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로 대외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가운데 8월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의 호실적에 힘입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한미 상호관세 영향이 아직 본격화하지 않았고, 주력 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에 대한 미국 정부의 품목별 관세율과 적용 시점이 확정되지 않아 향후 불확실성은 지속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8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1.3% 증가한 584억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8월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이며, 6월부터 3개월 연속 최대 실적을 경신한 수치다. 특히 반도체 수출 호조가 두드러졌다. 전체 수출에서 25.9%를 차지하는 반도체는 8월 151억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대 수출액을 2개월 만에 경신했다. D램 범용 제품인 DDR4 가격은 5.7달러로 올해 처음 5달러를 돌파했고, DDR5는 5.3달러로 석 달 연속 5달러를 웃돌았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미국 관세 부과가 예정된 가운데 거래를 앞당긴 선수요가 반영돼 단가 상승 폭이 컸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대만 수출이 39.3% 증가한 43억8000만달러로, 8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자동차 수출 역시 순수전기차(EV)와 하이
반도체·석유화학 등 호조세…에너지 가격 급등에 수입도 역대 최대 3월 우리나라 수출이 반도체와 석유화학의 호조로 월간 기준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3월 수출입동향’을 보면 3월 수출은 1년 전보다 18.2% 늘어난 634억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무역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6년 이래 월간 기준 최대 규모다. 일평균 수출액은 23.4% 늘어난 27억6000만 달러로, 기존 최고 실적이었던 지난 2월의 26억9600만 달러를 넘어서 월간 수출액과 함께 역대 1위에 올랐다. 수입도 27.9% 증가한 636억2000만 달러로 역시 역대 최고를 기록해 무역수지는 –1억4000만 달러로 1개월 만에 적자로 돌아섰다. 원유·가스·석탄 등 에너지 수입액이 161억9000만 달러로 한 달 새 84억7000만 달러 늘어난 월간 기준 최대치로, 수입 증가세를 이끌었다. 특히, 3월은 대선으로 인해 조업일수가 감소하고, 러·우 사태 등 불확실한 대외 여건에도 일평균 수출은 지속적으로 확대 추세에 있는 것은 수출 펀더멘탈이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1분기 수출 규모도 1728억 달러로 역대 1분기 중 최대 실적을 나타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