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59억7000만 원 규모 자사 208만5404주 소각 예정 “주주환원 정책 일환...R&D, 해외시장 확장 등 통해 기업 가치↑” 씨피시스템이 내년 1월 59억7000만 원 규모의 자사주를 전량 소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씨피시스템은 총 3870만3425주 중 보통주 208만5404주를 매입한 바 있다. 매입 자사주는 오는 1월 24일 신탁계약 만료 후 소각할 전망이다. 자사주 소각은 발행 주식 수를 줄여 주당 가치를 제고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금융당국이 국내 증시를 부양하겠다며 내놓은 기업가치 제고 정책 ‘밸류업(Value up)’ 프로그램으로 기업의 자사주 매입·소각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씨피시스템에 이 흐름에 동참해 상장 첫해부터 이러한 전략을 채택했다. 씨피시스템 관계자는 “이번 자사주 소각은 주주 안정 및 가치 제고를 위해 전개하는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연구개발(R&D)와 해외시장 확장을 지속해 기업 가치를 꾸준히 높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배터리 생산부터 시스템 통합까지 ESS 전주기 솔루션 통해 시장 공략 본격화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이 북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본격적으로 움직인다. 지난 6일 업계에 따르면, 김형식 LG엔솔 사업부장 상무가 최근 영국 에너지 전문매체 ‘에너지스토리지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북미 ESS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는 뜻을 밝혔다. 북미 ESS 시장의 비즈니스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지 생산 역량을 최적화한다는 게 이번 인터뷰의 요지다. 김형식 상무는 인터뷰에서 “미국은 오는 2028년까지 ESS 설치 대수에서 중국을 앞지를 전망”이라며 북미 시장 공략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북미 시장에서의 ESS 수요는 상당히 견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LG엔솔은 북미 지역에서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 8개를 완공해 생산 최적화에 나설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미국 애리조나주 소재 ESS 공장 건설을 일시 중단하고, 일시적인 수요 정체 현상인 캐즘(Chasm)에 돌입한 전기차 시장을 의식해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 라인 일부를 ESS용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김 상무에 의하면 이번 결정은 기존 시설을 활용해 생산 최적화를 도모하고,
글로벌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업체 ‘파워솔루션스’와 맞손 태양광·ESS 등 연방 내 신재생에너지 설비 구축 및 고도화 착수 LS일렉트릭이 미국 괌 소재 신재생에너지 비즈니스 프로젝트 업체 ‘파워솔루션스(Power Solutions)’와 협력해 미크로네시아 연방 내 신재생에너지 시장 공략에 나선다. 이에 앞서 양사는 지난 4일 LS용산타워에서 ‘스마트 에너지 사업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MOU는 괌전력청이 주관하는 88메가와트(MW)급 태양광발전(PV) 및 241메가와트시(MWh)급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초석이다. 양사는 해당 사업의 계약 체결부터 개발·허가·건설·운영 등 프로젝트 관련 사항을 정립한다. 이후 미크로네시아 연방 내 ESS 연계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위한 상호 협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LS일렉트릭은 파워솔루션스가 보유한 미크로네시아 지역 중심의 다양한 레퍼런스에 주목해 이번 MOU를 결정했다. 파워솔루션스는 괌전력청(GPA) 주관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연계한 태양광 발전소 구축 사업에 참여한 바 있다. LS일렉트릭 관계자는 “괌을 대상으로 한 이번 PV·ESS 사업은 북미시장 진출 시 핵심 레퍼런
페루·아르헨티나·콜롬비아·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서 데뷔 삼성전자가 올인원 세탁건조기 모델 ‘비스포크 AI 콤보(BESPOKE AI Combo)’를 중남미 대륙에 선보였다. 삼성전자는 앞선 7월 멕시코·콜롬비아에 히트 펌프 방식을 탑재한 비스포크 AI 콤보를 출시해 중남미 시장 공략 시발점을 마련했다. 특히 멕시코 출시 이벤트로 인플루언서를 초청해 신제품 체험 행사를 진행했다. 이어 이달부터 페루·아르헨티나 등에 비스포크 AI 콤보를 새롭게 론칭하며 시장 확장을 노렸다. 향후 브라질 등 15개 중남미 주요 시장에 비스포크 AI 콤보를 제공하고, 오는 11월에는 유럽 판매를 시작할 전망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비스포크 AI 콤보는 세탁부터 건조까지 세탁물을 옮기지 않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일체형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아울러 “고효율 인버터 히트 펌프 기반으로 차별화된 건조 성능과 AI 기반 편의 기능으로 중무장해 호평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E761, E762 통해 라인업 강화 “제조 산업 내 각종 요구사항 충족...생산성 및 가치 향상에 기여할 것” 도머프라멧이 일본산업규격(JIS)을 충족하는 2개의 기계 탭을 출시해 시장을 공략한다. 이번에 출시된 기계 탭 E761과 E762는 탄소강, 합금강, 스테인리스 스틸 등 각종 소재를 정밀하고 효율적으로 절삭한다. 여기에 범용 및 CNC 공작기계 환경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해당 두 종은 TiCN(Titanium Carbon Nitride Coating) 기술을 입혀 표면 경도 및 내열성을 강화했고, 이에 따라 장기간의 공구 수명을 확보했다. 또 경사각(Rake-angle)과 낮은 반경 방향 여유각(Relief-Angle)으로 설계됐고, 특히 코발트 합금 HSS-E를 제품에 적용해 경도·인성 등 측면에서 내구성이 강화됐다. 라훌 발크리슈나 이남다르(Rahul Balkrishna Inamdar) 도머프라멧 한국·동남아·오세아니아 지역 지사장은 “E761과 E762는 제조 산업 내 각종 요구사항에 부응하면서도, 높은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한국 산업의 생산성 및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공 솔루션”이라며 “앞으로도 한국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공구
한국·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 등에 지역 컨트롤 타워 심어 홍콩·필리핀 등 시장은 태국 현지 법인이 관장 도머프라멧이 한국·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 등 네 개 국가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이번 활동은 아시아·태평양(아태)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초석 다지기로 분석된다. 특히 이번 신규 현지 법인 네 곳 중 태국 법인에 홍콩·필리핀 등 시장 관리 임무를 하달했다. 도머프라멧은 각 법인을 통해 해당 국가 통화 거래도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아시아 지역 내 파트너 및 고객과의 재무 거래 시 환율 변동을 완화해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고, 거래 간소화를 통한 비용 절감을 노릴 계획이다. 아울러 싱가포르 소재 아태 유통센터(APDC)를 활용해 아시아 시장 내 배송 효율성을 제고하고, 통관 절차를 배제하고 운송하는 시스템 ‘도착장소인도(DAP)’ 조건을 도입해 서비스 직관성을 확보한다. 이는 아시아 지역 성장을 도모하고, 파트너 및 고객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샤라드 쿨카르니(Sharad Kulkarni) 도머프라멧 아시아 매니징 디렉터는 “아태는 도머프라멧의 핵심 시장으로, 이번 현지 법인 설립과 유통 센터 이전은 아시아 지역 내 운영 및 배송 효율
항공안전기술원-카자흐스탄 드론협회 업무협약 체결 기술 및 정책 교류·시장 진출 환경 조성·행정 프로세스 개발 등에 ‘맞손’ “양국 간 드론 협력체계 공고히...국내 드론 기업의 중앙아시아 판로 개척에 지원 아끼지 않겠다” 항공안전기술원(이하 KIAST)와 카자흐스탄 민간항공협회(이하 드론협회)가 드론 분야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양 기관은 지난 9일부터 사흘간 인천 송도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드론 박람회’ 전시장에서 업무협약식을 개최했다. 이 행사는 강창봉 KIAST 미래항공본부장, 드미트리 이바노프(Dmitrii Ivanov) 카자흐스탄 드론협회장 등 양 기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업무협약은 양국의 드론 분야 정보교류를 골자로 성사됐다. KIAST와 드론협회는 이번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드론 정책, 규제 기준 등 지식 공유, 양국 드론 기업의 상호 시장 진출 토대 마련, 잠재적 자원 발굴 및 행정 프로세스 개발 등에서 밀접하게 협력할 계획이다. 이대성 항공안전기술원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국 간 드론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면서 가시적인 성과가 창출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국내 드론 기업이 중앙아시아 시장 판로를 개척하는
Common·인터페이스·릴레이 등 5종 ACR·AFS·ABL·ASS 등 라인업별 시리즈 새 모델 보강 오토닉스가 I/O 단자대 라인업으로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I/O 단자대는 절연 기판에 여러 단자를 고정 및 집약해 전기와 통신기기의 배선 접속을 돕는 기능을 한다. 작업 공수 절감·설비 유지 및 보수 용이 등의 특징이 있다. 오토닉스는 Common·인터페이스·센서 커넥터·릴레이·SSR 단자대 등 다섯 가지 I/O 단자대 라인업과 새롭게 출시된 시리즈 등으로 단자대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Common 단자대 ACS·ACL·ACR 시리즈는 입력 및 온도를 측정하는 필드 계기에 전원을 공급·분배한다. PCB로 내부를 설계해 점퍼 바(Jumper bar)를 요구하지 않는다. 최근 2단 배열의 ACR 시리즈 40점 모델을 새롭게 출시했다. 인터페이스 단자대는 AFS·AFL·AFR로 시리즈로 구성돼, 제어 시스템과 필드 계기간 입·출력 신호를 전달한다. 특히 AFS 시리즈는 2단 배열의 40점 모델이 추가됐다. 위 두 라인업 시리즈는 스크류·스크류리스·라이징 클램프 등 타입으로 연결 방식을 채택했다. 두 단자대 라인업은 시리즈별로 단자 점수를 다양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