 없다. 또한 시퀀스 제어가 용이하고, 토크 효율을 향상시켜 ±0.5%대의 고정밀도를 실현했다. 그리고 토크 트랜스듀서는 높은 RPM과 내구성을 자랑하며, 항공 엔진 테스트를 비롯해 다양한 테스트에 사용되고 있다. 올해로 40년째를 맞이하는 2017 한국기계전(Korea Machinery Fair 2017: KOMAF 2017)은 한국기계산업진흥회가 개최하며, 20개국에서 600개사 2,400부스로 참여한다. 기계류 수요창출 및 수출 증대, 거래선 발굴, 신규산업 수요창출 및 기술선도, 시장정보 교류 및 첨단기술 소개/보급, 신기술 비교전시를 통한 개발의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