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빠르게 커지고 있는 시니어 시장을 겨냥해 고령층 특화 가전 출시부터 맞춤형 상담 서비스까지 전방위 대응에 나섰다. LG전자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협력해 오는 11월까지 전국 LG전자 베스트샵 22곳에서 시니어 대상 인공지능(AI)홈 활용 교육을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교육에서는 스마트 가전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 고객을 위해 LG 씽큐(LG ThinQ) 앱으로 가전과 기기를 연결하는 방법부터 에어컨 전원 제어, 냉장고 유통기한 알림, 세탁 완료 알림 등 다양한 활용법을 안내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1000만 명을 넘어서며 전체 주민등록 인구의 약 20%를 차지했다. LG전자는 지난달 29일 고령층 전용 ‘LG 이지 TV’를 선보이며 시니어 맞춤형 제품 라인업 확대를 예고했다. 백선필 LG전자 TV상품기획담당 상무는 “연구소 차원에서 시니어 라이프스타일을 분석하고 있다”며 “TV를 시작으로 모바일, 노트북 등 다양한 제품군에서 맞춤형 제품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LG 이지 TV는 홈 화면을 필수 기능 중심으로 단순화하고, 카카오톡과 협업한 ‘LG 버디’ 기능을 탑재해 시니어 케어 기능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애플이 LG전자와 손잡고 한국 시장 공략을 강화하려는 계획이 국내 모바일 업계를 혼돈 속으로 빠뜨리고 있다. 애초 애플과 협력으로 모바일 사업 철수의 공백을 메우려던 LG전자는 중소 유통업자와 여론의 반발에 갈지자 행보를 하고 있고, 애써 외면 중인 삼성전자는 행여 이번 일이 국내 시장의 주도권 약화로 이어질까 긴장하고 있다. "대기업이 영세상인 생계위협" 반발에 멈칫한 LG 8일 모바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가전 매장인 베스트샵에서 애플 제품을 판매하는 계획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을 최근 잠정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해당 건에 대해 이동통신 대리점들이 반발하는 데다 해외업체와 함께 삼성전자를 견제하는 모양새로 비치면서 LG전자가 부담을 느꼈을 것"이라며 "최근 내부적으로 의사결정이 중단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열린 대책 회의에서는 정부가 상생협력 및 동반성장 정책 기조를 강조하는 와중에 대기업 유통점이 코로나19로 형편이 어려운 영세 유통점의 생존을 위협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검토된 것으로 전해졌다. 베스트샵도 애플 판매를 위한 직원 교육을 보류하는 등 애플 판매가 기존 인력과 유통망을 활용하는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