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 시대,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은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전파진흥협회와 아마존웹서비스(AWS)는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AWS 클라우드 스쿨’과 ‘AWS AI 스쿨’을 동시에 개설하고 본격적인 교육에 나선다. 이번 교육은 고용노동부의 ‘K-디지털트레이닝’ 사업 중 ‘디지털‧첨단산업 선도기업 아카데미’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AWS는 선도기업으로서, 한국전파진흥협회는 운영기관으로 참여한다. 각 과정은 목적과 커리큘럼 면에서 차별화되어 있다. ‘AWS 클라우드 스쿨’은 2022년부터 이어진 클라우드 인프라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으로, 올해 11기를 맞는다. 참가자들은 리눅스, 네트워크 기초부터 시작해 Amazon EC2, S3, VPC, 도커, 쿠버네티스, 테라폼, CI/CD 등 핵심 클라우드 기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고가용성 인프라 구축 및 자동 배포 시스템 프로젝트를 통해 실전 경험을 쌓게 된다. 이를 통해 퍼블릭·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설계와 DevOps 환경 운영 능력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 해당 과정의 졸업생들은 삼성전자, KT, LG유플러스, SK를 비롯한 국내
엔드투엔드 AI 서비스 구현 위한 ‘AWS AI 서비스 개발자 실전 트랙’ 오픈 생성형 AI를 넘어, AWS AI School 통해 AI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인재양성 한국전파진흥협회가 아마존웹서비스코리아(AWS)와 손잡고 국내 최초의 실무 중심 AI 통합 교육기관 ‘AWS AI School’을 개소했다. 클라우드 인프라부터 생성형 AI까지 AI 개발 전 과정을 실습 기반으로 배우는 커리큘럼으로, AI 실무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한다는 목표다. AWS AI School은 클라우드, 컨테이너, 딥러닝 등 각 기술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AI 개발 생태계를 통합적으로 다룬다. 특히 단순 이론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교육 과정을 설계한 점이 핵심이다. 네트워크, 리눅스 등 IT 인프라 기본 역량부터 시작해 Docker, Kubernetes, CI/CD 자동화 도구로 구성된 클라우드 환경을 실습하며, 자연어 처리(NLP)와 생성형 AI까지 폭넓게 다룬다. 커리큘럼은 총 15개 과목, 약 1,040시간의 집중 집체 교육으로 구성됐다. 감성 분석, 문서 요약, 텍스트 임베딩, RAG 기반 챗봇 개발 등 실무에 필요한 고급 자
조지메이슨대학교 한국캠퍼스가 글로벌 창업 교육 확대와 실무형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조지메이슨대 한국캠퍼스는 24일, 글로벌 스타트업 네트워크 플랫폼인 드레이퍼 스타트업 하우스 코리아(Draper Startup House Korea)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미국 본교 코스텔로 경영대학(Costello College of Business)의 아제이 빈세 학장(Ajay Vinzé)이 방한해 직접 참석했으며 조슈아 박 한국캠퍼스 대표, 이세용 드레이퍼 스타트업 하우스 코리아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함께 자리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창업 교과과정 공동 개발 △학점 연계형 인턴십 과정 운영 △창업 교육 프로그램 ‘스타트업 아카데미’ 론칭 △미국 시장 진출 연계 지원 등 글로벌 창업 생태계를 중심으로 폭넓은 협력에 나선다. 특히 ‘스타트업 아카데미’는 선발 과정을 통해 참가 기업에게 교육과 멘토링, 전용 공간, 정부지원사업 연계 등 실질적인 창업 인프라를 제공하며 미국 본교와 연계한 현지 진출도 함께 지원할 예정이다. 조지메이슨대 한국캠퍼스는 이번 MOU를 계기로 학문과 실무의 경계를 허무는 교육
2018년에도 ‘포브스 아시아 30 Under 30’에 이름 올린 바 있어 긱블(TW Geekble)이 4월 과학의 달과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다양한 프로젝트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박찬후 대표가 ‘2025 포브스코리아 30세 미만 30인(30 Under 30)’에 선정되며 다시 한번 주목을 받고 있다. 박 대표는 2018년에도 ‘포브스 아시아 30 Under 30’에 이름을 올린 바 있어, 국내외에서 과학 대중화와 교육 혁신을 이끌어온 젊은 리더로 입지를 다져왔다. 긱블은 ‘과학이 일상이 되는 세상’을 모토로 2018년 설립된 국내 대표 과학·공학 미디어 스타트업이다. 유튜브 기반 콘텐츠로 출발해 구독자 120만 명, 누적 조회수 7억 회, 연간 시청 시간 320만 시간을 기록하며 내셔널지오그래픽 코리아를 뛰어넘는 영향력을 확보했다. 박 대표는 “긱블은 이제 단순한 과학 콘텐츠를 넘어서 국내 대표 이공계 미디어로 자리 잡았다”고 자평했다. 긱블의 비즈니스는 미디어를 넘어 에듀테크 플랫폼으로 확장되고 있다. 2019년 미디어 사업의 흑자 전환을 시작으로, 2024년에는 법인 전체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과학 교구 커머스와 오프라인 교육 사업 등을 추가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