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27일 '소재·부품·장비 스타트업 100' 사업 대상으로 40개를 추가 선정했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 스타트업을 발굴해 수입품목 국산화와 수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0년 시작해 지난해까지 60개가 선정됐다. 이번에 신규 선정된 40개는 친환경(11개), 산업용 사물인터넷(IoT)(9개), 융합바이오(7개), 복합소재(5개), 스마트 엔지니어링(5개), 반도체(3개) 등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6개 분야에서 선정됐다. 선정 기업은 최대 2억원의 사업화 자금과 융자 등 정책자금 한도 우대 및 보증료 감면, 수출 마케팅 등을 지원받는다. 이영 중기부 장관은 "향후 정부의 소부장 정책은 글로벌 신산업 공급망을 선도하기 위한 방향으로 전환될 예정"이라며 "중기부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통해 신산업 분야 소부장 스타트업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기부는 또 이날 소부장 분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 및 기술사업화 역량 제고를 위해 오는 28일부터 내달 30일까지 올해 하반기 '테크브릿지 활용 상용화 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할 기업 20곳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 사
효성그룹이 자본금 100억원을 출자해 설립한 첫 번째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인 '효성벤처스'가 공식 출범했다. 효성벤처스는 23일 신기술금융사 등록을 마쳤다고 밝혔다. 효성벤처스는 효성의 핵심사업과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 스타트업에 투자를 추진해 핵심 소재 원천기술의 국산화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또 디지털전환(DX) 시대를 맞아 정보통신기술(ICT)과 데이터 등 새로운 영역에도 도전할 예정이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특히 다방면의 신기술을 가진 기업을 발굴·육성해 투자기업과의 동반성장 생태계 구축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조현준 효성 회장은 "데이터 중심의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를 빠르고,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급속한 디지털 전환에 따른 애자일(Agile) 경영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애자일 경영은 급속한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해 기업을 민첩한 조직으로 만들려는 전략을 말한다. 효성벤처스의 초대 대표이사는 전 효성 전략본부 소속 김철호 부사장이 맡았다. 김 대표이사는 일진투자파트너스와 스틱인베스트먼트, 도이치뱅크 등 투자업계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전문가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