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이하 맥심)가 AI 코어 듀얼 출력 전압 레귤레이터 ‘MAX16602’와 스마트 파워 스테이지 IC ‘MAX20790’을 출시했다. 이를 통해 고성능 고출력 AI 시스템 설계자들은 전력 비용 및 발열을 저감하는 고효율, 초소형 솔루션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 AI 애플리케이션과 딥러닝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팅 역량 강화 과정에서 피크 전력 증대와 발열 증가는 큰 어려움이다. 맥심은 MAX16602 및 MAX20790 다중 위상 칩셋으로 구현한 AI 시스템은 경쟁 솔루션에 비해 발열량이 적다고 알렸다. 특허를 획득한 맥심의 커플드 인덕터가 제공하는 전류 리플 저감과 모노리틱 통합형 듀얼 사이드 쿨링 파워 스테이지 IC는 스위칭 주파수를 50퍼센트까지 낮춰 경쟁 솔루션에 비해 1퍼센트의 효율 개선을 제공해 1.8V 출력 전압과 200A 부하 조건에서 95퍼센트 이상의 효율을 구현한다. 맥심은 이를 통해 낭비되는 전력 16퍼센트를 줄여 전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고 전했다. 모노리틱 통합 방식은 FET와 드라이버 사이의 기생저항과 인덕턴스를 없애 업계 최고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AI 기능 증대를 위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부스트 컨버터를 통합한 저전압 입력 4채널 차량용 LED 백라이트 드라이버 ‘MAX25512’를 출시했다. 자동차에서 시동을 켜고 끄는 스타트-스톱 시스템은 연비를 높여주지만, 재시동 시 디스플레이 밝기를 동일하게 유지하는데 전력 전달 시스템에는 부담이 크다. 특히, 콜드 크랭크(cold crank)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조명 기능은 디스플레이가 재부팅 될 정도로 엔진이 자동차 배터리를 소모한다. 백라이트 드라이버 MAX25512는 앞단에 부스트 컨버터를 추가하지 않고도 시동을 켠 후 최저 3V 입력 전압으로도 동작하여 극한의 콜드 크랭크 상황에서도 디스플레이 밝기를 유지한다. 또한, 4개의 120mA 채널이 포함되어 있어 2.2MHz 동작 시 91%의 효율을 제공한다. 이 단일 칩 LED 드라이버는 부스트 컨버터 뿐 아니라 전류 센싱 저항을 통합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구동하는데 일반적으로 필요한 외부 MOSFET과 전류 센싱 저항이 필요 없다. 각 전류 싱크에 대한 접지 단락(SHORT to GND)과 같은 진단 기능은 통합된 I2C 인터페이스로 마이크로컨트롤러와 개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MAX78000을 아이집(Aizip)의 '비주얼 웨이크 워드(Visual Wake Words, 이하 VWW)' 모델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출처 :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 저전력 네트워크는 빌딩 에너지 관리 및 스마트 보안 카메라 등 인체 감지용 배터리 구동식 IoT 시스템의 작동 시간을 연장해 준다. MAX78000 저전력 신경망 가속 기반 마이크로컨트롤러는 기존 소프트웨어 솔루션 대비 100분의 1 미만의 에너지로 AI 추론을 실행해 배터리 구동식 엣지 AI 에플리케이션의 구동 시간을 개선한다. 혼합 정밀도 기술이 적용된 VWW 네트워크는 이미지 및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아이집 인텔리전트 비전 딥 뉴럴 네트워크(Aizip Intelligent Vision Deep Neural Network, AIV DNN) 시리즈 제품으로, 아이집의 독점적 설계 자동화 툴로 개발돼 85퍼센트 이상의 인체 인식 정확도를 구현했다. 저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 시스템온칩(SoC)과 고효율 AI 모델 제품의 결합으로 추론 당 불과 0.7mJ의 에너지로도 인체 인식이 가능하다고 맥심은 밝혔다. 이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솔루션 및 현재 경
[헬로티] 보드 공간 72퍼센트 절감, 에너지 손실 35퍼센트 감소 ▲MAX17577’과 ‘MAX17578. (출처 :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초소형, 초고효율의 동기식 인버팅 DC-DC 스텝다운(감압) 컨버터 ‘MAX17577’과 ‘MAX17578’을 출시했다고 23일 밝혔다. 네트워크 엣지 디바이스의 인공 지능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설계자들은 솔루션 크기와 발열량을 줄여야 한다. 효율이 높고 발열량은 낮으면서 보드 공간은 작고 시간과 비용을 절약해주는 솔루션이 필요해진 것이다. 맥심의 MAX17577과 MAX17578은 크기, 발열, 비용을 줄이는 한편 공장 자동화, 건물 자동화 및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마트 IoT 기기 내부의 아날로그 신호에 필요한 네거티브 출력 전압 레일을 간소화한다. 레벨 시프팅(level shifting) 회로를 통합해 부품 비용과 개수를 50%까지 줄여 부품 면적을 60mm2까지 축소시키고, 경쟁 솔루션 대비 보드 공간을 72퍼센트 줄여준다. 또한 4.5V~60V에 이르는 업계 최대의 입력 전압 범위를 통해 입력 과도 전압으로부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딥커버(DeepCover) 오토모티브용 보안 인증장치 ‘DS28E40’을 출시했다. ▲DS28E40 맥심은 이 장치를 통해 설계자들이 차량에 탑재된 시스템의 안전과 보안 데이터 무결성을 높이고 설계 복잡성을 줄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DS28E40은 1-와이어(1-wire)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기생전원으로 작동되는 이 IC는 ADAS(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및 전기차 배터리 등 전자 시스템에 순정 부품만 사용하도록 해 최상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고 맥심은 전했다. 자동차 기능이 점점 더 정교해지면서 안전 및 보안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OEM 인증 부품이 장착돼 안전하게 차량이 동작하는지 확인하고, 악성코드 공격 위험을 낮추기 위해 인증장치를 사용한다. 하지만 대다수의 보안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설치에 차지하는 공간이 비교적 크며, 코드를 생성해 테스트와 디버깅을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팀도 필요하다. 또한 마이크로컨트롤러 기반 솔루션은 코드 베이스가 클수록 성능에 악영향을 주는 버그 발생이나 악성코드 유입 위험이 높다. 뿐만 아니라 I²C 및 SPI 인터페이스 자동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대표 최헌정, 이하 맥심)가 센서 네트워크 연결에 가격과 복잡성을 줄인 솔루션을 선보였다. 맥심은 원격 센서 네트워크 연결을 확대하는데 드는 비용을 낮추고, 복잡성은 줄인 1-와이어- I2C/SPI 브릿지 ‘DS28E18’을 공개했다. ▲ 맥심이 원격 센서 네트워크 연결을 확대하는데 드는 비용을 낮추고, 복잡성은 줄인 원격 센서 솔루션 ‘DS28E18’을 선보였다. (사진 :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 2개의 와이어만으로 100m 떨어진 주변장치 연결 가능 설계자들은 대부분 산업용 및 원격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서 직렬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원격 센서를 연결한다. 여기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기준으로, 100미터 거리의 장치를 연결하는 데 외부 스위치가 5개가 필요하다. 그만큼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해진다. 맥심에 새롭게 선보인 DS28E18은 I2C 및 SPI-호환 센서 연결을 위해 1-와이어 프로토콜을 활용한다. I2C용 4개 와이어 또는 SPI용 6개 와이어가 필요한 경쟁 솔루션과는 달리 2개 와이어만 사용해 100미터 이상 떨어진 I2C 또는 SPI 주변 장치를
[첨단 헬로티] 아날로그 혼합 신호 반도체 시장을 선도하는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는 퀄컴과 스마트 커넥티드 차량 분야에서 협력한다고 11일 밝혔다. 두 업체의 협력으로 자동차 제조 및 주요 부품 업체는 퀄컴 스냅드래곤 820 오토모티브 플랫폼과 통합된 맥심의 고성능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솔루션을 인포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맥심의 고성능 솔루션은 차세대 차량에 필요한 빌딩 블록을 제공한다. 이번 통합은 퀄컴 자회사인 퀄컴 테크놀로지와 협력을 통해 진행된다. 맥심의 첨단 ASIL 등급 전력 관리, USB 충전, 차세대 기가비트 멀티미디어 직렬링크(GMSL) 병렬-직렬 송신회로(SerDes: Serializer 및 Deserializer)원격 튜너, 소프트웨어 기반 무선 튜너(SDR) 기술은 퀄컴 스냅드래곤 820 오토모티브 플랫폼과 함께 사용 가능한 최적의 솔루션이다. 완성차 업체는 확장 가능한 광범위한 개발 플랫폼과 함께 고성능 오토모티브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스냅드래곤 820 오토모티브 플랫폼은 최첨단 오토모티브 솔루션으로, 이종 컴퓨팅을 위해 설계된 최적화된 코어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새롭게 내놓은 ‘MAX32600MBED’는 ARM 엠베드 IoT 디바이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이다. 엠베드 엔지니어와 IoT 관련 개발자는 MAX32600-MBED를 기반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을 신속히 개발할 수 있다. 이 제품은 MAX32600 ARM 코텍스-M3 기반 마이크로컨트롤러, 정밀 아날로그 프런트 엔드 연결 접속을 갖춘 프로토타이핑 영역, 아두이노 호환 커넥터를 통한 입출력 접속, 100mil×100mil 헤더를 통한 추가 I/O 접속 등을 포함한다. 임근난 기자 (fa@hellot.net)
맥심 인터그레이티드 코리아가 제공하는 MAXREFDES67#은 영하 40°~영상 150° 범위에서 온도 오차가 ±0.1%로 최대 22.3비트의 실질적인 해상도를 제공한다. Beyond-the-Rails 신호 체인으로 보드 공간과 컴포넌트 개수, 비용을 줄여준다. 또한, 4개의 다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MAXREFDES67# 범용 아날로그 입력은 점퍼(Jumper)가 필요 없이 100% 소프트웨어로 구성 가능하다. 김연주 기자 (npnt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