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기업들의 ESG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제4회 디지털ESG 컨퍼런스’가 오는 5월 14일,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이번 컨퍼런스는 2026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최신 글로벌 ESG 규제 동향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 및 업계 리더들이 다수 참여해 심층적인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컨퍼런스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10분까지 진행되며 주요 세션은 △ESG 트렌드 및 대응 전략 △공급망 실사법제의 법적 이슈 △글로벌 ESG 규제 흐름 △디지털 기반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 방안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CBAM 대응을 위한 컨설팅 절차 △탄소 규제 대응 솔루션 △제조업 중심의 CBAM 대응 전략 등 기업 실무에 즉시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는 세션이 마련돼 실무자들의 높은 관심이 예상된다. 주요 연사로는 i-DEA 최갑홍 회장이 ‘ESG 트렌드 및 대응 전략’을 소개하고 법무법인 지평 민창욱 변호사가 공급망 실사법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짚는다. 이어 KOTRA 양은영 실장은 글로벌 ESG 규제 변화에 대해 발표하며 디지털 ESG 얼라이언스 강명구 사무총장은 디지털 기반 글로벌 탄소 규제 대
국내외 기업들의 ESG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제4회 디지털ESG 컨퍼런스’가 오는 5월 14일,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이번 컨퍼런스는 2026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최신 글로벌 ESG 규제 동향을 주제로 국내외 전문가 및 업계 리더들이 다수 참여해 심층적인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컨퍼런스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 10분까지 진행되며 주요 세션은 △ESG 트렌드 및 대응 전략 △공급망 실사법제의 법적 이슈 △글로벌 ESG 규제 흐름 △디지털 기반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 방안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CBAM 대응을 위한 컨설팅 절차 △탄소 규제 대응 솔루션 △제조업 중심의 CBAM 대응 전략 등 기업 실무에 즉시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는 세션이 마련돼 실무자들의 높은 관심이 예상된다. 주요 연사로는 i-DEA 최갑홍 회장이 ‘ESG 트렌드 및 대응 전략’을 소개하고 법무법인 지평 민창욱 변호사가 공급망 실사법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짚는다. 이어 KOTRA 양은영 실장은 글로벌 ESG 규제 변화에 대해 발표하며 디지털 ESG 얼라이언스 강명구 사무총장은 디지털 기반 글로벌 탄소 규제 대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가 본격 시행되면서, 기업의 대응 전략이 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CBAM 대응 전문가 교육 과정이 개설되었으며, 기업들이 실질적인 대응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교육 과정은 산업 전반에 걸친 탄소 국경세의 영향과 기업별 맞춤 전략을 다루며, 글로벌 무역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 교육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탄소 국경조정제도(CBAM)가 2026년 본격 시행을 앞두고 시범 운영이 진행되면서, 국내 산업계의 대응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CBAM은 EU가 도입한 제도로, 탄소 배출량이 많은 수입품에 대해 추가적인 비용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이는 국내 수출기업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선제적인 대응 전략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디지털ESG얼라이언스(회장 최갑홍, 이하 i-DEA)가 CBAM 대응 전문가 교육 과정을 개설해 산업계 관계자들이 CBAM 제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