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퍼스키가 자사 보안 솔루션 개발 프로세스로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표준 ISO 26262 인증을 확보했다. 복잡한 전자제어 시스템이 확대되는 자동차 산업에서는 기능 안전 요건 충족이 제품 경쟁력을 좌우하는 만큼 이번 인증은 제조사와 보안 기업 간 협업 범위 확대에 의미가 있다. 기능 안전 표준은 전기·전자 시스템의 잠재적 오류 위험을 체계적으로 낮추는 역할을 하며 자동차뿐 아니라 운송·산업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도 적용이 확산되는 추세다. 카스퍼스키는 ISO 26262 ASIL-B 등급 인증을 획득하며 자동차 기능 안전 요구사항을 갖춘 보안 소프트웨어 공급 역량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ISO 26262는 도로 차량의 기능 안전 확보를 목적으로 제정된 국제 표준으로, 개발 단계에서 위험 분석과 오류 대비 프로세스를 포함해 전기·전자 시스템 전반의 안전성을 요구한다. 이번 인증은 카스퍼스키의 개발 프로세스가 글로벌 기준에 부합함을 입증한 것으로 Kaspersky Automotive Secure Gateway를 포함한 자동차 적용 솔루션과 운송 및 산업 분야 애플리케이션 개발 참여 기회를 넓혔다. 회사는 인증을 기반으로 ASIL-B 요건을 충족하는 소프트웨어 제
글로벌 공인 전자부품 유통기업 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NXP 반도체의 신제품 마이크로컨트롤러(MCU) ‘MCX E 시리즈’ 공급을 시작하며 산업·로보틱스·IoT 분야의 고신뢰성 엣지 애플리케이션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MCX E 시리즈는 혹독한 전기적·열적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도록 설계된 고내구성 MCU 라인업으로, 안전성, 내열성, 장기 공급 보증 등 산업용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것이 특징이다. NXP MCX E 시리즈는 IEC 60730 클래스 B 가전기기 안전 규정을 준수하는 사전 인증 라이브러리와, IEC 61508 기능 안전 표준을 충족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또한 NXP의 SafeAssure 문서 세트를 함께 지원해 안전 설계가 필요한 산업 시스템의 검증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HVAC, 무인 장비, 로봇, 산업 자동화 등 안전 요구가 높은 분야는 물론, 고온·고습·고전압 환경에서도 안정적 동작이 필요한 다양한 엣지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최적화된 제품군이다. 마우저는 이 MCU 시리즈가 개발자들에게 높은 설계 자유도를 제공한다고 설명한다. MCX E 시리즈는 5V 아키텍처 기반의 견고한 하드웨어 구조를 갖추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내연기관 중심의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급변하는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에 발맞춰 국내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첨단 기술 확보에 나선 가운데, 미래 모빌리티 전장부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평가하는 센터가 충북 충주에 문을 열었다. FITI시험연구원은 16일 충주기업도시에서 ‘미래차 전장부품 시험인증센터’ 개소식을 열었다. 행사에는 이종배 국회의원, 이복원 충청북도 경제부지사, 조길형 충주시장, 박상태 FITI 이사장, 윤주경 FITI 원장을 비롯해 정부·지자체 관계자, 유관기관 및 지역 기업인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FITI는 산업통상자원부 스마트특성화 기반구축사업 공모 선정에 따라 ‘미래차 전장부품 기능안전 및 신뢰성 기반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이번 센터 건립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사업 초기부터 정부 및 기업들과 소통해 온 이종배 국회의원은 충주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예산 확보와 제도적 지원에 힘써왔다. 이번 센터는 2022년부터 약 193억 원을 투입해 연면적 2316㎡, 지상 2층 규모로 구축됐다. 내부에는 전장부품환경성능시험실, 배
공간 제약이 큰 차량 내부·외부 센서 및 액추에이터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가 자동차용 고전압 혼합 신호 마이크로컨트롤러(MCU) 신제품인 ‘PSOC 4 HVMS’ 시리즈를 공개했다. 이 제품군은 컴팩트한 폼팩터에 고전압 기능과 정밀 아날로그 센싱 기술을 집약해 공간 제약이 큰 차량 내부·외부 센서 및 액추에이터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됐다. 차량 전장 설계는 스마트하고 정교해지고 있다. 안전성과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자동차 산업은,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고 높은 정확도의 센싱이 가능한 솔루션을 요구하고 있다. 인피니언의 이번 신제품은 이런 시장 수요에 맞춰, 탑승자 감지, 핸즈온 감지, 도어 핸들, 윈도 리프터, 시트 조정, 선루프, 조명 제어, PTC 히터 등 다양한 HMI 및 열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겨냥한다. PSOC 4 HVMS MCU는 ARM Cortex-M0+ 기반으로 최대 128KB 플래시와 16KB SRAM을 탑재하고, 고전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LDO), LIN 및 CXPI 트랜시버를 통합해 최소한의 외부 부품으로도 차량 배터리와 직접 연결되는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플랜트 산업안전용 IoT 융합 디바이스 실증 지원 사업을 홍보하고 연계 산업을 확산하기 위한 웨비나가 내달 1일 개최된다.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의 일환으로 해당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업은 전문인력과 장비를 활용해 고위험 플랜트 설비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문제 예방 및 대응용 IoT 융합 디바이스에 대한 품질 및 신뢰성 문제의 실증을 지원하고, 국내 기업의 기술력 향상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웨비나는 발표에 앞서 먼저 서준석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센터장이 플랜트 산업안전용 IoT 실증 지원사업을 소개한다. 이후 이정한 현대제철 책임매니저와 이용관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가 각각 ‘철강업종 미래 제조업 발전방향과 활용기술’과 ‘스마트 제조 최신 기술 동향과 제조 인공지능 적용 사례’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진행한다. 10분의 휴식시간 후 전상운 한양대학교 부교수와 이선휘 퓨처메인 대표가 ‘Multi-access edge computing for 5G’와 ‘플랜트 설비 안전관리 기술-예지보전 기술 동향’에 대해 각각 이야기를 나눈다. 마지막 발표로는 고병각 지에이씨 대표가 ‘플랜트 산업의 기능안
[첨단 헬로티]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STM32 및 STM8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안전이 필수인 산업, 의료, 컨슈머, 자동차 분야 제품을 간편하게 개발할 수 있는 기능안전 패키지 3종을 출시했다. 이 패키지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개발자가 적용가능한 IEC 및 ISO 사양을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리소스를 포함하고 있다. 1000개가 넘는 ST의 STM32 디바이스 포트폴리오와 STM8AF 자동차 품질인증 디바이스를 비롯한 STM8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군은, 일반적으로 고가에 공급되는 안전 전용 MCU에 비해 탁월한 경제성과 다양한 선택의 폭을 제공한다.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X-CUBE-STL 패키지는 IEC 61508 SC3에 따라 TUV 라인란드(TÜV Rheinland)의 인증을 획득했으며, 안전매뉴얼 사용조건(Condition of Use of the Safety Manual)과 더불어 안전 무결성 레벨(Safety Integrity Level) SIL-2 또는 SIL-3까지의 안전 기능을 STM32 디바이스를 사용해 구현할 수 있다. X-CUB