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IC가 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자국 내 수요에 힘입어 최대 분기 실적을 올렸다. 9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SMIC는 지난 3분기(7∼9월)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34% 늘어난 21억7천만달러(약 3조원)를 기록했다고 지난 7일 공시했다. SMIC 분기 매출이 20억달러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순이익은 1억4천880만달러(약 2천억원)로, 작년 동기 대비 58.3%나 늘어났다. 3분기 매출 가운데 86.4%는 중국에서 나왔고 미국과 유럽·아시아 비중은 각각 10.6%와 3%였다. SMIC는 2020년 12월 미국 제재 리스트에 올라 반도체 첨단장비에 대한 접근이 차단당하자 레거시(구형) 제품 판매 확대로 돌파구를 마련했다. 미국의 제재 속에 화훙반도체와 넥스칩 등 다른 중국 반도체 회사들의 3분기 실적도 호조를 보였다. 이에 따라 재집권에 성공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후 중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통제를 강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마이클 맥콜 미국 하원 외교위원장(공화·텍사스)이 미 상무부에 SMIC 시설을 조사하고 화웨이를 위해 불법적으로 반도체를 생산하는지 여부를 규명해야 한다고 최근 촉구하는 등 벌
두 기업의 3분기 실적, 콘텐츠 분야에서 희비가 엇갈려 네이버와 카카오의 올해 3분기 실적이 콘텐츠 매출 등 요인으로 엇갈렸다. 네이버는 8일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한 2조7천156억원, 영업이익은 38.2% 증가한 5천253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5천32억원을 4.4% 상회했다. 네이버가 영업이익 5천억원을 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영업이익률은 3.8%포인트 오른 19.3%를 기록하며 6분기 연속 상승 추세를 이어갔다. 이는 2022년 최수연 대표이사 취임 후 네이버가 인건비·마케팅 비용을 적정 수준으로 통제하고, 인프라 투자를 합리적으로 집행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홈피드·클립 등 신규 서비스 출시, 기존 플랫폼 고도화 등 수익 창출을 통해 이용자가 네이버 생태계 안에서 머물도록 유도함에 따라 자연스레 광고 수익 증가로 이어진 측면도 있다. 이런 가운데 올해 들어 누적 매출 7조8천억원을 넘어선 네이버가 올해 처음으로 연매출 10조원을 달성할지 관심이 쏠린다. 지난해 매출 9조6천706억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매출 9조원대를 기록한 네이버가 2022년 3분
후지쯔 비롯해 유니클로, 소우지츠 등 日 현지 기업과의 파트너십 연이어 체결 뤼이드가 일본 법인의 B2B 매출이 증가세를 기록하며 글로벌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뤼이드는 지난 2021년 일본 현지 법인을 설립한 이래 견조한 실적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일본 법인의 B2B 매출은 288% 증가해 글로벌 B2B 사업 확장의 청신호를 켰으며, 전체 매출은 연간 누적 기준(YTD) 51% 증가했다. B2B 매출 성장에는 올해 6월 일본 굴지의 IT 기업 '후지쯔'와의 신규 계약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e러닝 업무 위탁 계약을 통해 현재까지 3084명의 수주 실적을 달성했으며, 올해 추가 수주 또한 예정돼 있다. 뤼이드는 후지쯔 외에도 글로벌 패션 브랜드 ‘유니클로(UNIQLO)’를 포함해 ‘소우지츠’, ‘다이후쿠’, ‘마루젠제약’, ‘테이진’ 등 다수의 일본 현지 기업과 B2B 계약을 맺고 있다. 문용주 뤼이드 일본 법인 지사장은 “뤼이드의 기술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현지 기업과의 공고한 파트너십을 구축해 일본에서 B2B 사업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장하고 있다”며 “일본을 전략적 거점 삼아 이후 글로벌 파트너십 확장에도 박차를
매출 전년 동기 대비 184% 성장해...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 뤼이드가 2024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거래액 기준) 109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84%,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0억 원 개선하며 33% 수준 성장했다. 먼저, 퀄슨 인수에 따른 외형 확장이 상반기 호실적의 배경으로 작용했다. 뤼이드는 지난해 12월 ‘리얼클래스’로 잘 알려진 영어 콘텐츠 회사 ‘퀄슨(Qualson)’을 인수, 올해 1월 퀄슨 지분 100%를 확보하게 됐다. 올해 하반기부터 뤼이드의 AI 교육 기술과 퀄슨의 콘텐츠 IP를 접목한 상호 시너지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매출 성장에는 일본 중심의 글로벌 사업 확장이 주효했다. 뤼이드의 일본 시장 매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약 40% 성장하는 등 꾸준한 상승 추이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지난해 체결한 일본 어학교육 브랜드 ‘아루쿠(ALC)’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이익률과 마케팅 효율을 크게 개선했다. 이어 올해에는 일본 굴지의 IT 기업 ‘후지쯔(FUJITSU)’와 B2B 계약을 수주하며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마케팅 효율 개선을 통
플래티어가 2024년 상반기 매출액 150.3억 원, 영업손실 35.4억 원, 당기 순손실 24.6억 원을 기록했다고 14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내수 소비 위축으로 대형 이커머스 플랫폼의 투자가 지연되면서 전체 매출은 감소했지만 상장 이후 미래 성장 동력으로 투자해 온 솔루션 사업은 상반기 매출 36.5억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2023년 하반기 대비 54.9% 증가한 수치로, 사상 최대 반기 실적을 달성하며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했다. 플래티어의 AI 개인화 마테크 솔루션 그루비(groobee)는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8.3% 증가하며 견조한 성과를 거뒀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CSAP)을 획득하며 공공 분야에 진출한 점이 성과에 크게 기여했다. 한국관광공사 수주를 통해 2분기부터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공공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로 하반기 실적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그루비는 기존 솔루션 라이선스 매출 외에도 IT 자산의 운용과 관리를 외부 전문 업체에 맡기는 매니지드 서비스 사업의 확대 및 데이터 통합 서비스 등을 통해 추가 매출을 본격적으로 창출할 계획이다. 대형 온라인 종합 쇼핑몰 및 오픈마켓의 신규 개
현대로템이 올해 2분 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거뒀다. 현대로템은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128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7.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6일 공시했다. 매출은 1조945억 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0.9% 늘었다. 분기 매출 1조 원 돌파는 이번이 처음이다. 순이익은 1008억 원으로 91.9% 늘었다. 영업이익률은 10.3%에 달하며 사상 처음으로 10%대에 진입했다. 현대로템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과 매출은 1977년 창사 이래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기존 분기 최대 실적은 지난해 4분기의 매출 9892억 원, 영업이익 698억 원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이번 2분기의 경우 폴란드행 K-2 전차 인도 물량 증가 등의 영향으로 최고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냈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현대힘스가 연결기준 올해 1분기 실적이 전년동기대비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모든 부문에서 큰 폭의 성장을 이뤘다고 27일 밝혔다. 현대힘스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 551억 원, 영업이익 59억 원, 당기순이익 43억 원을 달성하며 각각 전년동기대비 37%, 79%, 87%의 높은 성장을 기록했다. 현대힘스 관계자는 “조선업 호황을 맞아 당사는 곡블록 분야 국내 1위 기업으로서 그 수혜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며 무엇보다 당사의 주요 고객사들의 수주 상황이 좋고 그에 대한 당사의 대응도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이번 매출 성장은 물론 수익 측면에서도 좋은 성과를 달성하게 되었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덧붙여 "무엇보다 지속적인 원가절감과 캐파 확대 노력으로 앞으로도 조선업 슈퍼사이클에 가장 잘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이미 갖추고 있어 좋은 성과를 시장에 보여드릴 수 있으리라 자신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올해 초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현대힘스는 선박 내부재, 의장품 도장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기술력이 필요한 선박 곡블록에 특화된 조선기자재 전문 기업이다. 한국조선해양 산하의 글로벌 탑티어 조선사를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글로벌 탑티어 수준의
CJ대한통운은 신임 한국사업 부문 대표에 윤진 전 FT본부장을 승진시켰다고 14일 밝혔다. CJ대한통운에서는 지난 2월 그룹 정기인사에서 신영수 대표가 총괄 대표이사로 승진한 후 한국사업 부문 대표를 겸직해 왔다. 한국사업 부문 대표는 FT본부, 오네(O-NE)본부, 영업본부로 구성되며 기업고객 영업과 택배, 수송, 물류센터, 항만사업 등 한국 내 사업을 총괄한다. CJ대한통운은 신영수 총괄 대표 아래 한국사업과 글로벌 사업 양대 부문별 대표 체제로 이루어져 있다. 2002년 CJ그룹에 입사한 윤진 신임 한국사업부문대표는 CJ대한통운에서 해외사업담당, W&D본부장, CL(계약물류)부문장 등을 두루 역임한 물류 전문가다. 최근에는 FT본부장으로 CL사업을 총괄하며 생산성 혁신 프로젝트를 주도, 수익성 개선과 양적 성장을 모두 잡았다는 평가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CL사업에서 매출액 2조 8536억 원, 영업이익 1443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CJ대한통운은 이번 인사를 통해 윤 신임 대표가 CL사업 성장과정에서 보여준 혁신 의지를 한국사업 부문 전반으로 확산시켜 미래 혁신성장 동력을 한층 더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CJ대한통운은 윤진 대표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는 2024년도 1분기 실적을 공시하고, 연결기준 매출액 546억 원과 영업이익 63.6억 원, 별도기준 매출액 338억 원과 영업이익 121.4억 원을 기록하며 연결·별도기준 모두 전년 동기 대비 15% 이상 성장률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한컴은 연결종속사의 사업 포트폴리오 개편과 수익 구조 개선에 집중한 결과, 연결기준 영업이익률이 11.7%로 전년 동기 대비 5.8% 성장했다. 별도기준으로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7.8%, 31.3% 늘어나며 영업이익률 35.9%를 기록했다. 특히 클라우드 및 웹기반 제품군은 전년 동기 약 8%의 매출 비중에서 올해 18.9%로 증가하면서 성장에 기여했다. 한컴은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기존 설치형 ‘한컴오피스’의 안정적 성장 기조 아래 ‘한컴독스’나 ‘웹기안기’ 등과 같은 클라우드와 웹기반 제품 확장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한컴은 2분기 및 하반기에도 클라우드 사업을 비롯해 국내와 글로벌 AI 사업 확대에도 속도를 낸다. AI 기반 질의응답 설루션 ‘한컴피디아’의 상반기 정식 출시를 비롯해 연내에 ‘한컴독스 AI’와 ‘한컴 어시스턴트’ 출시가 연달아 예정돼
베스핀글로벌이 2023년 연결 기준으로 전년 대비 21% 성장해 4058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12일 밝혔다. 베스핀글로벌은 2022년 연결 기준 매출 3000억 원 돌파에 이어 지난해 4000억 원 매출을 달성, 창립 이래 8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하며 안정적 궤도에 진입했다는 평가이다. 영업 손실은 2022년 219억 원에서 2023년 157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 줄었다. 판관비와 기타 원가 관리에 주력하는 한편, 임직원 주식매수선택권 등 비현금성 비용이 영업손실에 반영되었다. 또한 하반기 수익성이 상반기 대비 대폭 개선되었으며, 임직원의 주식 보상 비용과 감가 상각 비용을 비롯한 비현금성 비용을 제외한 조정 EBITDA(Adjusted EBITDA; 별도 기준) 기준으로 볼 때 2023년 하반기 흑자전환 했다고 밝혔다. 2024년 연간 흑자 전환을 목표로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베스핀글로벌은 매출 확대와 수익성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며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전략이다.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의 꾸준한 발전에 따라 이미 의미 있는 해외 거점을 설립한 베스핀글로벌은 안정적인 성장 곡선을 이룩했다. 특히 기술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Vitesco Technologies)가 21일 2023년 실적을 발표했다.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CEO 안드레아스 볼프 회장은 “2023년은 도전적이지만 성공적인 한 해였다”며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는 추가 수익 달성, 주요 제품 수주 등 전동화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했다”고 말했다.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는 2023년 어려운 시장 조건에도 불구하고 총매출을 2022년 90억7000만 유로(13조1600억 원)에서 92억3000만 유로(13조4000억 원)로 끌어올렸다. 조정영업이익률은 2022년 2.5%에서 3.7%로 증가했다. 이는 예상 범위였던 2.9%~3.4%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수치다. 이에 조정영업이익 또한 2022년 2억2550만 유로(3300억 원)에서 2023년 3억4110만 유로(5000억 원)로 상승했다. 2023년도 현금흐름은 8490만 유로(약1200억 원)였다. 지속된 투자 및 콘티넨탈(Continental)과의 위탁생산계약으로 인한 부담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개선을 통해 자체 예측치인 약 5000만 유로(700억원) 및 시장 전망치인 7100만 유로(1000억원)를 넘어섰다. 설비투자비용은 유형 자산, 설비
2024 회계년도 4분기 및 연간 재무 실적 발표 워크데이는 2024년 1월 31일자로 마감된 2024 회계년도 4분기 및 연간 실적을 4일 발표했다. 2024 회계년도 4분기 실적 총 매출은 19억 달러로 2023 회계년도 4분기 대비 17% 증가했다. 구독 매출은 1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 영업 이익은 7900만 달러(매출의 4.1%)를 기록했다. 비일반회계기준(non-GAAP)에 따른 4분기 영업 이익은 4억6100만 달러(매출의 23.9%)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의 경우 비일반회계기준에 따른 영업 이익은 3억500만 달러(매출의 18.5%)였다. 기본 및 희석주당순이익은 각각 4.52, 4.42 달러였다. 비일반회계기준에 따른 기본 및 희석주당순이익은 각각 1.60, 1.57 달러였다. 전년 동기의 경우 비일반회계기준에 따른 기본 및 희석주당순이익은 각각 1.00, 0.99 달러였다. 일반회계기준(GAAP)에 따른 기본 및 희석주당순이익은 2024 회계년도 4분기에 일부 주 정부 세액공제(state tax credits)를 제외한 모든 미국 연방 및 주 법에 따른 이연법인세자산(deferred tax assets)과 관련된 평가충
LS일렉트릭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249억 원으로 전년보다 73.2%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6일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265억 원으로 126.4% 늘었다. 매출은 4조2305억 원으로 25.3% 증가했다. 회사 측은 "글로벌 경기 회복세 및 투자 수요 증가에 따른 전력 및 전력인프라 매출 증가"라고 실적 호조 배경을 밝혔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의 소프트웨어 전문 계열사 현대오토에버가 지난해 처음으로 연간 매출 3조 원을 넘어섰다. 현대오토에버는 작년 매출이 전년 대비 11.3% 늘어난 3조650억 원으로, 연간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814억 원, 1403억 원으로 같은 기간 27.4%, 20.8% 성장했다. 사업 부문별로 작년 시스템통합(SI) 사업 매출은 재작년보다 5.1% 증가한 1조97억 원으로 집계됐다. 정보기술아웃소싱(ITO) 사업 매출은 9.4% 늘어난 1조4157억 원을 기록했다. 차량 소프트웨어 부문은 6396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7.9% 늘었다. 현대오토에버는 그룹 디지털 전환 대응을 위한 IT 운영 역할의 확대, 차세대 시스템(ERP·CRM) 확대 구축, 완성차 고(高)사양화에 따른 고부가가치 상품의 매출 증대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현대오토에버는 올해 글로벌 수준의 차량 소프트웨어 플랫폼 경쟁력 도달이라는 목표를 위해 개발 역량을 조기에 확보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SDV(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로 진화하는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제삼자 검증 서비스 제공과 가상 검증
나인테크가 2023년 상반기 연결실적을 발표했다. 실적을 살펴보면 2분기 연결기준 누적 매출액 650억 원, 영업이익 6억 원, 당기순이익 17억 원으로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6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74% 감소,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나인테크는 이 같은 큰 폭의 외형 성장은 이차전지 분야의 시장 확대가 회사의 수주량 증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여지며, 회사의 상반기 매출이 작년 매출의 73%에 해당되는 만큼 올해는 작년 매출을 훌쩍 뛰어넘는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회사 측은 영업이익 감소 원인으로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과 최근 잇따른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에 따른 초도비용 발생 증가를 꼽으며 향후 프로젝트 진행이 본격화되는 시점에 본 궤도를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당기순이익 증가 원인으로는 관계회사의 이익증대에 따른 지분법 이익 증가와 보유 중인 CB 평가와 관련된 파생상품평가이익 증가라고 설명했다. 향후 실적 전망과 관련해서 나인테크 관계자는 “7월 공시한 639억 원 규모의 수주 진행 및 북미지역 등에서도 대형 수주가 기대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는 이미 청주 제5공장 개설 등 생산시설을 추가 확보 생산능력이 2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