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9월 누적 241억4000만달러 흑자…1년전보다 432억7000만달러↓ 상품수지가 3개월 만에 흑자로 돌아서면서 지난 9월 전체 경상수지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하지만 상품수지 흑자규모는 1년 전보다 90억달러 이상 크게 줄었다. 한은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6억1000만달러(약 2조2508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하지만 흑자 규모는 작년 같은 달(105억1000만달러)보다 88억9000만달러나 감소했다. 올해 들어 1∼9월 누적 경상수지는 241억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작년 같은 기간보다 흑자 폭이 432억7000만달러 축소됐다.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2020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23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다가 4월 수입 급증과 해외 배당이 겹치면서 적자를 냈다. 한 달 뒤 5월 곧바로 흑자 기조를 회복했지만, 넉 달 만인 8월 30억5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뒤 한 달 만에 약 16억달러 차이로 힘겹게 다시 흑자 문턱을 넘었다. 세부 항목별 수지를 보면, 상품수지가 4억9000만달러의 흑자를 냈다. 8월(-44억5000만달러)보다는 약 50억달러 많고, 3개월 만의 흑자 전환이다. 그러
서비스수지도 7.7억달러 적자 전환…지재권·여행수지 악화 탓 한은 "8월 경상수지 적자는 이례적 무역적자 영향" 원자재 등의 수입 가격 상승으로 지난 8월 상품수지 적자가 약 45억달러에 이르면서, 이를 포함한 전체 경상수지도 4개월 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8월 경상수지는 30억5000만달러(약 4조3036억원) 적자로 집계됐다. 작년 같은 달(74억4000만달러 흑자)보다 104억9000만달러나 감소했다.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2020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23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다가 4월 수입 급증과 해외 배당이 겹치면서 적자를 냈고, 5월 흑자 전환에 성공했지만 넉 달 만에 다시 흑자 기조가 깨졌다. 특히 4월의 적자는 연말 결산법인의 외국인 배당으로 배당소득수지 적자가 약 40억달러에 이른 영향이 컸지만, 8월의 경우 배당소득수지가 흑자(13억9000만달러)인데도 상품수지의 대규모 적자가 경상수지 적자를 이끌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8월 상품수지는 1년 전보다 104억8000만달러나 줄어 44억5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7월(-14억3000만달러)에 이어 2개월째 적자에서 벗
경상수지 10.9억달러 흑자…1년 전보다 66.2억달러↓ 지난 7월 경상수지가 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지만, 흑자 규모는 감소했고 원자재 등 수입 가격 상승으로 상품수지는 10년 3개월 만에 적자를 냈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7월 경상수지는 10억9000만달러(약 1조5037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2020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23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다가 4월 수입 급증과 해외 배당이 겹치면서 적자를 냈고, 5월 흑자 전환에 성공한 뒤 석 달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하지만 7월 흑자액은 작년 같은 달(77억1000만달러)보다 66억2000만달러 감소했다.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 흑자가 1년 전보다 67억3000만달러나 줄어 11억8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상품수지 적자는 2012년 4월 이후 10년 3개월 만이다. 수출(590억5000만달러)이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6.9%(37억9000만달러) 늘었지만, 수입(602억3000만달러) 증가 폭(21.2%·105억2000만달러)이 수출의 약 세 배에 이르렀다. 무엇보다 7월 통관 기준으로 원자재 수입액이 작년 같은 달보다 35.5% 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