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드밴텍이 윈도우 기반 10.1인치 산업용 태블릿 AIM-68S를 출시했다. AIM-68S는 Intel Alder Lake-N 프로세서를 탑재했고 Windows 11 IoT Enterprise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AIM-68S는 WUXGA FHD 해상도의 10.1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Gorilla Glass 3와 PCAP 터치 기술을 적용했다. 또한 -10~50℃의 작동 온도 범위와 IP65 등급의 방수·방진 설계를 갖췄다. Wi-Fi 6E, Bluetooth 5.3, NFC를 지원해 안정적인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후면 확장 포트를 활용하면 바코드 스캐너, RFID, LAN 등 다양한 모듈과 연결할 수 있다. 차량용 도킹 스테이션을 이용해 지게차와 물류 차량에 장착이 가능하다. 이로써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모니터링 및 제조 및 생산 관리 단말기로 활용할 수 있다. 긴 배터리 수명과 핫스왑 기능도 지원한다. 해당 모델은 제조업, 유통, 물류, 공공, 방산, 에너지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기존 소형 PDA를 AIM-68S로 교체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지게차 탑재용 단말기, 페이퍼리스 시스템용 태블릿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어드밴
카네비모빌리티(대표이사 정종택)가 현대자동차에 5G 특화망 산업용 무선 디바이스 'KM-1000'을 공급했다고 발표했다. 근거리 무선통신망(IEEE 802.11ax)과 Private 5G(P-5G)를 결합해 개발된 이 제품은 현대차의 신규 생산 라인 로봇 통신 구축에 적용될 예정이다. 'KM-1000'은 최신 2세대 5G 모뎀칩을 탑재해 기존 공장 내 통신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P-5G를 주통신으로 사용하면서도 문제 발생 시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자동 전환되는 네트워크 이중화 설계를 적용해 안정성을 극대화한 점이 특징이다. 또 고정밀 GPS를 옵션으로 제공해 실외 환경에서도 로봇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 카네비모빌리티는 지난해부터 현대차의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공장 신규 생산 라인과 울산 3공장 의장라인, EV 신공장 등에 'KM-1000'을 공급하며 협력을 확대해 왔다. 특히 이 제품은 무인 이동 로봇(AGV, AMR) 및 검사 장비에 탑재돼 원활한 통신을 지원한다. 카네비모빌리티 측은 현지 기술 지원을 강화해 제품의 안정적 운영을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카네비모빌리티는 차세대 근거리 무선통신망(IEEE 802.11be
국내 자율주행로봇 기업 트위니(대표 천홍석·천영석)가 미국 물류자동화 전문기업 인택솔루션(ITS)과 손잡고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선다. 트위니는 27일 ITS와 자율주행로봇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업을 통해 트위니는 자사 핵심 제품인 '나르고 오더피킹 로봇'을 ITS의 미국 텍사스주 달라스 소재 리퍼비싱 및 패킹센터에 구축할 예정이다. ITS는 삼성전자, 버라이즌, AT&T 등 글로벌 IT·통신 기업들과 협력하며 연간 100만 대 이상의 모바일 기기를 처리하고 있어 트위니의 자율주행로봇 기술이 실제 대규모 물류 현장에서 검증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트위니 김재성 로봇사업본부장은 "ITS는 북미 시장에서 탄탄한 고객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우리 기술의 현지 적용과 사업화에 최적의 파트너"라며 "이번 협력을 계기로 나르고 로봇의 북미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ITS의 현지 인프라를 활용해 영업 및 유지보수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북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기술 공급을 넘어 현지 시장에 특화된 물류자동화 솔루션 개발로 이어질 전망이다. 양사는 미국 고
로지스올그룹의 CES(컨설팅, 엔지니어링, 시스템) 기반 물류 자동화 구축 전문 기업 로지스올엔지니어링이 중국의 대표적인 물류 자동화 설비 제조사인 Wayzim Technology Korea(이하 'Wayzim')와 전략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자동화 분류 및 자동화 창고 솔루션 개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동 연구 ▲시장 조사 및 정보 공유 ▲공동 마케팅 및 홍보 활동 ▲기술 및 인력 교류 등을 적극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로지스올엔지니어링은 국내 물류 자동화 시장 개척과 고객 네트워크 관리,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고 Wayzim은 물류 자동화 솔루션 및 장비의 공급과 기술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Wayzim은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AI 기반 자동 분류 시스템, 고속 스캐닝 솔루션 등을 공급하는 기업이다. 특히 자체 개발한 Narrow Belt Sorter 시스템은 높은 처리량과 정밀도를 갖춘 자동 분류 솔루션으로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면서도 다양한 형태의 패키지를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로지스올엔지니어링은 이번 협력을 통해 Wayzim의 최신 기술을 국내에 도입해
LG CNS가 창고 자동화 물류로봇을 앞세워 북미 물류자동화 시장 진출에 나섰다. LG CNS는 현지시각으로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미국 시카고 맥코믹 플레이스(McCormick Place)에서 열린 세계 최대 물류자동화 전시회 ‘프로맷(Promat) 2025’에 참가해 창고 자동화 물류로봇 ‘3D 모바일 셔틀’과 스마트물류 솔루션을 공개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을 본격화했다. LG CNS가 새롭게 개발한 ‘3D 모바일 셔틀’은 물류창고 선반 내 물품을 수십, 수백대의 셔틀로봇이 이동하며 운송·보관하는 자동화 로봇이다. 기존 설비는 좌우 두 방향으로만 움직여 물품 이동에 제약이 있고 복도마다 선반을 설치해야 해 창고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했다. 이에 비해 ‘3D 모바일 셔틀’은 상하좌우 네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효율적으로 물품을 운송·보관할 수 있다. LG CNS는 ‘3D 모바일 셔틀’에 수학적최적화 기술을 적용해 물류 운영 효율을 극대화했으며 이를 통해 창고 이용면적도 2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일반 화물뿐만 아니라 자동차 배터리와 같은 원통형 화물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점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제조, 유통, 자동차
지난 14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는 ‘스마트물류’를 주제로 AI 자율제조혁신 포럼 3일차 컨퍼런스가 진행됐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글로벌 스마트물류의 대표주자인 오토스토어를 비롯해 스타트업에서부터 글로벌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연사로 참여해 스마트물류, 물류자동화와 관련한 각각의 전략을 발표해 주목받았다. 오토스토어, 공간 효율성·확장성 모두 잡은 혁신 기술 소개 오토스토어 코리아는 이번 세미나에서 자사의 자동 창고 솔루션이 기존 물류창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임을 강조했다. 이날 발표에 나선 이성현 오토스토어 사업개발부서장은 "오토스토어의 강점은 기존 창고 대비 3~4배 높은 공간 효율성과 확장성"이라며 "이는 제조업과 물류업계에서 필수적인 요소"라고 밝혔다. 오토스토어의 큐브형 스토리지는 기존 창고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복도 및 선반 사이의 빈 공간을 최소화해 동일한 물량을 더 적은 공간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부동산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창고 확장 없이도 처리 용량을 최대 4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실제로 전라남도 광주에 위치한 한 고객사는 기존 3개의 창고를 오토스토어 시스템으로 통합해 운영 효율을 극
아톰로봇코리아(Atomrobot Korea)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델타 로봇(D3 Series)과 MD20 시리즈 박스 팔레타이저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아톰로봇코리아는 이번 전시에서 고속·고정밀 델타 로봇과 효율적인 물류 적재 자동화를 위한 팔레타이저 솔루션을 공개하며, 제조업 및 물류 산업에서의 혁신적인 자동화 가능성을 제시했다. D3 시리즈 델타 로봇은 검증된 설계의 고속 병렬 로봇 구조를 채택해 X, Y, Z축의 3차원 공간 이동 및 Z축 회전을 지원하는 자동화 솔루션이다. 고정밀 머신 비전 시스템을 장착해 식품 및 제약 산업과 같은 고속 생산 작업에 적합하며 가벼운 소형 부품 또는 무작위 재료의 조립, 이송, 분류 작업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MD20 시리즈 박스 팔레타이저는 고효율 적재 및 이송 작업을 위해 설계
리비아오 로보틱스(Libiao Robotics)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첨단 자동화 솔루션 ‘AirRob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리비아오 로보틱스가 이번 전시에서 공개한 AirRob 시스템은 좁은 통로에서도 박스를 자동으로 이동하고 피킹하는 작업을 지원하는 첨단 자동화 솔루션으로 기존 지게차 작업을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물류 로봇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작업 속도를 크게 개선하여 물류센터 및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irRob 시스템은 경량화된 설계를 적용해 기존 선반에 별도의 보강 작업 없이 설치할 수 있어 도입이 빠르고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기존 물류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자동화율을 높일 수 있어 창고 및 물류센터 운영 기업들이 손쉽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
TXR로보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지능형 휠소터 피보틀(Pivotel)과 모듈형 컨베이어 시스템 셀루베이어(Celuveyor)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TXR로보틱스가 이번 전시에서 공개한 피보틀(Pivotel)은 지능형 휠소터로 휠 롤러 중심 간 거리(Pitch)가 55mm로 설계된 초소형 피치 소터다. 이는 현재 전 세계 휠소터 중 가장 작은 피치를 자랑하는 기술로 한층 정밀하고 빠른 물류 분류가 가능하다. 피보틀은 휠 롤러를 10도에서 60도까지 자유롭게 방향 전환할 수 있어 화물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화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시간당 최대 7,000개의 물품을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고성능을 갖추고 있어 대량 물류 처리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
오토스토어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사의 큐브형 자동창고 시스템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오토스토어는 1996년 설립된 자동창고 시스템 전문 기업으로 세계 최초로 큐브형 자동창고 시스템을 개발하며 풀필먼트 솔루션 분야에서 혁신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 오토스토어의 자동창고 시스템은 전 세계 35개국 650개 이상의 물류센터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최상위 브랜드 고객들에게 신뢰를 받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오토스토어는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큐브형 자동창고 시스템을 중심으로 혁신적인 풀필먼트 솔루션을 공개했다. 해당 시스템은 기존 물류 창고 대비 최대 4배 높은 저장 밀도를 제공하며 로봇을 활용한 피킹 및 재고 관리의 자동화를 통해 운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공간 절약뿐만 아니라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도를 동시에
슈퍼브에이아이가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오토메이션월드)’에 참가해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AI 기반 스마트 제조 및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인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슈퍼브에이아이는 이미지, 영상, 3D 라이다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판독할 수 있는 비전 AI 솔루션을 개발·운영하는 기업으로, AI의 설계부터 구축, 운영까지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비전 AI 에이전트와 디지털 트윈을 결합해 실시간으로 안전한 산업 환경을 조성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또한, 제조·건설, 물류·유통, 보안·관제, 모빌리티 등 4대 산업 분야에서 실제 적용된 AI 기술과 그 효과를 사례 중심으로 공개했다. 실시간 체험형 데모와 엣지 디바이스 시연 공간도 운영해 방문객들이 AI의 활용성과 성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기업별 맞춤형 AI 솔루션을 제안하고, 산
온세미가 실시간 iToF(Indirect Time-of-Flight) 센서 ‘하이퍼럭스(Hyperlux) ID’를 출시했다. 이 센서는 장거리 3D 측정과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기존 iToF 센서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 특징이다. 하이퍼럭스 ID는 온세미의 독자적인 글로벌 셔터 픽셀 아키텍처와 온보드 스토리지 기능을 적용해 전체 장면을 캡처하는 동시에 깊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iToF 센서보다 최대 4배 먼 거리까지 측정이 가능하며, 흑백 이미지와 깊이 데이터를 동시에 제공해 직관적인 3D 인식을 구현한다. 하이퍼럭스 ID는 기존 iToF 센서가 갖고 있던 짧은 측정 범위, 열악한 조명 환경에서의 성능 저하,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 인식 한계 등을 개선했다. 이를 통해 물류, 제조, 로봇, 보안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될 수 있다. 자동화 및 로봇 공학 분야에서는 공장 내 로봇이 보다 정밀한 네비게이션을 수행하고, 충돌 방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제조 및 품질 관리에서는 제품의 부피와 형상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결함을 감지하여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데 기여한다.
현대글로비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참가해 자사의 스마트물류솔루션 사업 역량과 물류 자동화 기술력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5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14일까지 총 3일간 코엑스 전시장 전관에서 개최되며 올해는 50여 개 기업이 22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이번 전시에서 ‘스마트물류 특별관’에 부스를 마련하고, 물류 자동화 기술과 디지털 전환(DX)을 통한 스마트물류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물류솔루션은 물류 전 과정에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로보틱스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적용해 물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이다. 현대글로비스는 최적화된 시뮬레이션 알고리즘, 로봇기술, AI, 디지털 트윈(가상모형)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사의 물류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현대글로비스는 2023년 물류 자동화 소프트웨어 기업 알티올(Altiol)의 지분 70%를 인수하며 스마트물류 기술력을 강화했다. 이를 바탕으로 유통, 소비재,
니어솔루션이 진코퍼레이션과 손잡고 물류 자동화 사업 강화를 위한 솔루션 공급 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클라우드 기반의 WES-WMS 연동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고, 스마트 물류 솔루션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AI 기반 WES(Warehouse Execution System) 솔루션을 제공하는 니어솔루션㈜(대표이사 정영교)는 지난 5일, 진코퍼레이션 안성 쇼룸에서 물류 자동화 솔루션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WES와 WMS 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물류 운영의 최적화, 데이터 기반 알고리즘 개발, 로봇 및 자동화 설비의 통합 운영 솔루션 구축 등을 공동 연구할 계획이다. 진코퍼레이션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글로벌 플랫폼 솔루션 ‘PYRAON’을 런칭하며 사업 구조를 개편하고 있다. 니어솔루션은 AI 기반의 WES 솔루션 ‘니어솔로몬’을 통해 최신 자동화 설비의 통합 및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며 주문 처리 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협력의 핵심은 WES와 WMS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결합해 ‘All in One’ 물류 관리 솔루션을 개발하는
AW 2025를 미리 만나볼 수 있는 프리뷰 웨비나 ‘산바시’ 토크콘서트 3편이 오는 3월 5일부터 7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웨비나는 ‘신제품·신기술을 담다: 올해 주목해야 할 AW 2025 참가기업’을 주제로 제조 AI(생성 AI 포함), 로봇 자동화, 디지털트윈, 글로벌 표준, AI 융합 솔루션, 머신비전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AW 2025를 대표하는 주요 참가기업들이 웨비나를 통해 신제품과 서비스, 솔루션을 사전 공개하며, 웨비나 참석자들은 전시회 방문 전에 주요 업체들의 혁신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또 특별세션을 통해 AW 2025 전시회를 200% 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소개된다. 3일간 진행되는 이번 웨비나에는 Zivid, 버넥트,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씨메스, 뉴로클, 코그넥스 코리아, 라온피플 등 제조·물류·AI·로봇 자동화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들이 참여해 업계 최신 기술 트렌드를 공유할 예정이다. DAY 1(3월 5일)에는 △산업용 3D 비전(Zivid) △XR 기반 전문가 기술 전수(버넥트) △수주형 제조기업을 위한 생산 관리 최적화(마이링크) △OTTO Motors AMR(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디지털트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