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봇이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절차에 본격 돌입했다고 27일 밝혔다. 클로봇은 이번 상장을 통해 총 300만 주를 공모할 예정이며 희망 공모가 범위는 9400원~1만900원, 총 공모금액은 282억 원~327억 원이다. 9월 23일부터 27일까지 5일간 국내외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이후 일반투자자 청약을 거쳐 10월 경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2017년 창업한 클로봇은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 242억 원을 달성하며 2020년부터 4년간 연평균 79%의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현재 130여 곳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현대차, 보스턴 다이나믹스 등과는 주요 프로젝트를 통해서 사업 협력 중이다. 또한 클로봇은 현대차그룹 제로원, 네이버 D2SF, 롯데벤처스 등으로부터 누적 32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올해 2월에는 평가기관 2곳의 기술성 평가를 각각 ‘A, A’로 통과해 사업성과 기술성 양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김창구 클로봇 대표는 “산업 전반에 로봇 도입이 확대되면서 로봇의 형태와 역할도 다양해지고 있다”며 “클로봇은 이러한 산업 변화
[헬로티=이동재 기자] 지난달 26일 코엑스에서 열린 국제인공지능대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다양한 기업과 기관이 인공지능을 접목한 첨단 기술을 뽐냈고, 참신하고 흥미로운 기술이 참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그중에서도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갖고 주목한 분야는 단연 ‘자율주행’이었다. ▲지난 3월 24일부터 26일까지 코엑스에서 열린 국제인공지능대전 전시회장. (출처 : 이동재 기자) 전시회를 지배한 자율주행 바람 자율주행차는 친환경에너지차와 함께 미래차를 설명하는 중요한 양대 키워드다. 어릴적 상상 속에서 존재했던 저절로 가는 자동차는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완벽한 단계는 아니지만 운전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주행 기술이 부분적으로 적용된 차량이 판매되고 있고, 기술은 놀랄 만큼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어, 2030년을 자율주행 상용화 시기로 예측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국가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부처에서 범부처 국가지정사업으로 선정하고 천문학적인 재정을 쏟아붓고 있을 만큼, 자율주행차는 중요한 산업 분야로 여겨지고 있다. 이번
[헬로티=이동재 기자]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자율주행 기술 분야에서 가장 앞서있다고 평가받는 웨이모의 최고경영자 존 크래프칙이 일선에서 후퇴하며 화제가 됐다. 그의 퇴임은 자율주행차 개발 전망에 대해 열광적이었던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자율주행 분야의 전문가들은 자율주행차에 대한 과대광고를 조심해야 한다며, 자율주행 개발의 어려움을 이야기했다. 인류는 언제쯤 완전한 자율주행차를 탈 수 있을까? 자율주행 개념의 등장 미래차를 대표하는 키워드 두 가지는 친환경, 그리고 자율주행이다. 자율주행 기술은 1960년대 유럽 완성차 업체에서 최초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1977년 일본의 쓰쿠바 기계공학 연구실에서 최초의 자율주행 연구가 성공을 거뒀다는 기록이 있으나, 일반 도로에서의 주행이 아닌 장애 요소가 배제된 시험 주행장에서의 연구였다. 어쨌든 이를 계기로 여러 국가에서 자율주행차 개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미국 카네기멜론대학 자율주행 연구팀이 쉐보레 밴을 개조한 자율주행차 ‘내브랩1’을 선보였고, 메르세데스 벤츠가 ‘유레카 프로메테우스 프로젝트’라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