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스턴마틴 아람코 포뮬러 원 팀이 Arm을 팀의 공식 AI 컴퓨팅 플랫폼 파트너로 발표하고 다년간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Arm과 애스턴마틴 아람코 포뮬러 원 팀은 다양한 이니셔티브로 모터스포츠와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에서 포용성과 평등을 증진하고, 새로운 세대의 인재에게 영감을 제공하며 기술 분야의 성별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rm의 기술과 AI 전문성은 트랙 안팎에서 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최첨단 시스템 설계와 혁신적인 제어 및 계측 시스템 개발에서 팀과 협력할 예정이다. 아미 바다니 Arm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Arm은 30년 이상 혁신의 중심에서 차세대 엔지니어와 레이서들에게 영감을 주고 그들을 지원할 독창적인 기회를 모색하는 데 전념해 왔다”며 “Arm은 애스턴마틴 아람코와 협력해 STEM 분야의 인재와 모터스포츠 분야 여성의 진출 경로를 확대하는 한편 Arm의 최첨단 AI 기술을 통해 트랙과 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헬로티 이창현 기자 |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는 레드불 포드 파워트레인이 2026년 포뮬러1 레이싱 시즌을 위한 차세대 하이브리드 ICE/전기 구동 파워 유닛(PU)을 개발하기 위해 Siemens Xcelerator 산업용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를 채택했다고 21일 밝혔다. 레드불 포드 파워트레인은 2026 시즌에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및 스쿠데리아 알파 타우리 F1 팀을 위한 파워 유닛을 제작할 예정이다. F1 시리즈에 파워 유닛을 공급하는 제조사는 레드불을 포함해 단 6개다. 레드불은 지난 2021년 계획을 발표한 이래로 F1의 새로운 사양을 충족하는 동시에 2026년도 사양의 지속 가능한 고속 파워 유닛을 개발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이들은 여느 스타트업과 마찬가지로 기존 데이터가 부족한 파워트레인 개발 분야 부품 설계 전반에서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벤 호지킨스 레드불 파워트레인 기술 이사는 "Siemens Xcelerator는 설계와 제조 과정의 디지털 백본으로, 새로 구성된 대규모 팀 전체에서 수백 가지의 신속한 설계 혁신을 동시에 엔지니어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더불어 갹 설계자들이 동료의 작업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가시성과 지식을
인테리어 및 익스테이어 전용 옵션 보닛 및 리어스포일러, 브레이크 캘리퍼, 스티어링 휠 센터 라인 등에 시각적 특징 부여 맥라렌이 창립 60주년을 맞아 차체 곳곳에 시각미 배치가 가능한 비스포크 옵션을 내놨다. 이번 비스포크 옵션은 지난 50여 년 동안 전 세계 3대 레이싱으로 평가되는 인디애나폴리스 500마일 레이스·모나코 그랑프리·르망 24시 등에서 맥라렌이 달성한 우승 역사를 기념하기도 해 디자인적 기대를 모았다. 비스포크 테마는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한 경주차에 대한 헌정’으로, 인디애나폴리스 500마일 레이스 우승 모델 ‘M16D’, 모나코 그랑프리 우승 모델 ‘MP4/2’, 르망 24시 우승 모델 ‘F1 GTR’ 등 우승 모델 3종을 모티브로 디자인했다. 60주년 비스포크는 ‘인디 오렌지’, ‘모나코 화이트’, ‘르망 그레이 메탈릭’ 등 세 가지 색상 분류로 익스테리어 도장이 세분화됐다. 그밖에 ‘인디 블루’, ‘르망 골드’가 엑스트라 익스테리어 옵션으로 구성됐다. 특히 르망 골드는 르망 24시에서 우승한 F1 GTR의 브레이크 캘리퍼 색상을 계승한 요소가 포함됐다. 캘리퍼 옵션은 GT·아투라·750S에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지난 9월 상륙한 S
코리아스피드레이싱(KSR) 사일룬 GT-100 클래스 4라운드 우승자는 민정필(뉴라비타모터스포트)로 결정됐다. 민정필은 지난 라운드 스타트법 위반에 따른 실격 아픔을 털어내고 시즌 후반부 의미 있는 첫 승을 거뒀다. 10일 강원 태백시 태백스피드웨이(1랩=2.5㎞)에서 개최된 KSR 4라운드 포디움 주인공은 민정필과 더불어 윤성운(LIQUIMOLY JD RACING)과 박종필(홍카레이싱)이었다. 이날 KSR 4라운드는 '태백 모터스포츠 페스티벌'과 함께 개최돼 태백시민은 물론 전국에서 모인 자동차 동호회 회원, 일반인 등이 어우러져 경기를 즐겼다. 민정필은 앞서 오전에 열린 예선에서 1위를 하며 폴 포지션을 차지했다. 이어 표명섭(청주오토라인&파워클러스터)과 최재경(부산과학기술대학교), 김영민(청주오토라인&파워클러스터), 윤성운이 결승 그리드 두 번째부터 다섯 번째 자리를 배정받았다. 총 21랩을 도는 결승에서 민정필은 경기 초반 자리를 지키지 못한 채 표명섭, 최재경에 이어 3위로 달렸다. 그러나 이들 두 사람이 핸디캡을 이행하기 위해 피트로 들어간 틈을 놓치지 않았다. 표명섭과 최재경이 각각 18랩과 19랩에서 피트스루 핸디캡을 이행하는 사
한성자동차가 카레이서 후원으로 국내 모터스포츠 저변 확대에 앞장선다. 메르세데스-벤츠 공식 딜러 한성자동차는 국내 모터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2023 AMG 플레이그라운드(AMG Playground)'의 공식 앰배서더로 카레이서 노동기 선수를 발탁하고 메르세데스-AMG C 63 S 쿠페' 차량을 지원한다고 24일 밝혔다. AMG 플레이그라운드는 지난 2020년 6월 한성자동차 메르세데스-AMG 오너만을 위해 론칭한 커뮤니티 클럽이다. 레이싱 DNA를 가진 고성능 차량에 대한 생생한 경험과 '레이싱 스피릿'을 100% 경험할 수 있는 체험 등을 제공하면서, 메르세데스-AMG 오너로서 자부심과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레이싱팀 '한국아트라스BX 모터스포츠' 소속 노동기 선수는 지난 2021년에 이어 올해 다시 AMG 플레이그라운드 공식 앰배서더로 위촉됐다. 노 선수는 올해 메르세데스-AMG GT4 차량으로 GT4 클래스에 출전해 우수한 레이싱 퍼포먼스를 선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달 이탈리아 몬자(Monza)에서 열린 내구 레이스 '한국 24시 시리즈(Hankook 24H SERIES)' 유러피언(EUROPEAN) 대회의 3라운드 경기 '2023 한국 12시 몬자
"국내 모터스포츠 문화 성장에 기여...고객들과 레이싱 스피릿 공유" 메르세데스-벤츠 공식 딜러 한성자동차는 지난 19일 한성자동차 방배 전시장 내 AMG 퍼포먼스 센터에서 '2023 CJ대한통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과 3년 연속으로 프리미엄 브랜드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한성자동차는 전 세계 여섯 번째이자 국내 최초인 AMG 브랜드센터 'AMG Seoul'을 운영하는 등 고성능 자동차 시장에서 차별화된 제품과 '레이싱 스피릿' 기반의 다채로운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한성자동차 메르세데스-AMG 오너만을 위한 커뮤니티 클럽인 'AMG 플레이그라운드' 멤버들에게 레이싱 DNA를 가진 고성능 차량인 메르세데스-AMG 오너로서의 자부심을 갖게 하고 모터스포츠의 의미와 즐거움을 선사해 고객과 접점을 강화했다. 국내 최대 모터스포츠 대회인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은 오는 22일과 23일 양일간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개막전을 시작으로 새로운 시즌을 맞이한다. 한성자동차는 고성능 차량과 모터스포츠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바탕으로 올 시즌 레이스가 펼쳐지는 서킷의 옥외광고, 생중계 가상광고 등으로 모터스포츠 관람객들에게 한층 더 다가가고 AMG 플
현대자동차의 전기 스포츠카가 순수 전기차 모터스포츠 대회에서 진가를 발휘했다. 현대자동차는 벨로스터 N ETCR이 7월 22~24일(현지 시각)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2022 FIA ETCR' 5라운드에서 1등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FIA ETCR은 복수의 제조사가 참여하는 순수 전기 투어링카 레이스다. 이번 대회에는 현대 벨로스터 N ETCR을 포함해 알파 로메오 줄리아, 쿠프라 e-레이서 등 순수 전기 경주차 소속팀 총 12명의 선수가 출전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FIA ETCR 대회에는 기존 경주차에서 엔진이 포함된 구동계를 걷어내고 최고출력 500kW의 전기모터와 65kWh 용량의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 경주차들이 출전한다. 올해 드라이버 부문 1등은 현대자동차의 벨로스터 N ETCR를 앞세운 미켈 아즈코나(Mikel Azcona)가 차지했다. 한 번의 결승 레이스로 순위를 가리는 기존 투어링카 레이스 방식이 아닌, 총 네 차례의 짧은 레이스와 결승전으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경기가 치러진다. 참여 제조사와 드라이버 순위의 경우 각 레이스 및 결승전 결과에 따라 부여된 포인트를 합산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드라이버가 우승을 차지하게 되며, 제조사의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