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노트 시뮬레이션과 AI를 활용한 새로운 분자·물질 개발
분자 시뮬레이션의 역할 분자는 물론, 그것을 구성하는 원자를 육안으로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인간은 많은 측정기기의 개발을 통해 양자역학의 법칙이 지배하는 원자 수준 세계의 정보를 획득하려고 노력해 왔다. 인간이 가시광 영역의 빛을 이용해 시각을 획득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빛(전자파)을 이용한 분광 측정기기는 당연한 귀결일지도 모른다. 분자 진동은 적외 영역의 에너지 대역을 가지며, 적외선을 통해 분자 진동의 관측이 가능하다. 자외·가시 영역의 빛은 분자의 전자 상태 에너지 대역에 해당하기 때문에 분자의 전자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X선과 같은 강력한 빛은 분자나 결정 중의 원자 간과 동일한 정도의 파장을 가지며, 이들을 관측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화학 실험실에서는 분자 구조를 해명하기 위해 핵자기공명(NMR)이 필수적이다. NMR은 자기장 중의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핵이 전자장과 공명을 일으키는 주파수를 관측한다. 이러한 측정기기를 이용해 얻은 정보는 해독이 필요한 간접적인 것이다. 어떤 조건 하에서도 측정할 수 없고 측정 환경을 갖출 필요가 있다. 양자역학의 원리에서는 대상에 교란을 주지 않고 관측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한된
- 스미다 마사토, 이화학연구소 혁신지능통합연구센터 분자정보과학팀
- 2025-11-09 0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