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벨 5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서 차량 제어...차량 탑재 하드웨어 없이도 자율주행 지원해 서울로보틱스가 레벨 5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차량 원격 제어 방법 및 서버’에 대한 특허를 등록했다. 레벨 5 자율주행은 운전자 없이도 차량 스스로 모든 주행 상황을 관장하는 차세대 제어 기술이다. 서울로보틱스는 기업 간 거래(B2B)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레벨 5 컨트롤 타워’를 통해 이번 특허 등록을 마쳤다. 레벨 5 컨트롤 타워는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차량이 위치·장애물 등을 감지하도록 돕는다. 여기에 주행 계획 소프트웨어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차량에 주행 명령을 내린다. 서울로보틱스는 생산이 완료된 차량을 탁송하는 과정에서 이 기술이 유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로보틱스에 따르면, 레벨 5 컨트롤 타워로 제어되는 차량은 생산 공장에서 지정된 항만까지 자율주행한다. 이 과정에서 자동차 제조사로부터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로 계약을 체결했다.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는 “레벨5 컨트롤 타워는 공장 내 차량 이동 프로세스를 자동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글로벌 자동차 메이저 제조사들 뿐만 아니라 물류 업체들로부터 협업 요청이 지속 이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첨단 헬로티] 맥심 인터그레이티드가 엔비디와 함께 레벨 5 완전 자율주행 플랫폼 '드라이브 페가수스(DRIVE Pegasus)'와 레벨 4 주행을 위한 '드라이브 자비에(DRIVE Xavier)'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맥심의 ASIL(Automotive Safety Intergrit Leel) 관련 솔루션 및 고성능 아날로그 통합 기술은 차세대 기가비트 멀티미디어 직렬 링크(GMSL) 병렬-직렬 송신회로(SerDes) 기술과 전력 시스템 모니터링 솔루션을 포함한다. 맥심을 이 솔루션을 통해 엔비디아의 자율주행 플랫폼 기능 안전을 지원한다. 자동차 제조사들이 안전한 주행을 위해 집중하고 있는 ADAS 시스템은 고장에 대비해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복수로 구성하는 리던던시(redundancy)와 고장 진단 기능이 요구되며 엄격한 ASIL 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또한 ADAS는 미래 자동차를 위한 풍부한 데이터 환경을 만들어주는 상호 연결 기술이 필요하다. 맥심의 전압/전력 모니터링과 SerDes 기술을 이용해 엔비디아는 업계 최초로 레벨 5 자율주행 시스템을 구현한다. 맥심의 차헤대 6Gbps GMSL SerDes 기술은 미래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AD
▲인피니언의 AURIX™ TC3xx 시리즈 자동차용 마이크로컨트롤러 [첨단 헬로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가 엔비디아와 함께 자율 주행을 위한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인피니언의 AURIX™ TC3xx 시리즈 자동차용 마이크로컨트롤러는 엔비디아 DRIVE™ Pegasus (드라이브 페가수스) AI 자동차 컴퓨팅 플랫폼에 사용된다. 자율주행을 위한 슈퍼컴퓨터는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가 정의한 레벨 5 자율주행 요건을 충족한다. 인피니언은 엔비디아의 DRIVE 시스템을 위해 안전 컨트롤러, 안전 전원 공급 IC 및 선별된 차량 통신 인터페이스 IC를 공급한다. 이 디바이스들은 오토 크루즈(autocruise) 기능부터 오토 쇼퍼(auto chauffeur) 및 완전 자율주행에 이르기까지 자율주행 능력 레벨을 향상시킨다. 플랫폼 유저들은 양사의 협력을 통해 AUTOSAR 호환 소프트웨어 스택을 AURIX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상위 레벨의 응용 프로그램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플랫폼 대비 개발 시간을 20~40% 단축할 수 있다. 인피니언 SVAIC(Silicon V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