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쏘카와 초거대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을 위해 손을 잡았다고 25일 밝혔다. 네이버는 전날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제2사옥 1784에서 최수연 대표이사와 쏘카의 박재욱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을 위한 상호 협력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내달 24일 네이버가 공개할 예정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협력을 수행할 계획이다. 쏘카는 자체 데이터를 하이퍼클로바X에 결합해 AI 고객 응대 시스템 구축, 추천·예약 기능 고도화 등 모빌리티 서비스 향상에 나선다. 네이버는 AI·클라우드 기술로 쏘카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IT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또 네이버클라우드 AI 고객센터 설루션을 활용해 쏘카의 고객센터 운영 경쟁력을 강화하는 협력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아울러 네이버는 쏘카의 모빌리티 서비스 연동을 통해 네이버 지도, 네이버 여행 등의 서비스 사용성을 향상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네이버 지도에서 KTX 승차권을 예매하면 출발지나 목적지 주변에서 이용할 쏘카 공유차(카셰어링) 서비스도 바로 예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연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내비게이션의 데이터 소모량은 얼마나 될까? 같은 거리를 가더라도 모바일 내비게이션 앱에 따라 무선 데이터 소모량이 최대 4배까지 차이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받은 '내비게이션 앱 무선데이터 소모량 측정 결과'에 따르면 이처럼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티맵 서비스의 데이터 무료 혜택 종료를 계기로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를 통해 4월 말부터 6월 말까지 티맵, 카카오내비, 네이버지도 등 3종의 내비게이션 데이터 소모량을 3차에 걸쳐 측정했다. 측정 결과, 지도를 내려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수도권(서울 서초대로~수원시 권선구, 약 24Km)에서 운행했을 때 평균 48.3분이 소요됐고, 네이버 지도가 15.9MB로 데이터 사용량이 가장 많았다. 이어 카카오 내비가 9.1MB, 티맵이 6.2MB 순이었다. 지도를 미리 내려받으면 앱별로 데이터 소모량이 모두 줄었으나, 앱 간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평균 운행 기간 43분 동안 네이버 지도는 11.5MB를 소모했고, 카카오내비는 5.5MB를, 티맵은 3.7MB를 사용했다. 티맵 대비 네이버지도의 데이터 사용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