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봇산업협회(이하 로봇협회)는 오는 8월 21일부터 25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2024 중국 베이징 로봇전시회(WRC 2024)’에 참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매년 8월 개최되는 WRC 2024는 중국인민공화국 국무원의 허가를 받아 베이징 인민정부, 중화인민공화국공업정보화부(MIIT), 중국과학기술협회(CAST)가 주최하고 중국전자학회(CIE)가 주관하는 행사다. 시진핑 주석, 리커창 총리, 류옌둥 부총리 등 중국 정부,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 지도자들의 지원을 받는 중요한 행사로 꼽힌다. WRC는 전시회, 컨퍼런스, 경진대회, 총 3개의 행사가 동시개최되는 로봇 통합행사다. 매년 전시회에서는 중국 글로벌 로봇기업의 신제품과 신기술이 소개되며, 컨퍼런스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로봇산업 전문가가 모두 연사로 참여해 최신 로봇기술 연구결과를 선보이는 자리로 알려져 있다. 로봇협회는 코트라와 함께 한국관을 구성 및 운영할 예정이다. 한국관은 A홀 A106에 위치하며 참가기업은 나라오토시스, 도구공간, 브릴스, 세인플렉스, 시그봇, 쎄텍, 에이딘로보틱스, 유엔디, 유일로보틱스, 코보시스 등 10개사다. 로봇협회 관계자는 “매년 협회에서 실시하는 로봇
세인플렉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이하 AW 2023)’에 참가해 협동로봇 필수 파트인 엔코더를 국산화한 모델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8일부터 10일까지 사흘간 코엑스 A,B,C,D홀 전관에서 개최되며, ‘We connect your factory’를 테마로 스마트제조부터 탄소중립까지 지속가능한 디지털 혁신을 선보인다. 세인플렉스는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Magnet 분야에 주력해 사업을 진행해온 기업이다. 자동차, 실린더, PC, 스피커 및 전자 산업에서 필수요소로 평가받는 Magnet 제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최근에는 고정밀 다극 착자 기술로 자기식 엔코더 국산화에 성공해 주목받고 있다. 세인플렉스는 전시회 부스에서 In-Wheel Motor와 자기식 엔코더를 소개했다. In-Wheel Motor는 휠 안에 구동계를 설치한 기술이다. 세인플렉스는 해당 데모를 소개하며 In-Wheel Motor에 자기식 엔코더를 체결해 제어 특성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제품은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세인플렉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자기식 엔코더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세인플렉스는 지난 20년간 축적한 다극착자 기술을 바탕으로 IC-Haus에 적용되는 MU시리즈의 엔코더 마그넷 다극자석 라인업을 완성했다. 세인플렉스의 엔코더용 마그넷 라인업 종류는 IC-Haus Chip의 MU, MU150, MU200 총 3종이며 현재, 3가지 라인업이 모두 양산 중이다. 세인플렉스는 기존 외산 수입 제품으로 의존하고 있던 엔코더 마그넷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했으며, 국산화를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부품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세인플렉스는 1997년 창립 이래 혁신 기술과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Magnet 분야에 집중해 왔다. 최근 Electromagnetic Field Technology를 기반으로 Magnet Module Industry, 및 VCM(Voice Coil Motor) / VCA(Voice C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세인플렉스(대표 한창수)가 오는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 이하 SF+AW 2021)'에 참가한다. 세인플렉스는 SF+AW 2021에서 자기식 인코더 제품을 전시한다. 세인플렉스는 지난 20년간 축적한 다극착자 기술을 바탕으로 IC-Haus에 적용되는 MU시리즈의 인코더 마그넷 다극자석 라인업을 완성했다. 세인플렉스의 인코더용 마그넷 라인업 종류는 IC-Haus Chip의 MU, MU150, MU200 총 3종이며 현재, 3가지 라인업이 모두 양산 중이다. 세인플렉스는 기존 외산 수입 제품으로 의존하고 있던 인코더 마그넷을 국내 최초로 국산화했으며, 국산화를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부품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작년 대비 상반기 인코더 매출이 향상됐으며, 2020년 한 해 성장이 고무되고 있다. 또한 중간정지에 의한 장비 안전성 확보 및 다점 위치결정이 가능하며 반복 위치정도의 정밀도가 높고(±20μm) 다양한 MOTOR(Servo, Step, B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