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빌리티가 오는 26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DSK 2025(Drone Show Korea 2025)에 참가해 차세대 eVTOL(수직이착륙 전기 항공기) ‘AB-0’ 실물을 최초로 공개한다. 이번 전시로 미래 항공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할 혁신 기술과 연구개발 성과를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DSK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드론 및 항공 모빌리티 전시회로, 세계 주요 기업과 기관이 최신 기술을 공유하고 업계 전문가들이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에어빌리티는 이번 전시에서 AB-0을 비롯해 자사 항공 모빌리티 솔루션을 공개한다. AB-0는 고정익 기반의 수직이착륙(VTOL) 기술과 분산형 전기 팬제트 추진 시스템을 적용한 차세대 항공 모빌리티로 높은 안정성과 효율성을 갖추고 있다. 특히 기존 드론 대비 최대 20배 넓은 활동 반경을 제공해 산불 감시, 해안 감시, 안티드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번 전시에서는 AB-0 외에도 10미터급 기체 ‘AB-2’의 스케일 목업과 시뮬링크 기반 교육용 기체 ‘AB-RC’도 함께 선보인다. 이재현 에어빌리티 부대표는 “DSK 2025는 글로벌 항공 모빌리티 시장의
공간정보 통합 솔루션 기업 ㈜웨이버스(336060, 대표이사 김학성∙박창훈)가 아시아 최대 규모의 드론∙UAM(도심항공교통) 전시회 ‘DSK 2025(구 드론쇼 코리아)’에서 최신 UAM 소프트웨어 기술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를 통해 웨이버스는 항공 관제 및 디지털트윈 기술을 포함한 자사의 혁신적인 솔루션을 공개하며, UAM 생태계의 주도권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웨이버스는 26일부터 28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에서 ▲항공 통합 관제 솔루션 ‘지온에어엑스(GeOnAirX)’ ▲디지털트윈 개발 엔진 ‘지온디티(GeOnDT)’ ▲UAM 기체 운용 시뮬레이터 등 미래 항공 모빌리티 산업을 위한 핵심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전시는 공간정보 융합 얼라이언스 공동 전시관 내에서 진행된다. 지온에어엑스는 실시간 비행경로 관리, 3D 항공 정보 제공, 안전 모니터링, 버티포트(수직 이착륙장) 지상관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차세대 항공 통합 관제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웨이버스는 효율적인 UAM 운영을 위한 관제 인프라를 구축하고, 향후 항공 모빌리티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디지털트윈 기반의 ‘지온디티’는 현실
파블로항공이 에스오에스랩과 지난 7일 '2024 드론쇼코리아' 파블로항공 부스 현장에서 전략적 기술 제휴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에스오에스랩의 핵심 기술인 고정형 라이다와 파블로항공의 UAM 통합관제 기술을 결합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버티포트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요 협력 내용을 살펴보면 에스오에스랩은 라이다 측정 데이터, 데이터 기반 사물 인지 결과, 제품과 서비스 위한 기술 대응 등을 협력한다. 파블로항공은 모빌리티 통합 관제 플랫폼 및 버티포트와 지상 MaaS 통합운용시스템 개발 대응 등을 협력할 예정이다. 김영준 파블로항공 대표이사는 "글로벌 톱 레벨의 라이다 및 솔루션 기술 기업인 에스오에스와의 협력으로 현재 파블로항공의 드론 기술력과 융합해 모빌리티 통합관제 플랫폼 개발을 고도화하고 항공모빌리티 산업에서 성장 가능성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성 에스오에스랩 대표이사는 "파블로항공은 UAM 교통관리플랫폼과 드론 관제시스템 중심의 혁신적인 선도 기업으로 양사의 핵심 기술을 결합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드론 시스템을 개발, 항공모빌리티 시장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드론에 대한 모든 것, 드론으로 마주할 우리의 미래' 드론 확장성 주목 아시아 최대 규모 드론 행사인 '2023 드론쇼 코리아'가 23일 부산에서 막을 올렸다. 부산시,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국방부가 주최하고 벡스코, 한국무인기시스템협회가 주관하는 2023 드론쇼코리아는 이날 오후 벡스코에서 개막식을 시작으로 사흘간의 일정에 들어갔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드론쇼 코리아는 국내외 172개사 625부스가 참가하는 전시회와 8개국 46명이 연사가 참여하는 컨퍼런스, 체험 이벤트로 구성된다. 올해는 '드론에 대한 모든 것, 드론으로 마주할 우리의 미래'라는 주제로 드론 산업의 확장성에 주목하고 드론으로 구현될 산업간 융복합 사례 등 미래 사회를 조망한다.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는 도심항공교통(UAM), 공간정보, 인공지능(AI), 수소, 해양 등 드론의 주요한 이슈들을 선도하는 기관과 기업이 대거 참여했다. '드론인프라·활용관', '공간정보 융합얼라이언스 공동관', '산업통상자원부 DaaS(Drone as a Service)기반 글로벌오션시티 구축관', '과기정통부 원천기술 R&D관' 등에서는 드론 서비스와 기술
한국형 UAM 시장 선점 위한 차세대 도심 교통 주도권 노린다 파블로항공은 20일인 오늘 LG유플러스, GS건설, 카카오모빌리티와 지난해 5월 구성한 UAM 컨소시엄 ‘UAM 퓨처팀’이 오는 23일부터 25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3 드론쇼 코리아'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UAM 퓨처팀은 드론쇼코리아에서 최대 규모인 총 320제곱미터 규모의 부스를 마련하고, 모빌리티 플랫폼, 기체, 통신, 인프라까지 모두 갖춘 ‘완성형 UAM’을 주제로 한국형 UAM 시장 선점을 위한 차세대 도심 교통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국내 최대 드론 전문 전시회인 이번 행사에서 UAM 퓨처팀은 미래 UAM 서비스를 보고 체험할 수 있게 공간을 구성한다. 컨소시엄 공동관을 비롯해 파블로항공의 UAM 통합운항관제시스템 및 드론배송 솔루션, LG유플러스의 UAM 교통 관리 시스템, GS건설의 버티포트 솔루션, 카카오모빌리티의 멀티모달 모빌리티 비전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파블로항공은 스마트 모빌리티 통합관제시스템(PAMNet, PABLO AIR Mobility Network) 개발 노하우를 기반으로 구축하게 될 UAM 통합운항관제시스템을 소개한다. 이는 UAM의 운
대기업, 육해공, 산학연 160곳 참가…드론 무기화 동향도 공유 국내 최대 드론 전문 전시회인 '2023 드론쇼코리아(Drone Show Korea 2023)'가 내달 부산에서 열린다. 27일 부산전시컨벤션센터 벡스코에 따르면 부산시,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국방부가 주최하고 벡스코, 한국무인기시스템협회가 주관하는 '2023 드론쇼코리아'가 2월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열린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2023 드론쇼코리아에는 대한항공, SK텔레콤, LG유플러스, GS건설, 카카오모빌리티 등 국내 대기업과 중소기업 등에서 개발한 도심항공교통(UAM)과 산업용 드론 기술이 총출동한다. 특히 육·해·공 3군이 처음으로 전시에 참여해 군 작전용 무인이동체를 선보인다. 국방과학연구소, 한국기계연구원, 제주특별자치도, 부산대 등 드론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산학연관 160여 곳도 600여 부스 규모로 참여한다. 이번 행사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군사 분야에서 활용되는 드론 기술의 최신 동향을 소개한다. 2023 드론쇼코리아 콘퍼런스에는 '드론과 미래모빌리티 산업의 과제', 'K-드론의 글로벌 무대', '드론과 전쟁', '미래 정보공
138개 사, 534 부스 규모로 전시 진행, 5개국에서도 전시 참여해 국내 최대 드론 전시회인 '2022 드론쇼 코리아'가 24일부터 2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다.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국방부, 부산시가 공동 주최하고 벡스코, 한국무인기시스템협회가 주관하는 '드론쇼 코리아'는 올해 6회째를 맞아 역대 최대 규모로 사흘간 펼쳐진다. 이 행사는 138개 사가 534 부스(1만7600㎡) 규모로 참여하는 전시회와 5개국(스위스, 독일, 덴마크, 일본, 한국) 전문가 44명이 연사와 좌장으로 참여하는 컨퍼런스 등 다양한 체험 이벤트로 구성된다. 올해는 '드론, 산업을 연결하다(Connected By Drone)'라는 주제로 드론 산업의 확장성에 주목해 드론으로 구현될 산업 간 융복합 사례를 소개하고 최신 기술이 일상에 적용된 다양한 드론 모델을 선보인다. 국내외 드론 전문 기업의 최신 기술과 미래비전도 제시한다. 대한항공은 미래항공 모빌리티 선도기업으로서 날개 길이만 26m에 달하는 중고도무인기를 전시한다. 파블로항공은 가상현실 체험을 통해 도심항공모빌리티(UAM)가 상용화된 미래모습을 보여주고, 한국항공우주산업은 무인기 플랫폼과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가상 공간에서 안전하고 빠르게 다양한 드론 연구를 할 수 있는 ‘고정밀 분산 드론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세계 최초로 가상 공간에서 드론 여러 대를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 시험해볼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드론에 접목되는 AI 수준을 향상하고, 다양한 군집 드론 서비스를 발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드론을 사용하는 연구는 특성상 고장, 추락 등으로 인적, 물질적 피해가 나타날 수 있어 위험하고 비용도 많이 든다. 특히, 단순 드론쇼와 달리, AI 기반 임무 지능화를 위해서는 반복·강화학습으로 신경망을 고도화해야 하는데 실증 실험만으로는 충분히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런 비효율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드론 동작을 미리 시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기술이 꼭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시뮬레이터는 단순한 임무만을 수행하거나 많은 드론을 동시에 시험할 수 없었다. 드론, 센서, 비행 환경 등 물리적 특성도 시뮬레이터에 정밀하게 반영하지 못했다. ETRI는 세계 최초로 대규모 단위 드론들로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을 시험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터와 지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