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이 상반기 매출 4조 9933억 원, 영업이익 1조 514억 원, 당기순이익 1조 1458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25% 증가했고 영업이익률은 21.1%로 글로벌 선사 중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 1분기에 이어 호조를 보인 2분기의 경우 매출은 2조 6634억 원, 영업이익 6444억 원, 당기순이익 6608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HMM의 성공적인 성적표에는 여러 요인이 있다. 먼저 홍해 사태의 지속화로 지난해 상반기 평균 976p였던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올해 상반기에는 평균 2319p로 상승한 부분이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전반적인 운임이 다시 코로나 때와 같이 상승함과 동시에 수익성 위주의 영업 전략이 주요했다고 HMM 측은 분석하고 있다. 아울러 지속적인 친환경 선박 및 초대형선 투입을 통한 전반적인 체질 개선도 한 몫을 했다는 평가다. 컨테이너 부문은 미국 경제 회복, 인플레이션 완화,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소비 수요 안정세가 예상되지만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마켓 상황의 급변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비로 HMM은 △중장기 선대계획에 따라 신조선 및 중
매출액·영업이익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2·33%↑ 영억이익률은 17%선 기록 HMM이 2024년 1분기 성과를 공개했다. 매출액 2조3299억 원, 영업이익 4070억 원, 당기순이익 4851억 원 수준이다. 엉업이익률은 17.5%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33·63% 증가한 수치로, 모든 그래프가 상향곡선을 그렸다. 아울러 15개 주요 항로의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평균 2010p로, 지난해 같은 기간 SCFI인 969p의 두 배를 상회한 결과를 도출했다. HMM은 이번 실적 청신호에 대해 지난해 12월 발생한 홍해 이슈로 인한 운임지수 상승과 수익성 위주의 영업 강화가 주효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미국 경제 회복, 중국발 이커머스(e-Commerce) 물량 증가, 중국 인플레이션 완화 등 글로벌 주요 경제지표는 양호할 것으로 전망되나, 홍해 이슈 장기화로 인한 출항 지연 및 운송 기간 증가 등 위험요인에 따른 시장 상황 변화 및 공급망 불안정 가능성은 항상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MM은 올해 1월부터 지난 2021년 발주한 1만30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을 인도받아 연말까지 미주노선
반도체 가격 약세가 계속되고, 자동차 수출 증가율도 둔화하면서 지난 3분기(7∼9월) 국내 기업의 성장성·수익성 지표가 악화했다. 한국은행이 12일 공개한 '3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부감사 대상 법인기업 2만2962개(제조업 1만1604개·비제조업 1만1358개)의 3분기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5.2% 줄었다. 매출은 지난 2분기 이후 두 분기째 전년 동기 대비 뒷걸음쳤으며, 감소율은 2020년 2분기(-10.1%) 이후 가장 컸다. 제조업의 경우 매출 감소 폭(-6.8%)이 2분기(-6.9%)와 비슷했다. 세부 업종별로 기계·전기전자업(-15.4%→-8.8%)의 부진이 이어졌으나, 매출액 감소 폭은 축소됐다. 반도체 가격 하락에도 인공지능(AI) 수요 확대 등으로 반도체 수출액 감소 폭(-34.8%→-22.6%)이 줄어든 영향이다. 자동차·운송장비(23.7%→10.0%)는 수출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매출 증가 폭이 축소됐다. 비제조업 매출 증가율은 2분기 -0.7%에서 3분기 -3.1%로 감소 폭이 확대됐다. 전기가스업(10.0%→-1.9%)이 기저효과 영향으로 부진했고, 도소매업(-5.1%→-7.0%)의 매출 하락 폭도 컸다. 수익성 지표
SCFI 15주째 하락 2072.04 기록…美·유럽운임도 연중 가장 낮아 해상 운송 항로의 운임 수준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15주째 하락하며 또다시 연중 최저치를 경신했다. 23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컨테이너 운송 15개 항로의 운임을 종합한 SCFI는 이날 전주 대비 240.61포인트(p) 내린 2072.04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날 대비 55%가량 떨어진 수치로, SCFI는 6월 10일 이후 15주째 하락하며 또다시 연중 최저치를 나타냈다. 주요 노선인 미주와 유럽 항로 운임이 큰 폭으로 떨어지며 종합 운임의 하락세를 이끌었다. 가장 비중이 높은 미주 서안 노선 운임은 1FEU(40피트 컨테이너 1개)당 366달러 떨어지며 2684달러를 기록했다. 해당 노선 운임이 3000달러 선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20년 7월 24일 이후 처음이다. 미주 동안 운임도 1FEU당 달러 638달러 하락하며 연중 최저치인 6538달러를 찍었다. 유럽 항로 운임은 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당 3163달러로 전주 대비 382달러 내렸다. 미주와 유럽 항로 운임 모두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치다. 해운업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헬로티 김진희 기자 | 내년에도 수출입에서 물류비 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로 인해 절반이 넘는 응답기업이 영업이익 감소를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 수출입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2022년 수출입 물류 전망과 기업의 대응과제’를 조사한 결과, 내년 수출입액 대비 물류비 비중 전망을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기업의 91.2%는 ‘올해와 비슷(47.8%)하거나 증가(43.4%)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반면,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8.8%에 불과했다. 실제로 글로벌 해운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작년 4월 850선에서 올해 11월 4,560선으로 5.4배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최근 오미크론 바이러스 확산으로 해외항만・내륙운송 적체가 심화될 경우 운임지수가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내년에도 수출입 물류비 상승이 지속될 경우 ‘영업이익 감소’(54.3%)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업들은 응답했다. 이어 ‘제품의 가격경쟁력 저하’(16.7%), ‘해외거래처 감소’(11.7%), ‘보관 등 비용 증가’(11.7%) 등으로 나타났다. 실제 전기차부품업체 A사 관계자는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