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소형 온라인 판매자들의 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로봇 기반의 도심형 첨단물류센터(MFC, Micro Fulfillment Center)를 활용할 사업자 모집에 나선다. 선정된 사업자에게는 6개월간 물류센터 입고 및 보관비를 면제해주는 파격적인 혜택이 제공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자본과 인프라가 부족한 스타트업 및 청년 창업자들의 큰 관심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서초구 헌릉로에 위치한 GS칼텍스 내곡주유소 부지 내에 조성된 '스마트 MFC' 이용 사업자 모집 공고를 내고 오는 5월 12일부터 7월 31일까지 참여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이 첨단물류센터는 기존 주유소 유휴 공간을 혁신적으로 활용하여 구축된 로봇 기반 자동화 물류 인프라로 도심 내 생활물류 서비스 혁신을 목표로 한다. 센터 내에는 6대의 자동화 로봇과 1,774개의 보관 상자(Bin)가 설치되어 있어 상품의 입고부터 보관, 피킹, 출고, 재고관리에 이르는 전 과정을 전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는 소량의 상품을 취급하여 택배 계약에 어려움을 겪거나 마땅한 상품 보관 및 포장 공간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온라인 판매자들에게 최적화된 원스톱 물류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이 스마트 M
GS칼텍스 내곡주유소에 '미래형 첨단물류 복합주유소' 조성…내년 상반기 준공 서울시는 주유소를 '미래형 첨단물류 거점'으로 만드는 실험을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주유·세차 서비스 중심이었던 기존 주유소에 생활 물류 기능과 로봇·드론 등 첨단 기술을 결합한다는 구상이다. 시는 온라인 거래가 늘고 유통채널이 다양화하면서 물류 수요가 높아졌지만 서울시 내 물류단지와 물류창고는 경기도의 6% 수준이어서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시내 주유소는 주요 주택단지 인근이나 교통 요지 대로변에 위치해 물류 접근성이 좋고, 차량 진입·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생활 물류 거점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공간으로 분석됐다. 이에 시는 GS칼텍스와 함께 서초구 내곡주유소를 이 같은 '미래형 첨단물류 복합주유소'로 조성하기로 했다. 올 12월 착공해 내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추진한다. 이곳에는 최첨단 무인·자동화 물류 시설인 스마트MFC(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가 약 120㎡ 규모로 조성된다. 스마트MFC에서는 시설 상부에 있는 5∼6대 로봇이 레일을 움직여 하루 3600여 상자를 처리할 수 있다. 스마트MFC에서 처리된 물류는 드론으로 배달된다. 시는 주유소 지붕 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