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3분기 매출 5조 3680억 원, 영업이익 5,659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특히 매출 5조 원, 영업이익 5천억 원 돌파는 최초다. 에너지 부문 영업이익률은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조 9282억 원(56.1%), 영업이익은 1924억 원(51.5%) 각각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6272억 원(13.2%) 늘었고 영업이익은 1369억 원(31.9%) 증가했다. 이로써 삼성SDI는 올해 3분기 누계 실적이 전년도 연간 수치를 상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삼성SDI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원소재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추진하고 있는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 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에너지 부문의 매출은 4조 834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6.4%, 전분기 대비 18.7%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48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0.2%, 전분기 대비 98.0% 증가했으며 영업이익률은 10.0%를 기록했다. 전 분기와 비교해 중대형 전지는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루었다. 자동차 전지는 프리미엄급 전기차의 견조한 수요 속에 P5(G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삼성SDI가 올해 3분기 매출 3조4398억 원, 영업이익 3735억 원의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매출, 영업이익 모두 분기 최대 실적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526억원(11.4%)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061억원(39.7%)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1055억원(3.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783억원(26.5%) 증가했다. 배터리 사업의 경우, 중대형 전지는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 분기와 비교해 흑자를 유지했다. 자동차 전지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에 따른 수요 감소 영향을 받았으나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판매가 늘면서 수익성을 유지했다. ESS는 주요 프로젝트의 공급 일정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다. 소형 전지의 경우 매출이 성장하고 수익성도 향상됐다. 원형 전지는 전기차, 전기자전거 등 모빌리티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했고, 파우치형 전지는 주요 고객의 신규 스마트폰과 웨어러블용 판매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됐다. 삼성SDI는 4분기 배터리 사업 전망으로 중대형 전지가 신기종,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전지는 반도체 수급 이슈가 지속될 것이지만 Gen.5 배터리 공급 확대로 판매가 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