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프는 중국 상하이 폴리아마이드(PA) 6 공장이 ISCC PLUS(International Sustainability & Carbon Certification, 지속가능성 및 저탄소 제품에 대한 국제인증제도)를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 바스프 상하이 공장은 이번 친환경 인증 획득을 통해 바이오매스 밸런스(biomass balanced) 및 씨사이클드(Cycled) 폴리아마이드 6와 6/6.6 코폴리머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됐다. 바스프의 울트라미드(Ultramid) 바이오매스 밸런스 인증 폴리아마이드 6는 화학 제품 생산의 첫 단계에서 화석 원료 대신 바이오 기반 순환 원료를 사용하는 매스 밸런스 접근법을 통해 제품 탄소 발자국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해당 접근법에 따라 순환 원료는 제품에 알맞게 할당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생산된 제품은 기존 제품과 동일한 특성 및 품질을 지닌다. 울트라미드 씨사이클드 폴리아마이드 6에도 매스 밸런스 접근법을 통해 폐타이어와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화학적으로 재활용한 열분해유에서 추출된 대체 원료가 사용됐다. 바스프는 열분해유를 생산 공정의 첫 과정에 투입해 화석 원료를 효과적으로 대체한다. 바스프 모노머 사업부
바스프와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 페트로나스 간의 합작법인인 바스프 페트로나스 케미컬(BPC)이 말레이시아 내 콴탄 사이트에서 2-에틸헥사노익산(2-EHA) 생산라인에 대한 확대 증설을 완료했다. 이번 증설로 바스프 페트로나스 케미컬은 2-EHA 생산능력을 기존 3만 톤에서 6만 톤으로 확대했으며, 이를 통해 빠르게 증가하는 고객의 고품질 2-EHA에 대한 수요를 충족할 예정이다. 2-EHA는 합성 윤활유 및 오일 첨가제 생산에 사용되는 화학 중간체로 자동차 냉각수, 페인트 건조제용 금속염, 가소제, 안정제, 촉매제 및 기타 다양한 산업 분야의 중요한 원료로 사용된다. 2016년 설립된 바스프 페트로나스 케미컬의 2-EHA 공장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하며 지역의 성장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바스프 페트로나스 케미컬은 2023년 1분기 두 번째 생산 라인을 착공했으며, 올해 10월 증설에 대한 완공을 마쳤다. 바스프 페트로나스 케미컬은 이번 증설을 통해 전 세계 고객의 진화하는 요구에 대응하며 혁신을 이끌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슈테판 코트라드 바스프 이사회 멤버이자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이번 증설은 수익성 있는 성장
바스프가 차세대 전력 반도체 IGBT(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하우징 제조에 최적화된 폴리프탈아미드(PPA) 소재를 개발했다. 바스프는 새로운 울트라미드 어드밴스드 N3U41 G6을 통해 전기차, 고속 열차, 스마트 제조 및 재생에너지 발전 등에 활용되는 고성능의 안정적인 전자 부품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GBT는 전력 전자장치에서 전기 회로의 효율적인 스위칭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전력용 반도체의 일종이다. 차세대 IGBT를 위한 소재 확보가 중요한 상황에서, 울트라미드 어드밴스드 N 등급은 뛰어난 내화학성과 치수 안정성으로 IGBT의 견고성, 장기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해 에너지 절약, 전력 밀도 및 효율성 향상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바스프의 PPA 소재는 이러한 이점으로 전력 분야의 글로벌 기업인 세미크론 댄포스의 태양광 및 풍력 에너지 시스템 인버터에 적용되는 Semitrans 10 IGBT의 하우징으로 사용되고 있다. 세미크론 댄포스의 연구 및 사전 개발 담당 요른 그로스만(Jörn Grossmann)은 “IGBT는 현대의 전자기기, 특히 재생 에너지 부문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으
바스프의 기능성 소재 사업부문이 2050년 탄소 중립 달성 및 순환 경제를 위한 전략적 로드맵을 12일 공개했다. 바스프 기능성 소재 사업부문은 혁신적인 맞춤형 플라스틱 생산을 위한 바스프의 모든 소재 노하우를 집약해 플라스틱 분야의 지속 가능성 전환에 앞장설 예정이다. 마틴 융 바스프 글로벌 기능성 소재 사업부문 사장은 “우리는 낮은 탄소 발자국을 가진 포트폴리오 및 다양한 순환 솔루션 제공을 통해 고객의 지속 가능한 전환을 지원하고자 한다”며 “플라스틱을 보다 자원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방법부터 사용을 개선하는 방법, 새롭게 탄생시키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모든 라이프 사이클에 걸쳐 플라스틱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바스프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스코프(Scope) 1과 2에 해당하는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25% 줄이고, 스코프 3.1 탄소 배출량을 2022년 대비15% 감축한다는 목표를 설정한 바 있다. 바스프는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한 탄소 관리의 첫 번째이자 필수적인 전략으로 친환경 전기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마틴 융 사장은 “2023년부터 이미 바스프 기능성 소재 사업부문 전 세계
글로벌 화학 기업 바스프가 합성피혁 생산을 위한 100%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우레탄 솔루션 ‘합텍스(Haptex) 4.0’을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합성피혁은 폴리우레탄(PU) 및 PET 등 여러 원재료의 복합재로 구성돼 있으며 각 층의 결합 강도가 매우 높아 층별로 분리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수명이 다한 합성피혁의 재사용 및 재활용은 업계가 직면한 오랜 과제 중 하나였다. 합텍스 4.0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며 기존에는 어려웠던 합성피혁의 재사용 및 재활용을 용이하게 해준다. 합텍스 4.0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원단을 통해 합성피혁을 생산할 경우 혁신적인 배합 및 재활용 기술을 통해 복합재 층을 분리하는 공정 없이도 소재를 재활용 및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합텍스 4.0은 폐기물 및 잔여물 없이 생산되며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지속 가능한 제조 공정을 구축할 수 있다. 기존 합텍스 솔루션과 같이 합텍스 4.0의 제조 공정에는 유기용제가 사용되지 않아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표준을 준수한다. 이를 통해 합성피혁 생산 공정을 간소화하고 공정 시간 또한 단축할 수 있다. 합텍스 4.0은 이러한 환경적 이점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바스프가 중국선박공업집단공사(CSSC)의 전력 장비 자회사 CPGC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에 적용되는 첨단 선박 탄소 포집 시스템(OCCS)에 ‘OASE 블루(OASE blue)’ 가스 처리 기술을 제공한다고 17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위해 2024 상하이 국제탄소중립박람회(2024 Shanghai International Carbon Neutrality Expo)에서 기본합의서를 체결했다. 바스프의 OASE 블루는 연도가스 내 탄소를 포집하기 위해 설계된 바스프의 가스 처리 기술로 에너지 및 용매 손실량이 적으며 보다 다양한 범위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CPGC는 해운산업의 저탄소 전환을 주도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자사의 선박 탄소 포집 시스템에 바스프의 OASE 블루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바스프와 CPGC는 지난해 열린 2023 상하이 국제탄소중립박람회에서 해상 선박 탄소 포집 기술의 상업적 활용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지난 1년 동안 OCCS 시제품에 대한 기술 성능 테스트를 수행했으며, 현재 다양한 유형의 선박에 해당 시스템의 상업적 적용을 위해 실제 선박 조건에 맞춰 세부 설계 최적화 작업을
바스프가 사빅(SABIC), 린데(Linde)와 함께 대규모 스팀크래커 전기 가열로를 갖춘 시범 공장을 준공했다고 25일 밝혔다. 3사는 지난 2021년 스팀크래커 전기 가열로 개발 및 실증을 위한 공동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스팀크래커는 기초 화학 물질 생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탄화수소를 올레핀과 방향족으로 분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약 섭씨 850도의 큰 열에너지가 필요하며 현재는 화석 연료를 사용해 공정 온도에 도달하고 있다. 새로운 시범 공장은 전기를 열원으로 사용해 지속적인 올레핀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신기술은 재생 가능한 전기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화학 산업에서 가장 에너지 집약적인 생산 공정으로부터 탄소 배출량을 90% 이상 감축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시범 공장은 바스프 루드비히스하펜 페어분트 생산단지에 있는 기존 증기 분해기에 완전히 통합되어 포화 탄화수소로부터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보다 고급의 올레핀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사는 시범 공장 가동을 통해 상업적 운영 조건에서 재료의 거동 및 공정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 해당 기술을 상용화 단계까지 최종 개발하는 것을
PPA 계약 체결…내년부터 매년 60GWh 전력 공급 SK E&S는 일진그룹 계열사인 일진글로벌, 베어링아트와 지난 7일 충북 제천시 일진글로벌 제천 1공장에서 재생에너지 직접전력구매계약(PPA)을 맺었다고 8일 밝혔다. PPA는 기업이 직접 전기 공급 사업자에게 전기를 사서 쓰는 방식이다. 재생에너지 PPA는 기업이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직접 구매해 사용함으로써 'RE100'(재생에너지 100%) 달성을 위한 가장 효율적 수단으로 평가받는다. 이번 계약으로 일진글로벌과 베어링아트는 이르면 내년부터 매년 60GWh(기가와트시)의 재생에너지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이를 통해 매년 온실가스 2만7,600t을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소나무 230만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다. SK E&S는 민간 최대 재생에너지 사업자로, 지난해 3월 국내 최초로 아모레퍼시픽과 PPA를 체결한 데 이어 같은 해 8월 SK스페셜티와도 PPA를 맺었다. 올해도 바스프, LG이노텍과의 PPA 협약체결로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조달에 힘을 보태고 있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英 브랜드 파이낸스, 화학기업 평가…LG화학 평가액 작년보다 5.3%↑ LG화학의 브랜드 가치가 5조9천억여원에 달해 글로벌 화학 기업 가운데 3위를 차지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의 글로벌 브랜드 평가 전문 컨설팅업체 '브랜드 파이낸스'가 최근 발표한 '2023년 화학 기업 랭킹 25'에서 LG화학의 브랜드 가치는 45억2,600만달러로 평가됐다. LG화학의 브랜드 가치는 지난해(42억9,700만달러)보다 5.3% 증가했다. 이로써 LG화학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글로벌 3위를 지켰다. LG화학의 브랜드 가치는 2018년 24억2,100만달러(5위), 2019년 33억3,800만달러(4위), 2020년 35억달러(4위), 2021년 36억200만달러(4위), 2022년 42억9,700만달러(3위)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또 글로벌 상위 25개 화학 기업 중 국내 기업으로는 LG화학이 유일했다. 독일 바스프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위 자리를 지켰다. 바스프의 브랜드 가치는 지난해(83억4,800만달러)보다 소폭 증가한 83억6천만달러로 평가됐다. 사우디아라비아 사빅(SABIC)의 브랜드 가치는 작년(46억7천만달러)보다 1%가량 늘어난 47억7,1
현대엔지니어링이 캐나다에 이어 폴란드에서도 초소형모듈원전(MMR) 사업을 추진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8일 폴란드 현지에서 미국의 MMR 전문 기업 USNC, 폴란드 레그니차 경제특별구역(LSEZ)과 MMR 사업개발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LSEZ는 폴란드 레그니차에 1997년 조성된 경제특별구역으로 폭스바겐, 바스프(BASF) 등 77개의 글로벌 기업들이 입주해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등은 앞으로 레그니차 경제특별구역내 전기·열·스팀 공급을 위한 MMR 도입 가능성을 타진하고, 향후 추가 협의를 통해 사업실현을 위한 본격적인 협력에 나서기로 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캐나다 초크리버 MMR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폴란드에도 MMR 사업을 적극 추진해 글로벌 선두주자의 위상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美 오토모티브뉴스 선정 100대 부품사 순위 발표…전년 대비 한 단계 상승 총 291억불 매출 달성 미래車 시장 선제 투자, 연구개발 확대로 반도체 수급난과 글로벌 물류시장 셧다운에도 선방 현대모비스가 지난해 반도체 수급난과 코로나19로 촉발된 전 세계 물류환경변화에도 선전하며 5년 만에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계 순위 6위를 탈환했다. 현대모비스는 28일 글로벌 자동차 전문 매체 오토모티브뉴스(Automotive News)가 발표한 100대 부품사 순위(2022 Top Suppliers)에서 6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오토모티브뉴스는 글로벌 부품사들이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거둔 직전 연도 매출을 기준으로 글로벌 부품사 순위를 발표하며, 이는 곧 부품업체들의 경쟁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순위 조사에서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291억 달러의 완성차 대상 매출을 기록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017년부터 5년간 유럽과 북미, 그리고 일본업체들에 이어 업계 순위 7위에 머물렀으나, 지난해 전동화와 핵심부품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주가 급격하게 늘어나며 올해 한 계단 상승했다. 이에 따라 지난 2011년 처음으로 10위 권에 진입한 이후 12년 연속 10대 부품사에 선정됐다
[첨단 헬로티] 글로벌 화학 기업인 바스프(BASF)는 12일 경기도 수원에서 어린이 화학 실험 교실인 바스프 키즈랩(BASF Kids’ Lab)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바스프 키즈랩은 1997년 독일 본사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 30개 국에서 매년 열리는 글로벌 교육 프로그램으로, 화학에 대한 어린이들의 관심을 높이고자 마련됐다. 국내서는 2003년 울산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매년 서울, 여수, 울산, 군산 등 전국 각지에서 열려 지금까지 약 5,100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참가했다고 바스프는 전했다. 바스프 키즈랩이 2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는 바스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전자소재 R&D 센터가 위치한 경기도 수원에서 초등학교 4학년 180명을 대상으로 열린다. 바스프는 2014년 수원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 캠퍼스 내에 아태지역 전자소재 R&D센터를 개소했다. 한국바스프 신우성 대표는 “바스프는 지난 20년간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 화학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앞장서 왔다. 특히 2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바스프의 연구개발 센터가 위치한 수원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확대하게 되어 더욱 의미가 크다,”며 &ld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