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쉬렉스로스코리아가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했다. 이 자리에서 순환 물류 시스템을 선보였다. AW 2025는 지난 1990년 첫 개최 이후 올해로 35회차를 맞이한 국내 최대 산업 자동화(FA) 축제로, 사흘간 다양한 시각에서의 자동화·자율제조 인사이트를 제공했다. 서울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는 전 세계 400개사가 2200개 부스를 꾸려 약 8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모았다. 전시장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공장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주요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여기에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클라우드 컴퓨팅, 로봇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주목하는 신기술이 한자리에 펼쳐졌다. 보쉬렉스로스코리아(이하 보쉬렉스로스)는 독일 Bosch Rexroth AG의 현지 법인이다. 중장비 유압, 전기식 드라이브 및 제어 기술, 직선 운동 및 어셈블리 기술 등 구동·제어를 구현하는 다양한 제품을 다룬다. 아울러 사물인터
Rexroth A Bosch Company(이하 보쉬 렉스로스 코리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프로그래밍 없이 사용 가능한 스마트 프레스 패키지 솔루션을 제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보쉬 렉스로스 코리아가 이번 AW 2025에서 제시한 스마트 프레스 패키지 솔루션은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손쉽게 설정 및 운영이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품질 관리와 유지 보수를 최적화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보쉬 렉스로스 코리아는 보쉬 그룹의 산업 기술 부문을 담당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자동화 및 제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어. 특히, 스마트 프레스 패키지(Smart Press Kit)와 같은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제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자동화 제어 플랫폼 ‘컨트롤 X’ 비롯해 이송 시스템 ‘LMS 솔루션’, 협동로봇, 보상 모듈 ‘스마트 플렉스 이펙터’ 대공개 보쉬렉스로스코리아(이하 보쉬렉스로스)가 ‘2024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4, 이하 AW 2024)’에 출격해 공정 제어부터 이송, 기계 동작 등에 활용되는 각종 솔루션을 참관객에게 내비쳤다. 보쉬렉스로스는 조립 기술, 전기 구동 및 제어 장치, 기어, 산업용 유압장치, 리니어 모션, 몰딩 및 캐스팅, 체결, 모바일 로보틱스, 저항 용접 등 다양한 기술을 산업에 제공하고 있다. 제품 생산부터 서비스, 교육까지 전주기 대안을 제시해 신뢰성을 확보하는 중이다. 보쉬렉스로스가 이번 전시장에 출품한 기술은 자동화 제어 플랫폼 ‘컨트롤X(ctrlX)’, 이송 시스템 ‘LMS 솔루션(Linear Motion System)’, 센서 기반 보상 모듈 ‘스마트 플렉스 이펙터’, ‘카소로봇(Kassow Robots)’사의 협동로봇 등이다. 보쉬렉스로스의 차세대 플랫폼 컨트롤X는 자동화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자체 개발한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컨트롤러, 서보,
보쉬렉스로스코리아의 LMS 토탈 솔루션을 확인하세요! Asia No.1 자동화 전시회! 산업 지능화 시대를 선도하는 아시아 최고의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현장을 살펴봅니다 ■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3 ■ 2023.03.08 (수) - 03.10 (금) ■ COEX A,B,C,D Hall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헬로티 김진희 기자 | SK텔레콤은 밸류컴패니언·보쉬렉스로스코리아와 업무 협약해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을 위한 전문팀을 만든다고 16일 밝혔다. 3사는 IT 솔루션과 컨설팅을 결합해 스마트공장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에 제조 현황 분석과 솔루션 지원, 개선 효과 검증 등 단계별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한다. 지원을 받게 될 첫 번째 기업은 건강기능식품 제조사 네이처텍이다. 1976년 남양알로에로 시작한 네이처텍은 2019년에 업계 최초로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도입했다. 3사는 네이처텍의 생산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자동 제어를 통해 품질 불량을 예방하는 등 생산성 향상을 도울 계획이다. 최낙훈 SK텔레콤 스마트 팩토리 CO(컴퍼니)장은 "전문팀을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 완성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5G·AI·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우리나라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