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9월 누적 241억4000만달러 흑자…1년전보다 432억7000만달러↓
상품수지가 3개월 만에 흑자로 돌아서면서 지난 9월 전체 경상수지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하지만 상품수지 흑자규모는 1년 전보다 90억달러 이상 크게 줄었다.
한은이 8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9월 경상수지는 16억1000만달러(약 2조2508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하지만 흑자 규모는 작년 같은 달(105억1000만달러)보다 88억9000만달러나 감소했다.
올해 들어 1∼9월 누적 경상수지는 241억4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다만 작년 같은 기간보다 흑자 폭이 432억7000만달러 축소됐다.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2020년 5월 이후 올해 3월까지 23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다가 4월 수입 급증과 해외 배당이 겹치면서 적자를 냈다.
한 달 뒤 5월 곧바로 흑자 기조를 회복했지만, 넉 달 만인 8월 30억5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뒤 한 달 만에 약 16억달러 차이로 힘겹게 다시 흑자 문턱을 넘었다.

세부 항목별 수지를 보면, 상품수지가 4억9000만달러의 흑자를 냈다. 8월(-44억5000만달러)보다는 약 50억달러 많고, 3개월 만의 흑자 전환이다.
그러나 1년 전(95억5000만달러)과 비교하면 흑자액이 90억6000만달러나 감소했다.
우선 수출(570억9000만달러)이 작년 9월보다 0.7%(4억2000만달러) 줄었다. 2020년 10월(-3.5%) 이후 23개월 만의 첫 감소다. 통관 기준으로 특히 중국(-6.5%), 동남아(-3.0%), EU(-0.7%)로의 수출이 부진했다.
반면 수입(565억9000만달러)은 1년 전보다 18%(86억3000만달러) 늘었다. 통관 기준으로 원자재 수입액이 작년 같은 달보다 25.3% 증가했다. 원자재 중 가스, 원유, 석탄의 수입액(통관기준) 증가율은 각 165.1%, 57.4%, 32.9%에 이르렀다.
수송장비(23.7%), 반도체(19.2%) 등 자본재 수입도 10.6% 늘었고, 곡물(38.1%), 승용차(24.2%) 등 소비재 수입도 13.0% 증가했다.
서비스수지도 3억4000만달러 적자였다. 작년 9월(-6000만달러)보다 적자 폭이 2억8000만달러 커졌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