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수출 호조에 ICT 수출액 200억불 재탈환…ICT 무역수지 흑자 늘어 지난달 우리나라의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수출액이 3개월 연속 1년 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월 ICT 수출액이 208억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14일 밝혔다. 코로나19 사태로 전자기기에 대한 높은 수요가 유지됐던 지난해 수출액(213억3000만 달러)보다 -2.2% 감소한 것으로, 전년 대비 ICT 분야 수출액 감소는 7월부터 3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ICT 수출이 3개월 넘게 연속 감소한 것은 15개월 연속 떨어진 2020년 1월 이후 2년 8개월 만이다. 다만, 휴대전화 신제품 출시 효과 등에 힘입어 수출액은 200억 달러를 다시 넘어섰다. ICT 수출액이 7월 193억 1000만 달러로 떨어지며 200억 달러 선이 무너진 이후 3개월 만이다. 품목별 수출액 증감을 보면 글로벌 경기 악화로 반도체(-4.6%), 디스플레이(-18.6%), 컴퓨터·주변기기(-20.2%)는 모두 지난해 9월보다 감소했다. 주요 4대 품목 중 휴대폰 수출액만 21.2% 증가했다. 휴대폰 수출 호조는 8월 말 전 세계에 정식 출시된 삼성전자 폴더블폰 등 신제품 기
ⓒGetty imagesBank [헬로티] 지난해 기계산업은 미국 등 주요 수출대상국의 수요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저유가로 인한 산유국 투자 위축 및 한진해운, 화물연대파업 등 국내 경제 주요이슈 영향으로 생산, 수출, 수입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5대 기계산업 생산은 464조원, 수출은 1,713억 달러, 수입은 973억 달러, 무역 흑자는 740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계산업 중 일반기계 생산은 101조원, 수출은 416억 달러, 수입은 322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는 95억 달러에 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7년 기계산업은 미국 및 중동지역 수요 확대와 신흥국 인프라 투자 확대 및 기저효과 영향으로 소폭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중국 수요 증가가 제한될 것으로 우려되고 미국 신정부 정책 변화 및 미국 금리인상, 국내 SOC예산 감소 등 대내외적 불안 요인이 회복세를 제한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5대 기계산업 생산은 471조원, 수출은 1,753억 달러, 수입은 993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는 7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기계산업 중 일반기계 생산은 103조원, 수출은 427억 달러, 수입은 328억 달러, 무역
ⓒGetty imagesBank [헬로티] 지난 4분기 우리나라 소재·부품은 수출 663억 달러, 수입 397억 달러로 무역흑자 266억 달러를 기록했다. 4분기 들어 수출입, 무역수지가 모두 플러스로 전환했고, 특히 소재 무역수지는 2016년 들어 4분기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우리 소재․부품은 수출 2,519억 달러, 수입 1,525억 달러로 무역흑자 994억 달러를 기록했다. 세계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확산, 중국의 가공무역 제한정책 등으로 2015년 대비 흑자폭은 다소 감소했으나, 수출입 증감률은 1분기를 기점으로 감소세가 완화되어 4분기에는 플러스로 전환했다. 2016년 소재부품 수출은 2,519억 달러로 총수출 중 소재·부품 비중이 50.8%를 차지해 연도별 역대 최고치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대중국 수출액이 감소했지만, 아세안, 일본 등은 증가했다. 중국은 자국 소재·부품 자급도 향상 등에 따라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등 전자부품, 수송기계 등의 수출이 감소했다. 아세안은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 발효에 의한 교역량 증가 및 베트남으로 한국기업 진출 확대 등에 따라 수출이 증가했으며, 특히 전
[헬로티] 11월 수출이 증가로 전환했다. 이달 수출은 455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7% 증가했다. 수입은 375억 달러이며, 이에 따른 무역수지는 80억 달러 흑자였다. 무역수지는 58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수출과 수입은 모두 금액기준으로 2015년 7월 이후 월간 최대 실적이다. 품목별 수출 동향을 살펴보면, 주력 품목의 경우 올 8월을 제외하고 가장 양호한 증감률을 기록했다. 특히 선박을 제외한 12대 품목의 수출은 2014년 12월 이후 23개월 만에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증가했다. 반도체는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와 탑재용량 증가에 따른 메모리 단가 상승으로 역대 5위의 월간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 일반기계도 유럽과 중남미로의 수출 호조로 2014년 12월 이후 23개월 만에 두자리수 증가율을 나타냈다. 석유화학은 파라자일렌, 합성고무 등 주요 제품의 단가 상승으로 3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 2015년 7월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컴퓨터는 PC 교체수요 증가, 일반 소비자용 SSD 중심의 수요 지속 등으로 7개월 연속 증가했다. 철강 역시 수출 단가 상승세 지속으로 3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 2014년 9월 이후 2
우리나라 소재·부품이 2년 연속 무역수지 흑자 1000억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1~9월 우리나라 소재·부품 부문 교역은 수출 1997억 달러, 수입 1207억 달러로, 무역수지 흑자 791억 달러를 기록했다. 엔저 지속, 중국 등 신흥국 경제 우려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이러한 추세대로라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무역흑자 1000억 달러 달성이 확실시된다. 특히 우리나라 총 수출 가운데 소재·부품 분야의 비중은 50.3%로 사상 최고 수준을 달성하며, 글로벌 경기 변동에도 안정적인 대응 역량을 보였다. 반면, 일본에 대한 수입의존도는 16.7%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2년 23.0%이던 일본 수입의존도는 2013년 20.8%, 2014년 18.1%, 올해 3분기 16.2%로 꾸준히 떨어지고 있다. 올해 우리 소재·부품 수출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나, 2년 연속 소재․부품 무역흑자 1,000억 달러 시대는 지속할 것으로 기대된다. 선진국 경제 회복 부진, 엔저 지속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4분기 중 유럽과 중국의 경기 호전시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도 기대할 수
상반기 소재부품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0.5% 증가한 1,343억 달러, 수입은 2.6% 감소한 809억 달러로 무역흑자 533억 달러를 기록해 수출과 무역흑자 규모에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세계경제 둔화와 저유가 및 엔저가 지속되고 총수출이 감소한 가운데서도 소재부품 수출이 선전하고 있어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2011년 이후 총수출에서 소재부품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증가해 올해 상반기 50%까지 늘어났다. 품목별 수출 실적을 보면 비금속광물제품이 11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9% 증가했고, 컴퓨터와 사무기기 부품은 26억 달러로 28.2% 늘었다. 전자부품은 471억 달러로 8.0%, 전기기계부품은 123억 달러로 6.6% 증가했다. 반면 화합물 및 화학제품은 197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2.9% 감소했고, 섬유제품 역시 22억 달러로 11.7% 줄었다. 한편, 올 상반기 대일 소재부품 수입의존도는 16.9%로 하락해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대중국 수출 비중은 35% 내외로 안정 상태를 유지했다. 베트남은 우리의 소재부품 수출 3위 시장으로 부상했다. 삼성전자, LG전자, 두산중공업 등 우리 기업들의 투자가 활발해진 덕분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