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픽(MOPIC)이 최근 스마트폰용 무안경 3D 솔루션 개발을 완료하고 일본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14일 밝혔다. 모픽의 스마트폰용 무안경 3D 솔루션은 스마트폰에 보호유리처럼 부착해 사용하는 3D 렌즈다. 보호유리와 유사한 형태지만 내부에 정밀한 3D 렌즈 패턴이 포함돼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3D 안경이나 별도의 장비 없이 3D 콘텐츠를 맨눈으로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이 제품은 9H의 강화유리를 적용해 일반 스마트폰 보호유리로 사용 가능해 실용성을 겸비했다. 사용자들은 별도의 3D 전용 스마트폰을 구매할 필요 없이 현재 사용 중인 스마트폰에 보호필름 형태의 3D 글라스를 부착한 후 3D 애플리케이션으로 즉시 3D 입체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물론 3D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스마트폰을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모픽의 솔루션은 기존 3D 디스플레이 솔루션에서 발생했던 문제들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2D 스마트폰을 3D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해상도 저하가 거의 없다. 또한 고급 3D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아이트래킹(Eye Tracking) 기술 적용으로 사용자 시선을 추적해 각도, 거리 상관없이 선명하고 균일한 3D 영상을
국내외 1,200여개 스타트업 참여로 역대 최대…관람객 약 2만명 한국무역협회는 지난 1∼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넥스트라이즈(NextRise) 2023, 서울' 행사에서 3,200여건의 비즈니스 만남이 성사됐다고 4일 밝혔다. 무역협회와 KDB산업은행이 공동으로 주최한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스타트업 1천200개사와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다우, 포드 등 글로벌 대기업·중견기업 200개사, 세일즈포스벤처스를 비롯한 벤처캐피털이 참여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됐다. 약 2만명의 관람객이 찾았다. 5회째를 맞은 올해 행사에서는 '넥스트라이즈 혁신 어워즈'가 신설돼 스타트업 14개사가 수상했다. 차원(3D) 효과를 평면 디스플레이에 구현하는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 '모픽'이 대상을 받았다. 모픽 신창용 대표는 "입체 안경 없이 3D를 경험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은 시장이 성장해야 기술도 발전될 수 있어 인내가 많이 필요한 특수 분야"라며 "어려운 상황에서 수상하게 돼 큰 힘이 된다"고 말했다. 정만기 무역협회 부회장은 "세계적 경기 침체 속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진 넥스트라이즈를 통해 기술 혁신만이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담보해주는 시대가 왔다는 점을 확인
한국무역협회가 서울창업허브와 공동으로 스페인 현지에서 한국 우수 혁신 스타트업 7개사에 기술 실증 기회를 제공한다. 무역협회의 ‘바르셀로나 스마트시티 스타트업 해외 실증 테스트베드’사업에 참여한 디토닉(전자 가격표시 장치), 라젠(인터랙티브 키오스크), 모픽(무안경 3차원 디스플레이), 가우디오랩(공간음향 기술) 등 4개사는 가우디 건축물인 ‘카사 바트요(Casa Batllo)’에서 4월까지 기술실증을 시행한다. 이한 크리에이티브(AR 게임 앱), 위에이알(메타버스 콘텐츠), 원투씨엠(모바일 스탬프) 등 3개사는 바르셀로나에 위치한 복합쇼핑몰 ‘리야(L'illa)’에서 3월말까지 기술실증을 진행한다. ‘카사 바트요’마케팅 총괄 엔카르나 세구라는 “한국 스타트업 기업의 혁신기술이 건물 외부와 전시장, 기념품샵 등에 접목되어 방문객들의 큰 호응을 얻어 실증 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며,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카사 바트요의 철학에 맞는 한국 스타트업과 협업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무역협회 장석민 디지털혁신본부장은 “테스트베드 경험은 스타트업의 해외진출 시 주요한 레퍼런스로 작용한다”면서 “해외 복합시설 테스트베드 파트너를 추가 확보하여 한국 스타트업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