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장하는 배달산업의 건강한 상생 생태계 구축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모색하기 위한 전문 연구기관 '배달산업연구원(Delivery Industry Research Institute, DRI)'이 공식 출범했다. 연구원은 지난 25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출범식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 시작을 알렸으며 28일 공식 출범을 발표했다. 최근 몇 년간 배달산업은 우리 일상과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 산업으로 부상했다. 하지만 폭발적인 성장 과정에서 플랫폼 기업, 배달 대행사, 소상공인, 배달노동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갈등과 문제점들이 노출되면서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심도 있는 연구와 사회적 논의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에 배달산업연구원은 '배달산업 생태계의 상생협력시스템 구축'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설립되었다. 플랫폼, 소상공인, 라이더 등 모든 산업 참여 주체들이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공정한 거래 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연구원의 초대 원장으로는 교통·물류 분야의 권위자인 황기연 박사가 선임되었다. 황 원장은 홍익대학교 부총장, 한국교통연구원장, 대통령
디지털 외식플랫폼 먼키가 소상공인 외식사업자와 배달라이더 지원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ESG 경영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먼키는 우선 입점한 130여명의 외식사업자에게 복날을 맞아 무더위를 시원하게 이겨내자는 취지로 과일 선물세트와 응원메시지를 전달했다. 또한, 폭염에 지친 배달라이더에게는 무료로 생수를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배달비 상승으로 탈배달앱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외식사업자와 배달라이더 모두 어려운 상황에서 무료배달 서비스도 시작했다. 먼키 구로디지털단지점에서 시범운영하는 무료배달 서비스는 배달비를 전액 먼키 본사에서 부담해 외식사업주는 물론, 고객의 밥값 부담까지 낮췄다. 먼키 운영사 먼슬리키친의 김혁균 대표는 “고물가와 인건비 상승 등 소상공인 외식사업자의 경영환경이 어려운 요즘, 이 분들을 응원하고 함께 상생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매우 의미 있다”며 “먼키는 앞으로도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ESG 경영을 지속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먼키는 전국의 지역 맛집과 유명 외식브랜드로 구성된 맛집편집샵에 IT, AI 공유주방 시스템을 접목한 차세대 외식플랫폼이다. 현재 강남역, 시청역, 분당 수내역 등 수도권 핵심상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