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2'가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정상 개최된다. 매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던 MWC는 2020년 코로나19로 취소됐고 지난해의 경우 평상시보다 4개월 늦은 6월 말∼7월 초에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2월 28일 개막하는 올해 MWC에는 총 155개국에서 2천여개 기업이 참가한다. 한국에서는 삼성전자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 중견·중소기업 53곳, 스타트업 51곳 등을 포함해 110개 가까운 기업이 참가한다.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204개)에 비하면 절반가량이다. 갤럭시북·친환경 기술 선보이는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올해 MWC에서 갤럭시 북과 갤럭시 북 프로 등 새로운 갤럭시 북 라인업과 함께, 버려진 어망(폐어망)을 재활용한 기술과 소재를 선보일 예정이다. 앞서 삼성전자 MX사업부 NC개발팀장 김학상 부사장은 회사 뉴스룸 기고문에 "새로운 PC 라인업을 선보일 준비를 하고 있다"며 "더 강력하면서 매끄러운 모바일 컴퓨팅 기술을 제공하고, 갤럭시 생태계 안에서 다양한 기기가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기기 간 연속성'에 신경 쓰려고 한다"고 밝힌 바 있다. SKT KT LG
헬로티 서재창 기자 | MWC는 세계 3대 IT 전시회 중 하나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21(Mobile World Congress 2021, 이하 MWC)가 28일(현지시간 기준)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다. '모바일 올림픽'으로 불리는 MWC는 매년 10만 명 이상 방문객을 불러 모으는 대형 행사로 1987년부터 격년마다 바르셀로나에서 열려왔으나, 지난해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일정이 지연돼 올해 개최하게 됐다. MWC에서 국내 주요 기업의 참여는 어려울 전망이다. KT와 삼성전자에 이어 SK텔레콤도 최근 MWC에 불참하기로 했다. 앞서 구글, 노키아, 에릭슨, 소니, 오라클 등 해외 주요 ICT 기업들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여행 제한에 따라 올해 MWC에 불참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럼에도 주최 측인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이하 GSMA)는 이번 행사를 온오프라인으로 진행하게 됐음을 밝히며, 행사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를 쏟아내고 있다. 6월 28일부터 7월 1일까지 총 4일간 열리게 될 행사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온오프라인 개최 강행, 성패 여부는 어디에? MWC 2021 주제는 '커넥티드 임팩트(Connected
[첨단 헬로티] GSMA가 MWC 바르셀로나 개최를 2024년까지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고 15일 발표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GSMA와 개최도시 측(Host City Parties) MWC 바르셀로나 2020 취소로 인한 충격과 관련해 긴밀히 협조해왔으며 미래에 대해 더없이 낙관적이다. MWC 바르셀로나 주관사인 GSMA와 개최도시 측은 향후 MWC 바르셀로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확장하는 강력한 동력이 있음을 확인하고 MWC 행사를 2024년까지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GSMA는 이번 합의 연장을 통해 MWC21와 적어도 2024년까지는 MWC 바르셀로나 개최를 위해 개최도시 측*, 바르셀로나시, 카탈루냐 및 스페인 시민들과 협력하기를 기대한다. 존 호프만(John Hoffman) GSMA CEO는 “지금처럼 어려운 시기에는 미래를 기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GSMA, 개최도시 측, 그리고 MWC 바르셀로나 생태계는 다가올 MWC의 새로운 미래를 기대하고 있으며 MWC 바르셀로나 2021은 어려운 시기를 마치고 경제를 회복시켜나가는 과정의 일부가 될 것이다”며 “2024년까지 연장을 통해 우리는 생
[첨단 헬로티] 화웨이와 겔젠키르헨시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MWC2019)에서 스마트 도시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겔젠키르헨시와 화웨이 테크놀러지는 독일의 겔젠키르헨시에서 시민, 관광객 및 사업체에 정부 서비스를 제공할 스마트 도시 플랫폼 개발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그 첫 단계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OpenAir Innovation Lab을 만드는 것이다. ▲화웨이와 겔젠키르헨시가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서 스마트 도시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시민, 사업체 및 관광객을 위한 스마트 도시 쇼케이스 ▲겔젠키르헨과 겔젠키르헨의 파트너들을 위한 스마트 도시 쇼케이스 ▲새로운 기술과 솔루션을 위한 시험대 ▲지역의 파트너 에코시스템을 구축하고, 플랫폼을 확장할 허브 이는 스마트 도시 서비스 제공을 위한 표준화된 공동 플랫폼을 구축할 제안된 접근법을 증명하고, 더불어 가시성이 높은 공공 스마트 도시 서비스를 시행하고 검증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파트너들이 각자의 전문지식을 발휘하는 디지털 도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다. 화웨이는 겔젠키르헨시를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