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스마트 워치나 스포츠 밴드, 커넥티드 링, 스마트 안경과 같은 차세대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를 지원하는 새로운 바이오 센싱 칩을 출시했다. ST1VAFE3BX 칩은 고정밀 생체 전위 입력을 ST의 검증된 관성 센싱 및 AI 코어가 결합된 칩 내에서 활동 감지를 수행해 더 낮은 전력소모로 더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 시모네 페리 ST APMS 그룹 부사장 겸MEMS 서브그룹 사업본부장은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빠르게 증가하는 개인의 건강 인식과 피트니스를 지원하는 핵심 기술”이라며 “이제 ST의 이 최신 바이오 센서 칩은 웨어러블 분야의 수준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초소형 폼 팩터와 절전형 전력으로 모션 및 신체 신호 감지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ST1VAFE3BX 칩은 생활습관 또는 의료 모니터링 목적의 지능형 패치와 같은 손목뿐만 아니라 신체의 다른 부위까지 웨어러블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ST 고객인 BMI(BM Innovations)와 피손(Pison)은 신제품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ST의 새로운 센서를 빠르게 채택했다. BMI는 무선 센싱 분야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갖춘 전자설계 전문 기업으로
1.74인치 AMOLED ‘스마트 밴드 8 프로’, 탈부착 베젤 ‘샤오미 워치 S3’ 출시 샤오미가 샤오미 스마트 밴드 8 프로와 샤오미 워치 S3 등 스마트 워치 제품군 두 종을 시장에 내놨다. 이번 신제품 중 스마트 밴드 8 프로는 이전 세대 대비 건강 모니터링 기능을 개선했다. 4채널 모니터링 모듈을 결합해 7세대보다 더 많은 신호를 전송·수집하는 등 사용자의 동작 추적 및 상태 모니터링에 최적화됐다. 해당 모델은 24시간 심박수, 혈중 산소포화도, 스트레스 등을 모니터링해 이상 감지 시 알림을 제공한다. 샤오미에 따르면 이전 모델보다 심박수 모니터링 정확도는 약 10%, 혈중 산소 정확도는 약 5% 증가했다. 샤오미 스마트 밴드 8 프로는 150개 이상의 운동 기능도 담았다.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 운동 중 칼로리 소비량을 측정하고, 10개의 러닝 코스에 따른 목표 심박수 및 페이스 시 알람을 전송한다. 이 제품의 디스플레이는 직사각 형태로, 1.74인치 AMOLED와 60Hz 주사율이 적용됐다. 여기에 앰비언트 라이트 센서를 통해 자동 밝기 조절이 가능하다. 아울러 각종 워치 페이스 디자인을 제공해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설계를 할 수 있다
슬립테크 기업 에이슬립이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 산하 IT 기업인 리얼라이즈(Realize Innovations)와 업무 협약을 맺고 일본 진출을 위한 준비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리얼라이즈는 2000년 소프트뱅크 모바일로 설립됐고 이후 리얼라이즈로 사명을 바꾼 뒤 최근에는 모바일 영역을 넘어 최근 슬립테크 관련 솔루션 라인업을 확대하는 한편 다양한 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영역 확장에 나서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리얼라이즈는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에이슬립이 제공하는 솔루션을 판매할 예정이다. 에이슬립 관계자는 "리얼라이즈는 에이슬립 제공하는 솔루션을 판매하고 헬스케어 관련 서비스 협업 등을 진행할 것"이라며 "에이슬립의 B2B 서비스와 '슬립루틴' 앱을 연계한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고객에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에이슬립은 AI 기술을 바탕으로 수면 단계 및 무호흡증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수면다원검사와 스마트 워치 등 글로벌 IT 업체의 수면 측정 기기를 포함한 총 11개 기기 중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인 것이 논문을 통해 발표됐다. 이 연구는 SCI급 학술지인 'JMIR mHealth and uHealth' 최신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보다 손쉽게 사용하고 수명을 늘릴 수 있는 초저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출시했다. ST가 출시한 STM32L4+는 기존 ST32L4 시리즈의 차세대 제품으로, 120MHz 150DMIPS(233 ULPMark-CP)까지 성능이 향상됐다. 피트니스 밴드, 스마트 워치, 소형 의료 장비, 스마트 계량기, 스마트 산업용 센서 등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앙 컨트롤러 역할을 할 수 있는 제품이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새롭게 출시한 초저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 STM32L4+ 이 애플리케이션들은 모두 복잡한 기능과 빠른 반응,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정지 시간 최소화를 필요로 하는데, STM32L4+는 이러한 니즈에 적합하다. STM32L4+는 온칩 메모리를 갖춘 프로세서 성능과 매끄럽고 유연한 사용자 경험을 위한 최첨단 그래픽 성능을 갖추고 있다. 새로운 Chrom-GRC™ 그래픽 컨트롤러는 불필요한 디스플레이 픽셀들을 관리하는 데 리소스를 낭비하지 않고, 사각형 디스플레이처럼 효율적으로 원형 디스플레이(TFT-LCDs)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성능이 향상된 ST의 혁신적인 Chro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이 지속적인 부침에도 불구하고 전자 업계에서는 아직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슈다. 인텔, 핏빗, 조본 등 여러 업체들이 웨어러블 비즈니스를 그만뒀지만 샤오미는 지난 2분기에 350만 대의 출하량을 기록하며 세계 1위에 올라섰고, 구글도 다시 웨어러블로 돌아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앞으로 어떻게 될까?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측정, 기록, 분석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와 IoT가 결합된 제품이다. 최근에는 게임, 가상현실 등 엔터테인먼트뿐만 아니라 교육, 여행, 쇼핑 등의 콘텐츠와 연계해 정보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착용형 스마트 기기가 대게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착용형 스마트 기기는 크기가 작고 가벼워 신체의 가까운 곳에서 사용자와 소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정부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 개발을 위해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소재 사업’을 진행 중이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총 1,270억 원 규모로 추진되고 있는 이 사업에 참여한 연구진들은 웨어러블 기기의 핵심 부품, 요소기술 개발부터 상용화까지 중점
[첨단 헬로티] 노르딕 세미컨덕터가 시각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기기 분야의 국내 스마트 기술 전문기업 닷(D.O.T)이 노르딕의 블루투스(Bluetooth) 저에너지 nRF52832 SoC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닷이 채택한 노르딕의 SoC는 사용자의 블루투스 4.0(이상) iOS 또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전용 앱을 통해 컴팩트하면서도 가격경쟁력을 갖축 ‘닷 워치(Dot Watch)’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닷(D.O.T)의 점자 스마트워치 닷 워치는 동작시 전기-역학적(Electro-Dynamic) 셀을 사용한다. 저-지연(Low-Latency) nRF52832 SoC-기반 링크를 통해 스마트폰에서 전송된 정보를 릴레이하고 새로 고침이 가능한 점자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시력이 낮은 사용자나 시각장애인은 워치 전면의 4-셀(24-도트) 점자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간과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신되는 전화를 받거나 거절하는 것과 문자메시지 알람도 확인이 가능하다. 노르딕 SoC는 5.5mA 피크 RX/TX 전류를 소모하는 2.4GHz 무선 기능과 완전 자동화된 전력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키즈폰' 열풍을 주도하고 있는 SK텔레콤의 어린이 전용 웨어러블 기기 '준'(JooN)의 세번째 버전인 ‘쿠키즈워치 준3’이 출시됐다. (사진제공=SK텔레콤) © News1 '키즈폰' 열풍을 주도하고 있는 SK텔레콤의 어린이 전용 웨어러블 기기 '준'(JooN)의 세번째 버전 '쿠키즈워치 준3'이 출시됐다. 25일 SK텔레콤은 위치 정확도 및 방수 기능 개선 등 안전·안심 기능을 강화하고 키즈폰 최초 고해상도 원형 LCD를 채택한 ‘쿠키즈워치 준3’를 26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국내 키즈폰 최초로 방진·방수 등급 IP67 인증을 획득, 생활방수 기능을 강화했고 전자파 흡수율을 업계 최고 수준(0.69W/kg)으로 감소시킨 게 특징이다. 디자인의 변화도 눈에 띈다. 키즈폰 최초로 고해상도 원형 LCD를 탑재했다. 밴드 색상은 어린이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레드, 옐로우, 핑크 3종을 지원한다. 성능도 대폭 강화됐다. 웨어러블 기기 전용으로 출시된 퀄컴칩(QC MSM 8909W)을 세계 최초로 키즈폰에 적용했고 안드로이드 OS가 탑재된다. 블루투스 기능 및 배터리도 최대 대기시간 82
기어S2 밴드는 삼성 웨어러블 디바이스 최초로 원형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타이젠 기반의 스마트워치다. 화면 터치 및 측면의 2개 버튼도 지원해 사용자가 쉽고 빠르게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무선충전방식으로 충전패드에 올려놓기만 하면 간편하게 충전도 가능하다. 또한 기어S2 밴드 구매 고객에게는 손목의 굵기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라지(Large)와 스몰(Small) 2개 사이즈의 스트랩(시계줄)을 제공한다. 김연주 기자 (eltred@hellot.net)
국제통신연합(ITU)은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를 ‘기기 및 사물에 통신 모듈이 탑재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됨으로써 사물 vs 사물, 사람 vs 사물 간에 정보 유통 및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지능적 환경’으로 정의하고 있다. 사람을 포함한 세상의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돼 정보를 수집하고, 다른 사물과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말이다. 최근 통신 무선기술과 단말기(스마트폰, 자동차 등)의 IT 기술 고도화로 인해 가정과 공공부문(재난 예방, 환경 상태 체크, 약자 관리 서비스 등)을 넘어 모든 산업에 세상 만물이 소통하는 IoT 시대로 전개되면서 관련 시장 또한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다. 이런 분위기 속에 국내 산업은 IoT 시대로의 이행을 제품과 서비스 혁신, 나아가 산업 혁신을 도모해 글로벌 주도권을 확보하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이 보고서는 IoT 시대 경쟁하에서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할 상품을 창출할 가치사슬 구조와 주도권 확보 업체를 규정하며,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시사점을 제시했다. 그림1. <사업가치 사슬 변화 : 전통적인 가치사슬 vs IoT 가치사슬>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